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의 개념과 특성, 학자들이 말하는 가족의 기능에 대해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의 개념과 특성
1.1. 전통적인 가족의 개념
1.2. 현대적인 가족의 개념
2. 가족의 특성
2.1. 가족은 일차적 집단
2.2. 가족은 공동사회집단
2.3. 가족은 폐쇄집단
2.4. 가족은 형식적인 집단이나 가족관계는 비형식적
3. 학자들이 말하는 가족의 기능
3.1. 머독(1949)의 가족 기능
3.2. 자스트로우(2000)의 가족 기능
3.3. 권복순(2000)의 가족 기능
3.4. 미국사회사업가협회(1987)의 가족 기능
3.5. 핵심적인 4가지 가족 기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의 개념과 특성
1.1. 전통적인 가족의 개념
전통적으로 가족은 혼인과 혈연, 또는 입양 관계를 통해 결합된 집단이다. 머독(Murdock)은 가족을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고, 주거와 경제적 협력을 하며 자녀의 출산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는 가족을 혼인과 혈연이라는 제도적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레비-스트로스(Lévi-Strauss)는 가족을 "결혼으로 형성되며 부부와 그들의 결혼에 따라 출생한 자녀들로 구성되지만, 다른 근친자가 포함될 수 있고, 가족구성원은 법적, 경제적, 종교적, 그 외 다른 권리와 의무, 성적 관리와 금기, 애정과 존경 등 다양한 심리적 감정으로 결합된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는 가족의 유대와 관계 결합, 운명공동체적 성격을 강조한 것이다.
버거스와 락(Burgess and Locke)은 가족을 "혼인과 혈연 또는 입양에 의하여 결합된 집단으로, 하나의 가구를 형성하고 남편과 아내, 아버지와 어머니, 아들과 딸, 형제와 자매라는 각각의 사회적 역할 속에서 상호작용을 하며, 의사소통하고 공통의 문화를 창조하고 유지하는 집단"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는 가족구성원 간의 사회적 역할과 문화의 측면을 강조한 것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관점에서 가족은 혼인과 혈연을 토대로 한 협의의 개념으로, 구성원들이 의식주를 공동으로 해결하고 정서적 유대와 공동체적 생활방식을 가지는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1.2. 현대적인 가족의 개념
현대적인 가족의 개념은 전통적인 가족의 개념을 넘어서 다양한 가족 유형을 포괄하려는 목적을 담고 있다. 최근 사회변화와 함께 부부가족과 1인 가구의 증가, 한부모 가족, 동거 가족, 미혼모 가족, 공동체 가족, 무자녀 가족, 재결합 가족, 동성애 가족 등 다양한 가족 형태가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는 혈연관계라는 한정적이고 협소한 개념을 넘어서, 가족의 다양성을 포용하는 기능적 측면에서의 정의가 필요하다. 현대적 가족의 정의는 외형적 구성 측면에서 혼인, 혈연, 양자 관계를 통해 결합된 집단이며, 기능적 측면에서 사회 전체와 연계하여 다양한 과업을 수행하는 제도이고, 심리적 측면에서 구성원 상호 간의 정서적 표현을 위한 집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2. 가족의 특성
2.1. 가족은 일차적 집단
가족은 일차적 집단이다. 인간이 출생과 동시에 참여를 하는 집단이 일차적인 집단으로 가족이 그 예이다. 가족구성원 상호간의 관계가 직접적이며, 친밀하고, 그 관계...
참고 자료
김윤재 외, 가족복지론, 지식공동체, 2022
최정숙, 가족복지론, 학지사, 2020
허혜경 외, 현대사회와 가정, 동문사, 2017
원영희 회, 가족복지론, 학지사, 2016
정현숙, 가족생활교육, 신정, 2016
김종배 외, 가족복지론, 지식공동체, 2022
최정숙, 가족복지론, 학지사, 2020
홍봉수, 가족복지론, 공동체, 2020
이윤정, 가족복지론, 공동체,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