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급성신부전은 원인에 관계없이 신장기능이 갑자기 떨어져서 더 이상 몸 안의 노폐물을 몸 바깥으로 배출하기 어렵고, 정상적으로 소변을 만들기 어려운 상태이다. 이로 인해 체내 수분과 전해질, 대사산물의 균형이 깨지게 된다. 급성신부전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하면 신기능이 정상화될 수 있으나, 병이 오래 지속될수록 회복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만성 신부전으로 이행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즉각적인 치료가 요구되는 급성 질환이므로 응급실 사례 연구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2. 본론
2.1. 급성신부전의 정의와 원인
급성신부전이란 원인에 관계없이 신장기능이 갑자기 떨어져서 더 이상 몸 안의 노폐물을 몸 바깥으로 배출하기 어렵고, 정상적으로 오줌을 만들기 어려워지는 상태이다.
급성신부전의 원인은 크게 신전성, 신성, 신후성으로 나눌 수 있다. 신전성 급성신부전은 신장으로 공급되는 혈액량 또는 수분유입이 감소하여 발생하며, 전체 급성신부전의 55~70%를 차지한다. 신성 급성신부전은 신장 자체에 병변이 생겨 발생하며, 전체 급성신부전의 25~40%를 차지한다. 신후성 급성신부전은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요관, 방광, 요도를 통해 배출되지 못해 발생하며, 전체 급성신부전의 5%를 차지한다.
신전성 급성신부전의 주요 원인은 저혈량 상태(출혈, 탈수, 화상, 쇼크 등), 허혈(신동맥 협착, 색전, 혈전), 심장기능 저하(울혈성 심부전, 심낭압전) 등이다. 신성 급성신부전의 주요 원인은 신독성 물질 노출, 급성 세뇨관 괴사, 급성 사구체신염, 급성 간질성 신염 등이다. 신후성 급성신부전의 주요 원인은 요로 폐쇄(요로결석, 종양, 전립샘 비대증, 자궁경부암 등)이다.
2.2. 급성신부전의 병태생리
급성신부전은 신장기능이 갑자기 저하되어 체내 노폐물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상태이다. 이는 신혈류량 저하, 사구체 여과율 감소, 세뇨관 기능 장애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먼저 신전성 급성신부전의 경우 신장으로의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 사구체 여과율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노폐물 배출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저혈압, 탈수, 심부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신성 급성신부전은 신장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