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gis 사례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gis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GIS의 역사와 발전
2.1. 1960년대
2.2. 1970년대
2.3. 1980년대
2.4. 1990년대

3. GIS의 기능
3.1. 추출
3.2. 분류와 단순화
3.3. 측정기능
3.4. 중첩기능
3.5. 근접성 분석

4. GIS의 특성
4.1. 효율적인 수치지도 제작
4.2. 효율적인 GIS 데이터 모델 적용
4.3. 다양한 공간 분석 기능
4.4. 다양한 데이터 유형들의 통합 및 표현

5. GIS의 중요성

6. GIS의 활용분야

7. GIS 용어정리

8. GIS 시장 동향

9. GIS 활용 사례
9.1. 사례지역
9.2. 자료현황
9.3. 교통수요예측

10. GIS 향후 개선 방향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리정보시스템(GIS)은 사용자나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또한 GIS가 설치된 기관마다 나름대로의 고유한 시스템명을 가지고 있어서 GIS를 정의하는데 혼란을 주고 있다. GIS와 유사한 명칭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GIS를 적용하는 대상이나 사용목적을 반영하고 있다. GIS가 다루는 대상에 따라서 붙여진 명칭은 대상의 종류만큼이나 다양하다. 주로 지적, 토지, 자연자원, 시설물 등을 중심으로 붙여진 명칭이 많다. 이와 같은 이유는 GIS가 발전해오면서 GIS를 이용하는 분야가 주로 환경과 토지에 관련된 부분이 많았음을 시사해 준다. 장차 GIS가 다양한 분야로 발전되어 나가면 환경과 토지를 중심으로 붙여지는 명칭만큼이나 다른 분야와 관련된 명칭이 많아질 것이다. GIS가 처리하는 자료의 특성에 따라 구분된 명칭의 경우에는 공간적(Spatial) 혹은 지리참조(Geo-referenced)라는 용어가 흔히 사용되는데 양자 모두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 즉 특정 사상의 취치가 지구좌표계에 따라 참조되어 표현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한편, GIS는 의사결정을 돕는 수단이 된다. 이것은 GIS가 정보시스템의 일종이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GIS와 관련된 의사결정의 핵심은 공간적 의사결정이 된다. 공간적 의사결정은 공간을 채우고 있는 사상과 그러한 사상들 간의 관계에 관한 의사결정을 말한다. 특정 기능이 입지해야 할 지역의 선택이라든가, 유해물 처리장의 영향을 분석하는 경우 등을 예로 들 수가 있다. 이런 측면을 중시하여 붙여지는 명칭의 경우에는 다른 분야에서 개발되는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들과 연계하여 하나의 커다란 정보시스템임을 강조하게 된다. GIS는 공간상에 분포하는 제반 요소의 정보를 압축하여 의사결정을 보조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GIS를 하나의 시스템이라는 견지에서 시스템의 구성부분과 시스템의 기능을 중심으로 정의하면 "공간상 위치를 점유하는 지리자료(Geographic data)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Attribute data)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저장·갱신·처리·분석·출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지리자료, 인적자원의 총체적 조직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GIS의 역사와 발전
2.1. 1960년대

1960년대는 GIS가 시작된 시기이다. GIS가 캐나다에서 처음으로 시작되게 된 것은 컴퓨터 기술의 지원과 더불어 사회경제적 필요에 의해서였다. 캐나다의 CGIS가 자원관리문제로 고심하던 각 국에 소개되었고, 이에 따라 많은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당시 컴퓨터 설비는 무척 고가였기 때문에 학교나 사기업 부문에서 고가인 GIS를 도입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이 시기에 GIS의 발전은 주로 공공기관에 의해 이루어졌다. 한편, 이 시기에 학계에서는 래스터식 자료분석을 위주로 한 GIS를 발전시켰는데, 함부르크 대학의 GRID, 메릴랜드 대학의 MANS 등을 꼽을 수 있다. 그 외에도 SYMAP, MIADS, MIADS2, MLMIS, GEOMAP, MAPS 등등 많은 래스터 자료처리 시스템이 나타났다. 벡터식 자료처리는 캐나다의 CGIS와 미국의 DIME이 대표적인데, 특히 DIME은 위상관계(Topology)를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는 시스템이었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1960년대는 컴퓨터를 이용한 지리적 분석의 틀이 확립된 시기였으며, 시스템의 개발이 정부의 필요에 따라 시작됐고 시스템 사용은 각 기관에 한정되어 있었다.


