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메이크업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5.03.20
6,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시대별 메이크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시대별 메이크업
1.1. 삼국시대
1.1.1. 신라
1.1.2. 고구려
1.1.3. 백제
1.2. 고려시대
1.3. 조선시대
1.4. 근대

2. 20세기, 서양 메이크업의 특징
2.1. 1900년대(1900-1909년) 메이크업
2.2. 1910년대(1910-1919년) 메이크업
2.3. 1920년대(1920-1929년) 메이크업
2.4. 1930년대(1930-1939년) 메이크업
2.5. 1940년대(1940-1949년) 메이크업
2.6. 1950년대(1950-1959년) 메이크업
2.7. 1960년대(1960-1969년) 메이크업
2.8. 1970년대(1970-1979년) 메이크업
2.9. 1980년대(1980-1989년) 메이크업
2.10. 1990년대(1990-1999년) 메이크업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시대별 메이크업
1.1. 삼국시대
1.1.1. 신라

신라에서는 일찍이 백분(白粉)과 같은 화장품이 제조되었고, 화장이 행하여졌다. 일본 고문헌에 의하면, 신라의 승려가(서기 622년) 일본에서 연분(鉛粉)을 만들었기에 상을 준 기록이 있다. 팥, 녹두를 가루로 내어 세제로 사용하였으며 콩이나 팥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향료를 사용하였고, 동백이나 아주꽈리 기름으로 머리손질을 하였다. 또한 분꽃 씨 가루나 활석가루 등으로 분을 만들어 물에 개어 얼굴에 발랐으며, 나무 재를 개어 눈썹을 그렸다. 이처럼 신라에서는 백색 피부를 호상(好尙)하여 여성들이 화장을 즐겨하였고, 화장에 관심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1.1.2. 고구려

고구려의 화장술과 화장품

고구려 사람들은 남녀 모두 깨끗한 옷을 입기를 좋아하였으며 밤이면 남녀가 여럿이 모여 배우놀이와 음악을 즐겼다. 신분과 직업에 따라 각기 달리 치장하였는데,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무녀(巫女)와 악공(樂工)이 연지 화장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서기 5~6세기경 수산리 고분벽화 귀부인상을 보면 머리에 관을 쓰고 있고 뺨과 입술이 연지로 단장되어 있다. 쌍용총 고분벽화의 여인상도 여관(女官) 혹은 시녀로 보이는데 동그란 얼굴에 뺨과 입술에는 연지로 화장되어 있다. 이처럼 고구려 사람들은 신분과 직업에 따라 화장 양상이 달랐으며, 특히 무녀와 악공들이 연지로 화장을 하였다. 또한 고분벽화를 통해 당시 고구려 귀부인들이 연지로 뺨과 입술을 화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1.1.3. 백제

백제의 화장품과 화장술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는 기록은 거의 없다. 하지만 중국 문헌에 백제인들의 화장 경향에 대해 '시분무주(施粉無朱: 분은 발랐지만 연지는 바르지 않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백제인들은 엷고 은은하며 세련된 화장을 즐겼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본 옛 문헌을 보면 일본인들은 백제로부터 화장품 제조기술과 화장기술을 익혀 비로소 화장을 할 수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 백제의 화장 문화가 일본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백제의 화장 문화는 엷고 은은하며 세련된 특징을 지니고 있었고, 이는 일본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1.2. 고려시대

고려의 태조 왕건은 신라의 문화를 그대로 계승 발전시킴으로 화장문화도 전승되었다. 그 결과 고려의 화장 문화는 외형상 사치스러워지고, 내면으로는 탐미주의 색채가 농후해졌다. 고려시대에는 화장이 이원화되었는데 여성의 신분과 직업에 따라 분대화장(粉黛化粧: 짙은 화장)과 비분대화장(菲粉黛化粧: 옅은 화장)으로 나누어진다. 분대화장은 기생 중심의 화장으로 분을 도포한 듯이 하얗게 많이 바르고 눈썹을 가늘게 가다듬어 또렷하게 그렸으며 머릿기름은 반질거릴 정도로 많이 바르는 것이 특징이다. 분대화장은 기생의 상징이며 진하고 야한 화장을 분대라고 지칭하게 되었다. 비분대화장(菲粉黛化粧)은 어염집(비직업) 여성들이 기생으로 오해받지 않으려고 분대화장을 기피하였다. 서긍의『고려도경』을 보면 고려 귀부인의 화장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향유(香油)를 바르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분을 바르되 연지는 바르지 않았다. 눈썹은 넓게 그리고 비단향낭을 패용했다'고 기록한 것으로 보아 귀부인들은 기녀들의 세련되고 짙은 화장에 대조되는 은은하고 우아한 멋을 내는 화장을 즐겼다. 고려시대의 화장 문화는 외형상 사치스러워지고 내면으로는 탐미주의 색채가 농후해졌으며, 여성의 신분과 직업에 따른 분대화장과 비분대화장으로 구분되었고, 귀부인들은 기녀들의 화장과 대조되는 은은하고 우아한 멋을 내는 화장을 즐겼다.


