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환자안전의 중요성
환자안전의 중요성이다. 의료와 관련된 불필요한 위해의 위험을 수용할 수 있는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환자안전이며, 이는 병원의 모든 구성원이 공통적으로 가져야 할 제1의 원칙이다. 환자안전간호활동이란 환자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 증진을 위한 간호사의 활동을 의미한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의료기관 및 직원들이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재해나 사고의 방지를 위해 행하는 조치 및 활동으로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거나 제거, 예방하는 체계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환자안전은 병원의 모든 구성원이 공통적으로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원칙이다.
1.2. 중환자 간호사의 역할
중환자실은 중증도가 가장 높은 환자를 간호하고 24시간 집중감시와 간호 및 치료가 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수부서이다. 중환자 간호사에게는 고도의 지식과 기술, 그리고 첨단 의료 장비들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이 요구된다. 중환자 간호는 기본적인 위생 간호에서부터 높은 수준의 지적 판단이 필요한 특수 간호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이고 숙련된 간호를 포함한다. 중환자실 간호사는 중환자실의 주요 장비를 관리함은 물론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각종 검사 및 사정 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상태를 신속히 판단하여 적절히 중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중환자 간호사는 입원한 환자의 간호 문제를 진단하고, 간호계획을 수립하며 중재, 평가, 재계획하는 일련의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환자의 건강 회복 및 증진을 돕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스크리닝, 재활치료, 안전, 평가, 의사소통의 순환을 통해 업무를 수행한다.
먼저, 중환자 간호사는 통합적인 환자 사정을 통해 대상자의 증상 및 징후, 진단적 검사 결과, 건강 문제 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간호진단, 중재계획을 수립한다. 이후 재활 치료 중 환자를 모니터링하며 응급 상황과 이상 반응에 대처하고 필요 시 실제적인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중환자 및 보호자 교육과 정서적 지지를 통해 간호 수행의 효과를 높인다. 아울러 영양, 식이, 재활, 촬영검사 등 다양한 직업군과 협력하여 간호중재를 제공하고, 간호사 팀원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변화하는 상황에 따른 정보를 공유한다.
내과계 중환자 간호에서는 집중 모니터링, 감염관리, 개인위생 간호, 욕창 예방 및 치료, 영양 관리, 인공호흡기 관리, 혈액투석 관리, 투약 관리와 같은 다양한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응급 중환자 간호에서는 응급 환자 간호 및 처치, 환자 교육 및 보호자 상담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심뇌중환자 간호에서는 기도 및 호흡, 투약, 피부 및 창상, 체온과 생리적 기능 관리, 영양과 배설 관리, 생리적 기본 간호와 환자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이처럼 중환자 간호사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환자를 돌보며, 의료진과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환자와 가족에게 안정감을 제공한다. 또한 환자에게 신체적 편안함과 정서적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치료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를 통해 간호 수행 중 오류나 사고를 줄이고 환자의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다.
1.3. 낙상 예방 간호중재
낙상은 중증도가 높은 환자에게 자주 발생하는 위험한 상황이다. 입원 환자의 안전을 위해 간호사는 낙상 예방을 위한 다양한 중재를 수행해야 한다.
먼저, 낙상 위험도 사정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고위험 환자를 선별한다. 성인 환자의 경우 MORSE 낙상 위험 사정도구를, 소아 환자의 경우 Humpty Dumpty 낙상 위험 사정도구를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