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미세 플라스틱의 개념
2.1. 1차 미세플라스틱(마이크로비즈)
2.2. 2차 미세플라스틱
3. 미세 플라스틱의 현황
4. 미세 플라스틱의 문제점
4.1. 미세 플라스틱 제품 사용으로 인한 건강 위협
4.2.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 생태계 파괴
4.3. 먹이사슬을 통한 미세 플라스틱의 인간 전파
5. 미세플라스틱 방지를 위한 국제기구의 노력
6. 미세 플라스틱의 문제의 해결방안
6.1. 플라스틱 사용 규제
6.2. 플라스틱 생산 규제
6.3. 친환경 소재 사용 및 개발
6.4. 플라스틱 용기 보증금 제도 도입
6.5. 하천·하구쓰레기 해양유입 사전 관리
6.6. 해양 유입 하천쓰레기 관련법 개정 및 모니터링 강화
6.7. 바다에서 버려지는 플라스틱 집중 관리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플라스틱은 저비용, 다용성, 내구성, 고강도의 강점을 지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플라스틱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눈에 잘 보이지 않는 플라스틱 조각인 미세 플라스틱은 환경오염을 크게 증가시키고 인간의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실제로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이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미세 플라스틱이 인체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2. 미세 플라스틱의 개념
2.1. 1차 미세플라스틱(마이크로비즈)
1차 미세플라스틱(마이크로비즈)은 생산 당시부터 작은 크기로 만들어진 미세플라스틱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산업폐수 처리, 선박, 마이크로비즈를 포함한 화장품과 위생제품, 의류 등에서 발생하며 해양이나 해변 등의 환경에서 많이 발견된다. 1차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작고 균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애초에 생산 단계에서 작은 크기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이처럼 1차 미세플라스틱은 인위적으로 제조되어 작은 크기와 균일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2.2. 2차 미세플라스틱
2차 미세플라스틱은 크기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로써 조각, 파편, 알갱이, 섬유 등 형태가 다양하다. 크기가 크게 생산된 플라스틱이 인위적이나 자연적으로 마모되어 5mm 이하의 크기가 되어 생성되는 것이다. 세안제, 치약, 세제 같은 생활용품과 화장품에는 제품 하나당 5,000~95,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들어갈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너무 작아 하수처리 시설에서 걸러지지 않고 하천과 바다로 흘러 들어가서 해양생태계를 오염시키고, 해양생물에게 피해를 입힌다. 결국 인간은 오염이 축적된 해산물을 먹음으로써 건강을 위협 당하고 있다. 크기가 크게 생산된 플라스틱이 자연적 요인에 의해 점진적으로 작아지면서 다양한 모습의 2차 미세플라스틱이 생성된다. 이러한 2차 미세플라스틱은 균일한 특성을 갖고 있지 않으며, 해양 생물들이 섭취함으로써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에게까지 전달되고 있다.
3. 미세 플라스틱의 현황
195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약 90억t의 플라스틱이 생산되었고, 폐기된 플라스틱은 69억t에 달한다. 이 가운데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연간 800만t에서 최대 1300만t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바다에는 대략 5조 개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떠 있으며, 이 중 약 92%가 0.33~4.75mm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으로 추정된다. 이는 미세플라스틱이 작고 넓게 흩어져 있어서 탐지가 어려워, 해저로 가라앉았거나 해양생물이 삼킨 것은 제외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 1억 5000만t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는 오는 2040년에 가서는 세 배로 증가할 전망이다.
영국 환경보호 비영리 기구인 엘렌 맥아더 재단은 오는 2050년에는 바다에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양 쓰레기는 2018년 기준으로 14만 9000t이고, 이 가운데 해양 플라스틱은 80%가량인 11만 8000t에 달한다. 국내에서 매년 91,195톤의 인공물 해양쓰레기가 해양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는 육상에서 유입되는 쓰레기 32,825톤(36%)과 해양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58,370톤(64%)을 포함한 것이다. 여기에 홍수기에 하천으로 유입되는 초목류 재해쓰레기 85,612톤을 더하면 육상기인 쓰레기가 118,437톤(67%), 해상기인 쓰레기는 58,370톤(33%)을 차지한다. 총 176,807톤의 쓰레기가 매년 국내 바다로 유입되고 있지만, 연간 총 수거량은 42,595톤에 불과하다.
국내 해안의 미세 플라스틱 오염도는 일본, ...
참고 자료
김귀성,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고등어 오염실태에 관한 연구, 을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최미정,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최근 연구동향 분석,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홍수열, 국내외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 현황 및 해결방안,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8
송난선, “시장에서 판매되는 국내산 수산물 내 미세플라스틱의 풍부도와 특성”,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0.
김인성, “인천·경기연안 해변에 잔류하는 미세플라스틱의 공간분포 특성”,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5.
윤지원, “지속 가능한 의생활과 의류 미세 플라스틱 의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이정배, “프레임과 예시가 미세플라스틱 관련 이슈 지각, 공유 의도, 그리고 정책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채유은, “미세플라스틱의 영양단계 기반 생태독성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