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본의 미술과 애니메이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일본의 미술과 애니메이션
2.1. 일본 예술 산업의 발전
2.1.1. 만화와 애니메이션 산업
2.1.2. 게임 산업
2.2. 일본 애니메이션의 특징과 현황
2.3. 일본 게임 산업의 변화와 성장
3. 한국 애니메이션의 현황과 과제
3.1. 한국 애니메이션의 특징
3.2. 한국 애니메이션의 문제점
4. 애니메이션과 관광의 융합
4.1. 아니메 투어리즘
4.2. 콘텐츠 투어리즘의 사례와 전략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일본의 미술과 애니메이션 산업은 그 역사와 현황이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일본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섬나라로, 현대일본의 문화는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일본의 예술 산업은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문학, 미술,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만화와 애니메이션 산업은 일본 예술 산업 중 가장 위상이 높은 분야이다. 일본 애니메이션은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세계 애니메이션 산업을 이끌어왔다. 스튜디오 지브리, 도에이 동화, 무시 프로덕션 등의 활약이 두드러지며, 2000년대 이후 국제화와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일본은 전 세계에서 방영되는 애니메이션의 60%를 제작하는 "세계 애니메이션 왕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게임 산업 역시 일본 창의 산업의 주요 축을 이루고 있다. 전 세계 비디오 게임 시장에서 일본이 90% 이상의 하드웨어와 50% 이상의 소프트웨어를 점유하고 있을 만큼, 일본 게임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일본 경제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닌텐도,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 등 일본 브랜드 게임기는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2. 일본의 미술과 애니메이션
2.1. 일본 예술 산업의 발전
2.1.1. 만화와 애니메이션 산업
일본의 만화는 1945년 이후 큰 성장을 경험하였다. 1950년대 후반부터 소녀만화가 하나의 장르로 확립되었고, 1957년에는 대본만화로부터 극화가 생겨났으며, 1959년 주간지가 등장하면서 만화는 세계적인 유행을 이루었다. 일본인에 의한 최초의 만화 잡지는 《만화》로, 이는 서양어로 편찬된 잡지이다. 이 잡지의 편찬 이후 일본인에 의한 최초의 만화 잡지 《COM》이 나타났으며, 이후 신문에서도 앞다투어 만화를 게재하게 되었다. 이렇게 탄생한 만화가 디지털 미디어화가 된 것이 애니메이션이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일본의 예술 산업 중 가장 위상이 높은 분야이다. 일본 애니메이션은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쌍벽을 이루며 세계적으로 선도하고 있다. 도에이 동화, 무시 프로덕션, 스튜디오 지브리 등의 활약이 두드러지며, 2000년대 이후에는 작품이 국제화, 디지털화되는 추세가 뚜렷하다. 일본은 "세계 애니메이션 왕국"이라는 명성을 누리고 있으며, 세계 최대의 애니메이션 제작과 수출국이다. 전 세계에서 방영되는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의 60%가 일본에서 제작된다.
일본 애니메이션의 힘은 재미와 감동에 있다. 만화의 본래 뜻이 익살과 해학의 표현이라면 이를 고도로 증폭시킬 수 있는 것이 애니메이션이다. 일본의 애니메이션은 1960년대 《철腕 鐵人28号》를 시작으로 1970년대 《우주전함 야마토》가 인기를 끌었고, 로봇 만화는 끊임없이 사랑받고 있다. 이후 《도라에몽》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까지 애니메이션을 보게 만들었고, 《포켓몬스터》 또한 어른들에게 인기가 많아 일본 애니메이션은 아이들을 넘어 어른들까지 즐겨 보는 문화로 자리 잡았다.
1996년 일본 정부는 경제 대국에서 문화수출 대국으로의 전환을 명시하고 애니메이션 등 문화산업을 국가 중요 산업으로 확정하였다. 이에 힘입어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은 시장의 확대와 세계적으로 수출되어 일본 경제의 기둥 산업 중 하나가 되었다. 애니메이션 산업의 평균 연간 판매 수입은 2,000억 엔에 달하며, 애니메이션 파생상품의 판매 수입까지 합치면 일본 GDP 평균 6%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1990년대 경제 침체 이후 2010년대까지 장기침체를 겪으면서 제작사 난립, 채산성 악화, 작품성 무시 등 다양한 문제가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애니메이션에 대한 열광은 전 세계적으로 지속되고 있으며, 'OTT' 활용 등 새로운 플랫폼 개척으로 시장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소니의 움직임은 디지털 전환과 결합하여 글로벌 시장 점유율 강화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2.1.2. 게임 산업
일본의 게임 산업 발전
일본의 게임 산업은 일본 창의 산업의 강점 중 하나이다. 게임 산업은 이미 일본 경제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전 세계 비디오 게임 시장에서 하드웨어의 90% 이상, 소프트웨어의 50% 이상은 모두 일본에서 제조되어 수출되고 있다. 일본 게임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은 일본에 끊임없는 경제성장을 가져다주었고, 일본의 게임 산업은 사회의 각 방면에 긍정...
참고 자료
만화, 일본의 사회와 문화, 김순전, 제이앤씨, 2011
일본의 애니메이션, 세계 애니메이션 백과, 신홍주, 한울엠플러스
영상산업, 일본의 사회와 문화, 김순전, 제이앤씨, 2011
「일본 애니메이션산업 진흥정책의 배경과 특징」, 오태헌, 경희사이버대학교, 현대일본학회, 2012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의 경쟁력 분석-제작위원회 방식과 미디어믹스를 중심으로-」, 성미나,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1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이 오타쿠 문화에 미친 영향 연구」, 이승재, 국립한국복지대학교,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6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 OTT 플랫폼으로의 구조 전환 중, 안재현, 코트라해외시장뉴스, 2021
『2014년도 일본 게임산업 동향』,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2015년도 일본 게임산업 동향』,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집콕에 따른 일본 가정용 게임 시장의 변화는, 김대수, 코트라해외시장뉴스, 2020
마키코 and 부백 and 유창석. (2019). 일본 애니메이션이 한국인의 일본 국가이미지와 일본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콘텐츠 투어리즘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종합학술대회논문집, 213-214
박희영. (2019). 일본문화산업 속 애니메이션 콘텐츠 활용 방식과 전략 연구. 일본근대학연구, 66, 107-126.
장경재. (2015). 콘텐츠 관광에서 코스프레의 의의와 지역발전에서의 역할. 문화콘텐츠연구, 6, 7-46.
정수희 and 이병민. (2016). 지역의 문화자산으로서 문화콘텐츠와 문화콘텐츠관광 연구: 일본 콘텐츠 투어리즘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28(4), 55-80.
정수희 and 이병민. (2020). 콘텐츠 투어리즘의 구성요소와 한국형 모델 연구. 문화콘텐츠연구, 18, 209-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