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동물 자격증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실험동물 자격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동물 자격증
1.1. 실험동물의 정의와 사용한 실험동물의 정보
1.2. 실험일자: 5월 26일
1.3. 실험일자: 5월 27일
1.4. 실험일자: 5월 28일
1.5. 참고문헌

2. 반려동물학
2.1. 1번문제
2.2. 2번문제
2.3. 참고문헌

3. 포항공과대학교 지원 맞춤형 생활기록부 기재 예시
3.1. 진로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3.2. 자율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3.3. 동아리 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동물 자격증
1.1. 실험동물의 정의와 사용한 실험동물의 정보

실험동물이란 연구(검정, 진단, 교육, 제조) 목적에 맞게 육성, 번식, 생산한 통제된 동물로 인간을 대신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반응을 나타내는 '살아있는 시약, 살아있는 측정기'이다. 본 실험에서는 Specific Pathogen Free(SPF) 랫드 2마리, 마우스 1마리를 사용하였다. 암컷 랫드 1마리는 155g, 수컷 랫드 1마리는 179.41g, 수컷 마우스 1마리는 5주령 체중이 기록되지 않았다. 실험동물의 정보는 표1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1.2. 실험일자: 5월 26일

랫드 꼬리를 잡고 꺼낸 다음 표면 위/케이지 뚜껑 위에 올리고, 반대 손으로 랫드의 뒤쪽에 접근하여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경부 주위를 감싼다. 엄지손가락은 앞다리의 뒤쪽에서 겨드랑이에, 손가락 끝은 아래턱 하부에 위치시켜 사이에 넣고 나머지 손으로 몸통을 편하게 감싸 물리거나 랫드의 머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1번 랫드에는 한줄로, 2번 랫드에는 두줄로 표식을 한다.

경구투여 시 금속제 존데를 이용하여 왼손의 검지로 경추를 고정하고, 보정하였을 때 몸과 머리가 정확히 고정되었을 때 존데를 오른쪽 귀 밑 부분의 피부를 잡아당기면서 손바닥으로 랫드의 몸을 지탱하며 용액을 투여한다.

복강투여 시 투여할 용액을 주사기에 정해진 양만큼 넣고 랫드를 보정한 후 복부 중심으로 주사기의 주사침을 45도 각도로 약 5mm정도 찌른다.

피하투여 시 투여할 용액을 주사기에 준비한 후 랫드의 양 귀쪽 뒷목의 피부를 삼각형 모양으로 보정하고, 알코올 솜으로 소독한 후 삼각형 중앙에 등과 평행하게 주사침을 꽂는다.

근육투여 시 투여할 용액을 주사기에 정해진 양만큼 넣고, 보정자가 왼손을 이용하여 복강투여와 같은 방법으로 보정한 후 실험자가 왼쪽 또는 오른쪽 중 원하는 뒷다리 대퇴부를 알코올 솜으로 소독하고 주사침을 피부표면에 수직으로 약 1mm정도 깊게 찌른다.

1번 랫드는 192.17g, 2번 랫드는 182.57g의 체중을 보였다. 첫째 날 사료는 165.49g, 음수는 465.98g이었고, 둘째 날 사료는 122.35g, 음수는 398.72g이었다.

랫드 보정의 다른 방법으로는 한손으로 꼬리를 잡아당기고 다른 손으로 등과 경부의 피부를 강하게 잡는 방법이 있다. 개체 표식의 다른 방법으로는 귀천공법, 색소 도포법, 입묵법, 제모법 등이 있다.

경구투여 시 약물조제와 투여액량 계산 시 한계 용량 설정, 용매 및 투여액량 선택, 적절한 대조군 설정이 중요하다. 복강내투여, 피하주사, 근육내주사에 대한 실험 의의 및 주의사항, 실험 방법도 학습하였다.

사료 섭취량과 음수 섭취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사료는 43.14g, 음수는 67.26g 감소하였다.


1.3. 실험일자: 5월 27일

5월 27일에는 채변 검사, 채뇨 검사(뇨검사), 실험동물의 투여, 마취, 제모 및 피내투여, 채혈 등의 활동이 이루어졌다.

먼저 채변 검사와 채뇨 검사를 실시하였다. 채변 검사를 통해 변의 육안적 검사와 이상성분 검사를 실시하였고, 채뇨 검사를 통해 뇨의 양적 변화와 이상성분(단백질, 당, 혈구, 세균 등)의 출현을 확인하여 질병 진단에 활용하였다.

이어서 정맥 내 주사 실험을 진행하였다. 정맥 내 주사 시 정맥 내로 정확하게 주사액이 주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피스톤을 당겨 혈액이 유입되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특히 꼬리정맥주사 방법을 활용하여 주사했다.

마취, 제모 및 피내투여 실험도 이루어졌다. 피부와 피부 사이의 얕은 층에 약물을 주입하는 피내주사 실험을 통해 면역 알러지 반응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채혈 실험을 진행하였다. 심장채혈, 안와정맥채혈, 경정맥채혈 등의 다양한 채혈 방법을 활용하여 혈액을 채취하였다. 이를 통해 실험동물의 건강 상태와 약물의 생체 내 영향을 분석할 수 있었다...


참고 자료

https://smartstore.naver.com/healthglobal/products/4686153470?NaPm=ct%3Dkay1cpnk%7Cci%3Dab128653d49e34336d966ef15b09fe28a570a710%7Ctr%3Dsls%7Csn%3D789828%7Chk%3D29d6f1cee15313ce674c95deea1cca674467b67c
https://m.blog.naver.com/ling1134/70177407009
양철주 외, 『반려동물학 개론』. 박영사, 2022.
김옥진, 『동물매개치료입문』. 동일출판사, 2023.
김옥진, 『인간과 동물』. 동일출판사, 2014.
김옥진 외, 『반려동물관리학』. 동일출판사, 202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