2.2. 1970년대

1970년대는 컴퓨터 기술이 크게 발전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 그래픽 처리 기술이 획기적으로 도약하였으며, 메모리와 저장장치 성능도 크게 개선되었다. 이에 따라 GIS 하드웨어의 가격이 하락하면서 GIS의 저변이 크게 확대되었다. 특히 대학에서 많이 도입되어 GIS 실험실이 설치되기도 하였다. 국제적으로도 GIS 관련 학술대회가 개최되었는데, 1970년 캐나다 오타와에서 IGU와 UNESCO가 후원한 GIS 연구발표회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시기 GIS 시스템의 수는 크게 증가하였지만, 대부분이 1960년대 개발된 알고리즘을 복제하는 수준이었고 특별한 기술적 진전은 없었다. GIS 이용 분야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었는데, 하나는 천연자원 관리 및 환경 분야로 래스터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고, 다른 하나는 토지 및 공공시설 관리 분야로 벡터 방식이 더 많이 사용되었다.


2.3. 1980년대

1980년대는 GIS가 세계 각 국으로 확산되었던 시기이다. 이 시기에 이르러 GIS는 북미와 소수의 선진국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개도국과 후진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 당시 GIS가 활발했던 나라를 보면 영국, 독일, 프랑스, 노르웨이, 스웨덴, 네덜란드, 이스라엘,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소련, 일본, 대만, 그리고 한국을 들 수 있다. 특히 개도국은 막대한 재원을 중앙정부에서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투자 목표의 설정과 투자효과의 분석과 같은 투자 전략에서 GIS가 유용한 도구로 평가받았으며, 기반시설의 관리에도 이용되었다. 이 시기에 이르러 국제적 차원의 연구도 추진되었는데, 예컨데 FAO가 실시한 아프리카 북부의 사막화 방지 프로그램이 그것이다. 이 시기에 GIS의 공간자료에 위상관계(topology)가 채택되고, 독특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도 시스템에 포함되었다. 이 당시 출현한 대표적 데이터베이스시스템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들 수 있다. 키필드를 중심으로 많은 수의 자료를 연결시켜 처리하는 관계형 자료처리 방법과 위상관계자료가 연계됨으로써 위치자료와 속성자료를 함께 처리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1980년대의 또 다른 특징 중의 하나는 인공지능(AI)이 주목을 받았다는 것이다. 인공지능에 관한 연구는 두 가지 흐름으로 요약되는데, 하나는 인공 신경망 이론(Neural Network)이고 다른 하나는 지식기반 전문가시스템(Knowledge Based Expert System)이다. 1980년대의 또 다른 변화는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의 도입과 공간자료를 분석하는 GIS 프로그램들이 모듈(module)화 되었다는 것이다. 워크스테이션의 도입은 기존의 메인프레임보다 저렴한 가격에 기대 이상의 효과를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모듈화되었기 때문에 목적에 맞는 프로그램만 선별하여 구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GIS의 상품화와 다용도화를 급진전 시켰다. 1980년대는 GIS가 급성장한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GIS가 개도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위상관계를 갖는 공간자료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었다. 또한 인공지능의 도입은 지식에 대한 접근을 가능케 했으며, 워크스테이션의 도입과 프로그램들이 모듈화로 GIS 이용계층을 확대하게 되었다.