1.3. 조선시대

조선왕조가 유교적 도덕관념과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사상, 그리고 고려시대의 사치와 퇴폐풍조에 대한 반작용으로 화장에 대해 여러 차례 금지령을 내린 바 있다. 분대화장을 기피하고 한국인의 고유 미의식인 신체가 청결해야 마음도 청결하다는 사상 즉, 내면의 미와 외면의 미가 동일하다는 사상으로 바뀌었다.

단정한 몸가짐과 청결한 신체를 위해 아침, 저녁으로 세수를 하고 빗질하였으며, 외출했다가 돌아온 뒤에는 반드시 손발을 씻었고 몸 청결을 위해 목욕문화가 발달하였다. 화장은 얼굴에 눈썹을 그리고 연지를 그리되 본래의 생김새를 바꾸지 않는 범위에서 자연스럽고 아름답게 가꾸도록 하였으며, 원래 모습보다 확연히 달라 보이면 야용(冶容)이라 하여 경멸하였다.

조선시대 남성들의 이상적인 여인상은 지(智), 덕(德), 체(體)의 합일을 추구하였으며 부잣집 맏며느리 감의 여인상이 최고의 모범 여인상으로 인식되었다. 얼굴은 둥근형이고 야위지 않았으며 살빛은 희고 흉터나 잡티가 없고, 전체적인 골격은 건강하고, 머리숱이 많고 입술색은 붉으며 인중은 길어야 한다고 보았다.

조선시대 화장품과 화장구 및 민간요법의 미용법도 발달하여 사대부의 가정백과라 해도 좋은 『규합총서(閨閤叢書)』에 소개된 다양한 미용법이 존재하였다.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이 다양한 화장품과 화장구로 화장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임진왜란 직후에 일본에서 '아침이슬'이란 화장수가 발매되었는데, 광고문안의 서두가 "조선의 최신 제법으로 된 아침이슬 화장수는 …"라고 한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 전까지 조선에서는 고도의 기술로 화장품이 제조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의인소설인 『여용국전(女容國傳)』에서 여성용 화장품과 화장구를 등장시켜 의인화(擬人化)하였고,...


참고 자료

권태순, 송미영(2007)/ Make-up Basic 메이크업베이직
박성희(2012), 「20세기 서양 메이크업의 시대별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 19
김지선, 김은실(2018), 「패션컬렉션에 나타난 레트로(Retro) 메이크업 현상에 관한 연구
김희숙(1999), 「20세기 한국과 서양의 여성 화장 문화 비교연구」, 덕성여대 박사학위논문, p108, 120
양진희, 「메이크업에 나타난 레트로 경향: 1990년대에 나타난 1950, 1960년 스타일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7
한혜숙(2005), 「서양의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 변천에 관한 연구 : 191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5-66, 71
「서양 시대별 메이크업 특징 ~현대~」, 네이버 블로그, 2020.02.10. 수정, 2020.06.30. 접속, https://www.flunatsumuvicf.com/KO/2020/02/10/makeupstudy-contemporary/
「시대별 메이크업 1. - 1900년대 메이크업」, 티스토리, 2016.02.10. 수정, 2020.06.30. 접속, https://makeupforyou.tistory.com/29
「1996년엔 어떤 메이크업이 유행했을까?」, 싱글즈, 2016.11.14. 수정, 2020.06.30. 접속, http://www.thesingle.co.kr/SinglesMobile/mobileweb/news_content/detail_news_content.do?fmc_no=599675&fsmc_no=599687&nc_no=683299&fsmc_nm=makeup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