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 사회복지와 장애인복지관
지역사회 사회복지는 지역사회의 문제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복지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이다. 장애인복지관은 이러한 지역사회 사회복지의 주요 실천 현장으로, 장애인과 가족의 생활안정과 자립, 그리고 지역사회 통합을 도모하기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의 재활 및 자립생활 지원, 사회참여 증진, 가족지원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장애인의 욕구 사정과 개별화된 서비스 제공, 지역사회 자원 개발과 연계, 장애인의 역량 강화 및 사회참여 기회 제공, 가족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여 장애인의 지역사회 생활을 지원한다. 또한 지역사회 내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인식 개선, 장애인의 권리 옹호 등의 기능도 담당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통합을 지원하고, 지역사회의 장애인 복지 증진에 기여한다. 장애인복지관의 이러한 역할과 기능은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발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1.2. 장애인복지관의 역할과 기능
장애인복지관의 역할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의 복지증진과 자립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담당한다. 첫째, 장애인의 재활 및 자립을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의료재활, 직업재활, 사회적응훈련 등의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장애인의 기능회복과 사회통합을 지원한다. 둘째, 장애인의 사회참여 기회를 증진시킨다. 장애인의 문화, 여가, 체육활동을 지원하고 이를 통해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자아실현을 도모한다. 셋째, 장애인 가족에 대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장애인 가족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가족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가족교육, 상담, 휴식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넷째, 지역사회와의 연계와 협력을 강화한다. 지역 내 장애인 관련 서비스와 자원을 발굴하고 연계함으로써 장애인에게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사회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과 홍보를 실시한다. 다섯째, 장애인의 권익 옹호 활동을 수행한다. 장애인의 권리와 이익을 대변하고 차별 해소를 위해 노력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통합을 도모한다. 이처럼 장애인복지관은 장애인의 복지증진과 권익 증진을 위해 다각도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1.3.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사회복지공부를 시작하면서 사회복지와 관련된 정부 방침이나 TV나 신문을 통해 보도되는 복지 관련 뉴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일상생활에서도 지역사회 복지관에서 하는 복지 사업이나 프로그램과 관련된 플랜카드가 붙어 있으면 한 번쯤 보게 되고 관심을 기울이게 되는 것 같다. 내가 살고 있는 곳은 강원도 원주로 크지는 않지만 종합사회복지관을 통해 주민의 삶에 필요한 자원과 서비스가 공급되고 있다. 본론에서는 본격적으로 기관탐방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복지관이 하고 있는 사업과 기능상의 유용성과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복지실천에 있어 주된 실천현장인 복지관에 대해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2. 본론
2.1. 진천군 장애인복지관 운영 현황
진천군 장애인복지관은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진천군 장애인복지관은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 등 15개 분야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재가복지사업, 장애인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 사업, 지역사회와의 협력 및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내에서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진천군 장애인복지관은 재가복지사업을 통해 장애인의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하고 있다. 진천읍과 덕산읍 뿐만 아니라 이월면, 광혜원면, 초평면, 문백면 등 진천군 전체 지역을 대상으로 재가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내 장애인의 욕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