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비발디 사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작품의 배경
2.1. 바로크 시대의 역사적 배경
2.2. 바로크 음악
2.3. 안토니오 비발디
2.4. 작품의 장르
3. 작품의 특징
3.1. 사계 (Four Seasons)
3.2. 곡의 배경
3.3. 음악적 분석
4. 감상 후기
4.1. 작품을 선호하는 이유
4.2. 감상 후기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비발디의 사계는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대표적인 클래식 작품이다. 이 작품은 계절의 변화를 음악으로 표현하여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여러 세대에 걸쳐 사랑받고 있는 명작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비발디 사계의 작품 배경과 음악적 특징, 그리고 학생의 감상 후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작품의 배경
2.1. 바로크 시대의 역사적 배경
바로크 시대는 르네상스와 인본주의 사상이 결합되어 질서와 합리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이 시대에서는 교회와 세속궁정이 음악의 후원을 맡고 있었으며 더불어 중산층도 음악의 후원을 담당하였다. 계몽주의의 발전으로 부르조아적 시민계급의 성장이 일어났고 이에 따라 인간적인 음악이 중시되기도 하였다. 음악에서는 역사적으로 처음 교회음악과 세속음악이 동등한 위치를 차지한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바로크 시대의 근대음악은 점차 세속음악으로 변화하였다.
2.2. 바로크 음악
바로크 음악은 대략 1600~1750년 사이의 유럽 예술음악에 대한 시대양식이다. 이 시대는 르네상스와 고전파 사이의 시기에 해당한다. 바로크라는 프랑스어 용어는 일그러진 진주를 뜻하는 포르투갈어 barroco에서 왔다고 한다.
바로크 시대의 주요 종목이나 양식적 특징은 이미 16세기 말부터 준비되고 있었다. 먼저 이탈리아의 발레토와 빌라넬라 등에서 볼 수 있는 네덜란드 악파풍의 대위법을 불식한 호모리듬풍의 양식이며, 베네치아악파에 의해 대표되는 복합창의 수법 등을 구사한 콘체르탄테 양식의 장려하고 색채적인 음의 향연이었다. 또한 피렌체에서 고대 그리스 비극의 부흥을 시도하면서 새로운 음악극인 오페라가 태어나고, 반주부 모노디, 통주저음, 레치타티보 등의 형태와 양식이 확립되었다.
바로크 시대 음악의 가장 보편적인 기법적 특징은 통주저음이다. 통주저음은 극히 한정된 종목을 제외하고 바로크 시대의 거의 모든 형식의 음악에 사용되었으며, 고전파 시대에는 소멸되어 갔다. 이에 따라 바로크 시대를 통주저음이 지배적으로 사용되던 시기로 규정하기도 한다. 이 시대에는 작곡가가 특정 표현 매체에 밀착한 어법으로 곡을 쓰려고 했기 때문에 성악과 기악의 분리가 행해졌고, 각 매체의 특성을 살린 표현이 탐구되었다. 또한 기악이 현저히 발전하여 성악곡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게 되었다.
2.3. 안토니오 비발디
안토니오 비발디는 베네치아 태생인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이다. 베네치아의 성 마르코 대성당의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아버지로부터 바이올린의 초보 교육을 받았고, 레그렌찌에게 작곡을 배웠다. 20세 무렵에 성직에 들어갔지만 붉은 머리로 인해 '빨강 머리의 신부'라고 놀림을 받았다. 1703년부터 40년간 베네치아 자선 병원 부속의 여자 음악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처음에 바이올린 교사로 있다가 1716년에 합주장, 후에 합창장도 겸하게 되었다. 비발디는 이 학교의 학생을 위해 많은 곡...
참고 자료
김현경, 「[2021 김현경의 음악에세이] 명작으로의 초대 Ⅺ : 사계, 비발디와 피아졸라」,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지, 2021, 80~84p
정주은, 「[고전음악의 세계로…] 음악으로 그린 계절 - 비발디 ‘사계’」, 「새가정사」, 새가정, 2009, 71~73p
조경대, 「문화와 신앙 : 클래식산책 ; 안토니오 비발디의 사계 (四季)」,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활천사」, 활천, 1999, 80~81p
강미소, 「비발디 「사계」의 음악적 특성에 대한 구조분석 연구 : 비발디 사계 중 「봄」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1~3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