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차량지원 필요성
1.1. 이동이 불편한 노인에 대한 방문치료서비스 제공
본 복지관은 2005년부터 개소하여 노인에게 지속적인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노인들은 주로 보호자를 동반하여 복지관에 방문하여 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서비스가 잘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몸이 불편하여 외출하기 어려운 노인이나 보호자가 없는 경우, 복지관 방문이 어려워 방치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독거노인이나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우, 보호자 부족으로 재활치료를 포기하는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현재 성거시에는 본 복지관 한 곳만이 노인의 저렴한 비용의 재활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넓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시설 노인이 복지관을 방문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성거시에는 2개의 노인복지관, 3개의 지역노인센터, 지역의 사례기관에서 재가방문 치료가 필요한 노인이 10여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처럼 사각지대에 놓인 노인의 치료 욕구 해결이 중요한 과제이다.
노인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기능들은 고령에 맞게 치료적 개입이 시작될수록 높은 만족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꾸준한 치료적 개입이 실시되지 않을 경우 각각의 기능들이 마비 또는 악화될 수 있어 지속적인 치료가 필수적이다.
본 복지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재활치료 치료사를 파견하여 재가 방문 서비스를 계획하였으나, 차량이 없어 사업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성거시의 경우 농촌 지역이 많아 대중교통을 이용한 방문치료도 어려우며, 재활기구를 가지고 방문해야 하므로 이동수단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차량을 구입할 예산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 지원을 통해 재가방문 치료를 원하는 노인에게 치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치료 욕구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노인의 지역사회 자원 활용을 통한 흥미 증진
노인기의 여가활동과 새로운 흥미를 찾기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이 필요하다. 노인주기별 맞는 재활치료서비스와 함께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의 경험은 노인의 여가 문화에 많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본 복지관은 이러한 부분을 중요시하게 판단되어 기관 안에서 재활치료와 더불어 노인의 사회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여가활동을 제공하고자 한다. 노인기 문화활동을 통한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자원등을 활용하여 직접 체험하고 활동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현재 본 복지관의 경우 도심의 외곽에 위치하고 있어 대중교통이 불편하고 업무차량이 없는 관계로 이동수단이 필요한 상황이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예산확보의 어려움으로 이동수단이 없어 직접적인 지역사회 여가활동을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꾸준한 사회적응훈련 경험을 가져야 할 시기에 계속적으로 방치되어 버린다면 노인기의 우울증 예방과 새로운 흥미를 찾고 활력을 높이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