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조

  • 1
  • 2
  • 3
  • 4
  • 5
  • 6
>

상세정보

소개글

"마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송-원 시기 마조신앙의 성립과 공인

3. 명-청 시기 중국 내 마조신앙의 발전

4. 근세 동아시아 세계에서의 마조신앙 전파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대학생인 나는 주어진 지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서론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한다.

대만에서는 음력 3월마다 수신(水神) 마조(媽祖)의 탄생을 기념하는 행사가 벌어진다. 마조신앙을 믿는 대만인들은 이 때 타이중의 다자전란궁을 시작으로 남쪽으로 내려갔다 돌아오는 순례길에 나서며 그들의 신앙심을 증명한다. 더 나아가 신자들은 마조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는 복건성 미주도를 찾아가기도 하며, 대만의 정치인들은 마조신앙을 정치적 홍보에 이용하기도 한다. 문화대혁명을 거치며 중국 대륙 내 마조신앙은 자취를 감추어 갔지만, 21세기 들어 중국 공산당은 마조신앙과 종교적 건축물의 문화적, 그리고 관광산업적 가치에 주목하기 시작하면서, 마조신앙을 국가 문화 유산으로 만들고, 미주도의 마조묘를 재정비하는 등 마조신앙 복구에 노력을 기울였다. 이는 결국 2009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마주 신앙과 풍습'으로 등재되기에 이르렀다. 마조신앙의 발상지는 중국이었지만, 명-청 시기 해상교역으로 중국의 선원들이 동아시아의 각지를 누비면서 마조신앙은 해외로 전파되었다.


2. 송-원 시기 마조신앙의 성립과 공인

마조는 송나라 시기인 960년 음력 3월 23일, 중국 복건성의 미주에서 태어났다. 작은 섬이었던 미주는 주민 전부가 어업에 종사하고 있는 곳이었다. 천비현성록(天妃顯聖錄)에 의하면 천비, 즉 마조는 붉은 빛과 향기가 집을 감싸는 기이한 현상 이후 태어났으며, 16살 때 우물가의 신으로부터 얻은 팔찌를 이용해 초인적 힘을 얻게 되어 이를 사람들을 구하는데 사용했다.
그녀는 하늘로 올라가 여신이 되었고, 풍랑을 만난 배를 가라앉지 못하게 막고 귀신을 물리치는 등 중국 뱃사람들이 안전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보호해주는 역할을 맡았다. 중국인들은 그녀에게 제사를 올리며 무사한 항해를 기원했고, 항해를 마친 후에는 감사의 기도를 올리면서 마조에 대한 믿음은 송대를 거치며 점차 민간에 뿌리를 내렸다.
처음 복건성의 포전현에서 마조묘, 천비궁이 세워지고 마조신앙이 확산된 것에 이어, 당대 활발한 해상 및 상업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던 천주(泉州)에도 마조묘가 1196년 최초로 지어지면서 마조신앙은 본격적으로 무역항으로도 퍼져 나갔다. 천주의 상인들은 어디를 가든 마조상을 지니고 다녔으며, 천주 시박사의 관원들은 무사한 항해를 기원하는 기존 의식을 중단하고 마조에 대한 제사로 이를 대신했다.
남송 시절 홍콩, 마카오 등 더욱 남쪽의 항구도시들에서 마조신앙이 확산되었고, 원대에는 화북의 천진에까지 마조묘가 세워졌다. 13세기 중반 이후 조운이 실시되면서 강남의 세금은 운하를 통해 천진으로 모여들었고, 이 과정에서 마조신앙 역시 텐진으로 옮겨졌다.
마조가 당...


참고 자료

김여주. (2019). 마조(媽祖)를 통해서 본 중국의 통합 전략. 중국근현대사연구, 82(), 141-165.
‘Mazu belief and customs’, https://ich.unesco.org/en/RL/mazu-belief-and-customs-00227
金仁喜. (2001). 한ㆍ중 해신신앙의 성격과 전파. 한국민속학, 33(), 67-95.
高惠蓮. (2005). 東中國海의 媽祖信仰. 도서문화, 25(), 161-199.
상기숙. (2016). 동아시아 海洋文化 媽祖의 전파. , (49), 123-141.
이경규. (2010). 中國에서의 媽祖 信仰의 成立과 發展에 관하여. , (68), 225-257.
李有鎭. (2011). 마조신앙의 국가공인화 과정과 그 의미. 중국어문학논집, (70), 461-480.
유채원. (2019). 중국의 마조신화(媽祖神話), 사실, 상징. , 134(), 327-357.
朴貞淑. (2012). 문헌자료를 통해 다시 살펴 본 中國의 海神‘媽祖’의 原型과 그 變貌. 중국어문학논집, (77), 567-590.
이경규. (2010). 마카오와 媽祖信仰. 도서문화, 36(), 175-196.
박현규. (2010). 高麗-朝鮮시대 海路 使行錄에 투영된 媽祖 분석. 역사민속학, (32), 103-129.
‘황해도 지역에 창궐하는 전염병에 대한 경창부윤 이선제의 상서문’,
http://sillok.history.go.kr/id/kfa_10006028_004#footnote_view11
박현규. (2013). 古今島 關王廟의 媽祖神壇 분석. , (39), 177-194.
상기숙. (2010). 臺灣 海神信仰의 淵源과 特徵에 대한 考察 ― 媽祖를 중심으로. , (31), 113-132.

2003헌마16, Casenote(사이트명) https://casenote.kr/%ED%97%8C%EB%B2%95%EC%9E%AC%ED%8C%90%EC%86%8C/2003%ED%97%8C%EB%A7%8816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