2.4. 1990년대

1990년대는 GIS 기술이 보다 성숙해지고 응용분야도 확산되는 시기이다.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의 발달로 인해 GIS 시스템 비용이 감소되고 있으며, 특히 PC의 성능 향상이 이러한 추세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데이터 입력 부분도 크게 개선되고 있는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특정 사상의 위치좌표를 손쉽게 제공하고, 원격탐사기술의 향상으로 정확한 자료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자료의 저장과 관리에 있어서도 광디스크 등 저장매체의 발달과 자료관리 소프트웨어의 획기적인 발전이 전개되고 있다.

GIS는 삼차원 분석 능력(3-D)이 더욱 향상되어 GIMS(Geographic Information Modelling System)로 확장될 것이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의 최신 컴퓨터 기술이 GIS에 도입되어 비전문가들도 손쉽게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발전되고 있다.


3. GIS의 기능
3.1. 추출

공간 데이터의 추출은 조작이나 선택기능을 포함하지만, 새로운 공간객체를 생성하거나 공간객체의 위치를 수정하지 않는다. 추출과정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자료가 그대로 추출되어 제공된다. 예를 들어, ARC/INFO 소프트웨어에서 Arc 상태에서 RESELECT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명령은 특정 속성 값을 기준으로 원하는 객체만을 선별하여 새로운 커버리지를 만드는 것이다. 즉,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의 도로 등급별로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다면 RESELECT 명령을 통해 원하는 도로 등급만 추출할 수 있다. 이처럼 추출 기능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자료를 그대로 선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추출 기능은 공간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기 때문에 GIS의 핵심 기능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3.2. 분류와 단순화

분류(Classification)란 일정한 특징을 기준으로 유사한 것끼리 그룹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GIS 시스템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분류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레이어가 존재하는 경우, 분류는 관련된 분류명...


참고 자료

◇ 김상원, 정보시스템의 안전대책과 컴퓨터범죄의 방지대책, 연세대
◇ 김종남, 박석희, 인터넷 관광정보가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제48회 학술심포지엄, 2000
◇ 김창호 외, 1996, 교통부문 지리정보체계 구축 기본계획 구상, 국토개발연구원
◇ 박상규,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새로운 접근방법, 동국대 회계학논총, 1994
◇ 백인구, 이강준, 한기준, 한국형 지형공간 데이터 Clearinghouse의 설계 및 구현, ꡐ99 개방형 지리정보 시스템 학술회의 논문집 제2권 2호, 1999. 6.
◇ 이치게 아키라 저, 송승호 역, IT혁명의 핵심 정보시스템
◇ 조혜경, 김영섭, 김상은, 공간정보 유통 및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 1, No. 1, 1998,
◇ 한국전산원,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정보유통을 위한 정보기록방식(메타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연구, 1997.
GIS를 이용한 광산폐기물 침출수의 지표 이동경로 분석모델 개발, 김성민 외 5인,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Vol. 48, No. 5(2011) pp. 560-572.
○ 과학기술처, 지리정보시스템활용기법, 1993
○ 광주동신여자중학교, 학교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효율적인구축 및 활용 방안, 2000.
○ 김성일, 산림환경정보시스템 구축방안 기본계획수립, 1994
○ 윤우진, 조대수, 홍봉희, OLE/COM을 기반으로 한 OpenGIS 미들웨어 설계, 99 개방형 ○ 지리정보 시스템 학술회의 논문집 제2권 2호, 1999. 6.
○ 이규성, 지리정보시스템(GIS) 이용과 산림 병충해 관리 : 소나무 좀벌레의 모형적 예. 한국임학회지, 1985
○ 정보통신부, 국가지리정보체계 표준화, 1995.
○ 허문희, 피의섭, 이도한, 이석형,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농촌소득작목재배적지 선정, 한국GIS학회지, 1994
○ GeoNetKorea 생활지리정보서비스 http://www.geonetkorea.com/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