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정신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정신간호중재
1.1. 위기 중재
1.1.1. 원리
1.1.2. 위기중재 기법
1.2. 위기 중재의 형태
1.2.1. 입원 시 간호
1.2.2. 지역사회
2. 대상자 사정
2.1. 대상자 사례
2.2. 대상자 사정
2.2.1. 효율적인 지역사회정신건강간호 중재 방안
2.2.2. 관련되는 간호진단
2.2.3. 정책적 방안
3. 참고문헌
3.1. 동두천시정신건강복지센터
3.2. 수원시 생애주기별 정신건강복지센터
3.3. 국립정신건강센터
3.4. 한국정신사회재활협회
3.5. 보건복지부
3.6.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정신간호중재
1.1. 위기 중재
1.1.1. 원리
목표는 정서적 평형을 회복하여 개인이 위기 이전의 기능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또한 현재 상황에 초점을 두고 중재 계획을 수립한다. 위기 중재는 보통 4~6주 내에 해결해야 하며, 간호사는 능동적 · 직접적으로 위기 중재에 참여한다. 현실적인 목표 설정으로 현 상황에 초점을 두고 중재 계획을 수립한다.
1.1.2. 위기중재 기법
신속한 해결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창조성과 유연성이 필요하다. 감정정화, 제안, 조작, 강화 행동, 명료화, 방어기전의 지지, 자존감의 고양, 해결책 탐색 등의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위기중재 기법을 적용할 때 다음과 같은 원칙을 지켜야 한다. 첫째, 대상자가 자신의 위기 상태에 대해 지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다. 둘째, 대상자가 현재의 느낌을 말로 표현하도록 한다. 셋째, 대상자의 적응 방법 또는 대처기전에 대해 탐색한다. 넷째, 대상자의 사회와의 관계를 재형성한다. 다섯째, 긴장/불안을 감소하는 데 효과적이었던 적응기전을 강화시킨다.
위기중재 기법을 통해 대상자의 정서적 평형을 회복하고, 위기 이전의 기능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현실적인 목표 설정과 현 상황에 초점을 두고 중재 계획을 수립한다. 정신간호사는 능동적이고 직접적으로 위기 중재에 개입한다.
1.2. 위기 중재의 형태
1.2.1. 입원 시 간호
위기 상황에 처한 정신질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입원이 필요할 수 있다. 입원 시 간호는 정신질환자의 위기 상황을 해결하고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입원 시 간호는 ShieLd(1975)가 제시한 위기 중재의 위계적 4단계 중 첫 번째 단계인 상황적 지지 제공에 해당한다. 이는 위기 상황에 있는 정신질환자의 신체와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변화를 주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황적 지지 제공을 위한 간호중재로는 심리적 응급처치, 일반적 지지, 일반적 접근, 그리고 개별적 접근이 있다. 심리적 응급처치는 정신간호사가 정신질환자 옆에 있으며, 도와주는 사람이 있다는 느낌을 가지도록 제공하는 방법으로 안심, 온정, 감정이입, 돌봄 경청, 치료적 의사소통 등이 활용된다. 일반적 지지는 유사한 형태의 위기에 직면한 모든 정신질환자에게 적용되는 방법으로, 고인과 관계된 것을 극복하고 새로운 형태의 관계 형성을 발견하는 것을 통해 효과적으로 슬픔을 해결하는 것이다. 일반적 접근은 특별한 문제가 있는 정신질환자에게 적용되는 방법으로, 심리적 안정 되찾기, 정보 제공, 잘못된 인지 교정, 효과적 대처를 위한 지지, 사회적 지지 확보 등이 포함된다. 개별적 접근은 모든 종류의 위기 중재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특수한 문제가 있는 정신질환자에게 적용된다.
위기 집단 모임도 입원 시 간호의 한 방법이다. 이는 고립을 예방하고 동료들의 감정 표현을 통해 위안을 받을 수 있으며, 문제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기 가족 중재도 중요한데, 어떤 가족 구성원이 가장 고통받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맞춰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이처럼 입원 시 간호는 정신질환자의 신체와 대인관계에 직접적인 변화를 주어 위기 상황을 해결하고 회복을 도모하는 다양한 전략으로 구성된다.
1.2.2. 지역사회
지역사회정신건강간호중재에서 위기 중재의 형태 중 지역사회 부분은 다음과 같다.
위기 전화는 24시간 내내 운영되어 어떤 종류의 도움이라도 즉각 행해진다.
면접 상담은 즉각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두며 5~6회기까지 지속되며 개인, 가족, 집단을 포함한다.
가정방문은 직접 관찰로 자료를 더 수집해야 하는 경우에 시행되며 위기 중재 경험이 풍부한 팀으로 구성되어 혼자 방문하는 것보다 덜 위협적인 것처럼 생각된다.
이동 위기 프로그램은 이동 위기 팀을 구성하여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현장에서 다학제적인 접근으로 위기 중재를 제공하...
참고 자료
동두천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 검색, www.cmhc.or.kr, (200602)
성인센터, 수원시 생애주기별 정신건강복지센터 통합홈페이지,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 검색, www.suwonmental.org, (200602)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 검색, www.ncmh.go.kr, (200602)
한국정신사회재활협회,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 검색, www.kapr.or.kr, (200602)
보건복지부(2019), ‘정신건강복지센터 인력 확충하고, 24시간 출동 응급개입팀 설치한다!’, 정부 24 – 정책뉴스, www.gov.kr/potal/service/serviceInfo/328000000189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2015),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현황과 효과성, 국내 및 외국사례들에 대한 조사’, 국립공주병원, 5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