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비염 급성기관지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대상자 선정 동기
2. 본론
2.1. 환아의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2.2. 성장 발달상의 특성
2.3. 환아 소개
2.4. 간호과정
2.4.1. 간호사정
2.4.2. 간호진단
2.4.3. 간호중재
2.4.4. 간호평가
3. 결론
3.1. 퇴원 교육
3.2. 느낀 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 기관지염 증상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매년 봄마다 찾아오는 미세먼지로 인해 기관지염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어린이의 경우 성인보다 면역력과 호흡기가 덜 발달해 기관지염에 걸릴 위험이 높다. 봄철 미세먼지와 황사, 꽃가루 등으로 어린이들의 기관지염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 콧물, 기침, 가래 등의 증상으로 감기로 오인하기 쉬우나 기관지염은 증상이 1주일을 넘기는 경우가 많다. 치료를 소홀히 하면 폐렴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이후 천식 발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지속적인 고열과 잦은 기침으로 힘겨워하는 환아들의 모습을 보며, 급성 기관지염 환아를 대상으로 한 심층적인 사례연구를 통해 환아의 빠른 회복을 돕는 적절한 간호중재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1.2. 대상자 선정 동기
좌천일신기독병원 5병동에 입원한 아동들은 대부분 호흡기 기능장애 문제로 입원하였다. 그중 기관지염은 소아에게 많이 발병하는 질환이며, 실제로 실습하고 있는 병동에도 기관지염을 앓고 있는 환아가 많다. 기관지염은 고열, 기침, 가래, 구토 같은 증상을 동반하며 심할 경우 청색증이나 호흡곤란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다른 합병증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소아에게 위험한 질병이다. 따라서 환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서 기관지염이 어떤 질환인지 더 깊게 공부하고 환자를 어떻게 간호할 것 인지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선정하였다.
2. 본론
2.1. 환아의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급성 기관지염의 병태생리 및 원인
급성 기관지염은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바이러스 중에서도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아데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 등이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바이러스들이 기관지 점막을 침범하여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기관지 점막이 두꺼워지고 충혈되면서 점액이 과다 생성되어 끈적끈적한 가래가 나오게 된다. 기관지 내강이 좁아지면서 호흡이 어려워지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병태생리는 영구적인 조직 손상이나 기능 장애로 이어지지 않는다.
세균 감염에 의한 경우도 있지만 전체 급성 기관지염 환자 중 약 10% 정도만 차지한다. 폐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클라미디아, 백일해균 등의 세균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참고 자료
김희순 외, 아동청소년간호학Ⅰ, 수문사, 2019
김희순 외, 아동청소년간호학Ⅱ, 수문사, 2019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
MSD 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
의학검색앤진, https://www.kmle.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외 공저, 고문사 2019
급성 기관지염 문헌고찰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사정, 임상검사 / 성인간호학1,2 수문사
약물 / 약학정보원
특수검사 / 간호학대사전
Denver Ⅱ 검사 / 아동간호학1 수문사
Wong-Baker의 얼굴 통증 척도
NANDA 간호진단
간호과정 / 아동간호학1, 아동간호학2, 기본간호학,
「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 이수연, 김태임 외. 수문사
「 제 7판 성인간호학 」. 황옥남, 유양숙 외. 현문사
「 최신 기본간호학Ⅰ, Ⅱ 」. 손정태, 이현주 외. 현문사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세기관지염
드러그인포(http://www.druginfo.co.kr/)
〔네이버 지식백과〕 세기관지염 〔bronchitis〕
제2판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 성미혜 외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