소개글
"급성 신우신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급성 신우신염의 정의
2. 문헌고찰
2.1. 병태생리 및 원인
2.2. 임상증상
2.3. 진단적 검사와 간호
2.4. 치료
2.5. 간호중재
2.6. 합병증 및 예후
3. 사례연구
3.1. 대상자 사정
3.2.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4. 결론 및 자기성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 신우신염의 연구 필요성 및 목적
급성 신우신염은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며, 특히 20대 여성에게 자주 나타나는데 이는 남성에 비해 짧고 넓은 요도 구조로 인해 세균성 방광염에 걸리기 쉽기 때문이다. 이때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세균이 콩팥까지 침범하여 급성 신우신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자주 발생하는 만큼 간호사례 연구를 통해 급성 신우신염의 특성과 간호문제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파악하여 환자의 치료와 빠른 회복,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1.2. 급성 신우신염의 정의
급성 신우신염이란 신장이나 신우의 세균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부요로감염증으로, 대개의 경우 하부 요로 감염에 동반되어 나타나는 염증성 질환이다. 대부분의 경우 요로감염에 의한 상행성 전파가 주된 경로이며, 신우신염은 언제나 초기 단계가 화농성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신우신염은 급성과 만성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2. 문헌고찰
2.1. 병태생리 및 원인
신우신염은 대개 하부요로의 감염이 상행 이동하여 신장으로 전파되어 발생한다. 세균이 신우를 거쳐 신장에 침범하면 신우 및 콩팥실질에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백혈구가 증가하고 조직의 부종과 종창이 생긴다. 처음에는 신유두부에서 시작되지만 점차 신피질로 퍼져나간다. 따라서 급성 신우신염은 신농양, 기종성 신우신염, 만성 신우신염을 수반할 수 있다.
신우신염의 주된 원인균은 대장균이며, 그 외에도 그람음성간균과 Enterococcus spp.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세균은 보통 방광에서 요관을 거쳐 상행 이동하지만, 혈행성 감염이나 림프관을 통한 전파도 가능하다. 여성은 요도가 짧고 넓어 세균에 취약하며, 임신이나 도뇨관 삽입 등의 의인성 요인도 감염의 위험을 높인다. 당뇨, 면역저하 상태, 전립선 비대 등의 요인들도 신우신염 발병에 관여한다.
급성 신우신염은 경과가 짧지만 재발이 빈번하여 치료 후 2주 이내 20%가 재발한다. 이렇게 재발을 거듭하면 점차 만성 신우신염으로 진행될 수 있다. 만성 신우신염에서는 콩팥실질에 상흔이 생기고 콩팥이 위축되는 등의 구조적 손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급성기에 충분한 치료를 받아 만성화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2.2. 임상증상
급성 신우신염 환자는 고열, 오한, 오심, 이환된 부위의 옆구리 통증, 두통, 근육통, 전신적인 쇠약감 등을 호소하며 괴로워한다. 세균이 침범하면 백혈구가 증가하고 조직의 종창과 부종이 생긴다. 콩팥이 커지며 농양형성이 특징적이다. 통증은 흔히 요관쪽으로 방사되지만 상복부를 향하여 방사되는 경우도 있으며, 감염이 결석이나 신유두부에 복합적으로 있는 경우 산통이 있다. 갈비척추각 부위를 타진하거나 깊게 촉진하면 심한 압통이 나타나며 흔히 배뇨장애, 빈뇨, 긴박뇨의 기타 방광염 증상을 수일간 경험하게 된다. 소변에 백혈구나 백혈구원주체가 눈에 띄게 증가되어 있기 때문에 소변이 혼탁하거나 혈액이 섞이고 냄새가 난다. 급성 신우신염은 만성 신우신염으로 진행이 가능하고, 긴박뇨, 빈뇨, 절박뇨, 배뇨통, 소변의 혼탁 등 방...
참고 자료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신우신염
네이버 지식백과] 급성 신우신염 [acute pyelonephr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도서] 성인간호학 II (윤은자 외 공저-수문사)
도서]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이은희 외 공저 – 고문사)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김정애 외 5인(2023년), 수문사
성인간호학2, 유승미, 김숙영 외 2명(2021), 수문사
Genitourinary Radiology, University of Virginia Health Sciences Center Department of Radiology, http://radiology.con.mk/gu/kidneys/pyelo.html
한양대병원 Abdomen CT(복부 검사) 정보, https://seoul.hyumc.com/seoul/healthInfo/examination.do?action=view&testProcdrSurgrSeq=10116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6명 편역(2023년), ELSEVIER
이동숙 외, 기본간호학I , 메디컬 사이언스, 2019.
이동숙 외, 기본간호학II , 메디컬 사이언스,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II, 수문사, 2019.
정미영 외, Mosby's 진단검사간호 핸드북, 정담미디어, 2017.
고일선 외, NANDN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학지사메디컬, 2018.
이충재 외,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고문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