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퇴경부골절 c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퇴골 경부 골절의 개념
3. 원인 및 병태생리
4.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5. 증상
6. 합병증
6.1. 무혈성 괴사
6.2. 유합 장애
6.3. 기타 합병증
7. 진단검사
7.1. 방사선촬영술
7.2. 자기공명영상
8. 치료 및 간호
8.1. 보존적 요법
8.2. 내과적 치료
8.3. 외과적 치료
8.3.1. 내부 고정술
8.3.2. 둔부보철
8.3.3. 부분고관절 치환술
8.3.4. 전고관절 치환술
8.4. 간호중재
8.4.1. 전고관절 인공치환술 간호
8.4.2. 골절 간호
9. 결론
9.1. 골절 예방의 중요성
9.2. 간호사, 보호자, 대상자의 적극적 참여 필요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대퇴골 경부 골절은 60세 이상 노인들에게 주로 발생하는 골절 중 하나이다. 이는 고령화와 도시화로 인해 운동량이 감소하고 야외활동이 줄어들면서 비타민 D 부족으로 인한 골밀도 저하로 골절이 잘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노화로 인한 균형감각 저하와 근력 감소로 낙상 위험성이 높아져 대퇴 골절이 호발한다. 이러한 대퇴골 경부 골절은 서고 걸을 수 있는 기본적인 활동에 어려움을 주어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예방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고찰에서는 대퇴골 경부 골절의 개념, 원인과 병태생리, 증상 및 합병증, 진단검사, 치료 및 간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대퇴골 경부 골절의 개념
대퇴골 경부 골절이란 대퇴골두 바로 아래 부위로 엉덩 관절에 속하여 위치하며, 이 부분에 금이 가거나 부러진 상태를 말한다. 대퇴골은 장골 중 하나로 40cm~50cm 정도이며, 양쪽 골반과 무릎관절 사이에 위치하여 전체 신장의 약 1/4 정도를 담당할 정도로 가장 길고 크며, 단단한 골조직이다. 대퇴골 근위부의 중요 해부구조로는 대퇴골두, 대퇴경부, 대전자 및 소전자가 있다. 양측 말단부에 골절이 생기면 비교적 수월하게 뼈가 다시 붙을 수 있지만, 가운데인 몸통 부위가 골절되면 상당수에서 뼈가 잘 붙지 않는다. 골반과 엉덩 관절을 통해 전달되는 체중을 지탱하면서 걷고 달리는 하지의 기본 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3. 원인 및 병태생리
대퇴골 경부 골절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대퇴골 경부 골절은 60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주로 발생한다. 특히 고령화와 도시화로 인해 운동량 감소, 야외활동 저하 등 생활 습관 변화로 비타민 D 생성이 부족해 뼈 강도가 저하되어 골절의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생활 습관은 근육량을 감소시키고 균형 감각이 저하, 척추 및 관절의 퇴행을 초래하여 노인에게 위험한 낙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골다공증 빈도가 높아져 골절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외에 젊은 사람에게는 추락이나 교통사고와 같은 심한 외상으로 발생하거나 칼슘과 비타민 D 부족, 과도한 단백질, 카페인 섭취, 흡연 알코올 섭취, 항정신성 약물복용 등의 원인이 있다.
이처럼 대퇴골 경부 골절은 노화 및 생활 습관 변화, 호르몬 변화, 외상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발병률이 높다. 골다공증이 동반되거나 심한 외상으로 인해 뼈가 약해지면 작은 낙상에도 쉽게 골절이 발생하게 된다.
4.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대퇴골은 장골 중 하나로 40cm~50cm 정도이다. 양쪽 골반과 무릎관절 사이에 위치하며 인체의 전체 신장의 약 1/4 정도를 담당할 정도로 가장 길고 크며, 단단한 골조직이다. 대퇴골근위부의 중요 해부구조로는 대퇴골두(femoral head), 대퇴경부(femoral neck), 대전자(greater trochanter) 및 소전자(lesser trochanter)가 있다. 양측 말단부에 골절이 생기면 비교적 수월하게 뼈가 다시 붙을 수 있지만, 가운데인 몸통 부위가 골절되면 상당수에서 뼈가 잘 붙지 않는다. 골반과 엉덩 관절을 통해 전달되는 체중을 지탱하면서 걷고 달리는 하지의 기본 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5. 증상
대퇴골 경부 골절의 증상이다. 외상이 있으면서 하지를 움직일 수 없다. 골절이 심하면 다리가 짧게 보일 수 있다. 엉덩이 관절을 움직이면 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양반다리를 하면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부전골절의 경우 골다공증이 심한 환자에서 대퇴경부의 전위가 없는 골절이 발생하며, X-ray상에서 골절이 잘 보이지 않아 놓치는 경우가 많고 시간이 경과한 후에 골절 부위의 골진이 보이면서 골절이 진단되는 경우가 흔하다.
6. 합병증
6.1. 무혈성 괴사
무혈성 괴사는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주요 합병증 중 하나이다. 조직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뼈조직이 사멸되는 것으로, 특히 대퇴의 두부와 경부가 분리되면서 혈액공급이 심하게 손상받으면 발생한다.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이 가끔 통증이 있다가, 괴사 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면 괴사부위에 골절이 발생하면서 증상이 나타난다. 주로 걷거나 활동할 때 통증이 심해지고 움직이기 어려워 절뚝거리게 되며, 양반다리를 하고 앉는 것이 힘들어진다. 대퇴골두의 함몰이 악회되면 다리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무혈성 괴사는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에게 매우 중요한 합병증이므로, 주기적인 경과 관찰과 함께 예방 및 조기 발견,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6.2. 유합 장애
유합 장애에는 지연 유합, 불유합, 부정유합 등이 있다. 정복과 고정 방법이 잘못되거나 혈액 공급이 불충분할 때 이러한 합병증이 발생한다. 지연 유합과 불유합은 골절 부위에 감염이 있거나 두 골절편...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1 (2021),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2 (2021),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
「방치하면 2년 내 사망률 70%, 고관절 골절 예방하려면?」. 코메디닷컴. 2020.05.14. 이지원 기자 - https://kormedi.com/1317061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64
윤은자, 김숙영 외 공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2021, p.1005~p.1036
이은희, 김유정 외 공저,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021, p.320~p.321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64 대퇴 골절, 2023.04.19.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5091000010, 파라마셋이알세미서방정, 2023.04.1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7120400002, 가스모틴에스알정, 2023.04.1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9081900067, 디페리손서방정, 2023.04.1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HHHHH0249, 훼로바유서방정, 2023.04.1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8022700008, 리리카캡슐 50mg, 2023.04.1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1493, 라트롤주, 202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