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안전보건관리체계 라인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안전보건경영의 현황과 개선과제
1.1. 회사경영에 있어서 안전보건의 역할
1.2. 안전보건경영 전략의 단계와 주요 내용
1.3. 국내 안전보건경영 실태와 문제점
1.4. 안전보건경영 개선을 위한 정책적 방안
2.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 방안
2.1.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2.2. 간호인력 확충 및 전문성 강화 방안
2.3. 간호사 인권보호와 조직문화 개선
2.4. 간호인력 정책기반 조성
3. 안전관리 조직의 유형과 산업안전표지
3.1. 안전관리 조직의 개념과 유형
3.2. 산업안전보건 표지의 설치 기준 및 종류
3.3. 사업주와 근로자의 안전보건표지 준수사항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안전보건경영의 현황과 개선과제
1.1. 회사경영에 있어서 안전보건의 역할
회사경영에 있어서 안전보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기업경영은 기업의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에 필요한 제반활동을 계획하고, 이를 조직하고, 통제하는 의도적인 노력을 의미하며, 경영은 어떠한 체제의 사회나 어떠한 형태의 조직에서든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도적인 노력이 있는 곳이라면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현상이다. 최근 경영학의 연구대상이 단지 기업에만 국한되지 않고 일정한 목적을 달리하기 위해서 합리적인 행동규범에 따라 통일적으로 행동하는 모든 조직체가 그 대상이 되고 있으며, 산업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안전보건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제 기업경영에 있어 안전보건은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경영의 주체는 인적요소이며, 기업이라는 조직이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제반활동을 계획하고 조직하고 통제하는 일련의 경영과정은 인적조직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안전보건에 경영이 결합함으로써 그동안 기계, 설비, 기구, 원료, 에너지, 노동력 등에만 초점을 맞추었던 방식에서 벗어나 인적조직을 바탕으로 두고 계획, 조직, 통제라는 경영과정을 통하여 안전보건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변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안전보건에 대한 관심과 의식수준이 경제발전 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떨어져 있었지만, 이제는 무한경쟁시대에서 생산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안전보건문제를 뒤늦게나마 인지하고 이를 위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안전보건은 기업경영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2. 안전보건경영 전략의 단계와 주요 내용
안전보건경영 전략의 단계와 주요 내용이다.
안전보건경영 전략의 첫 단계는 안전의 위상이다. 기업경영의 기반요인으로 안전을 위상화하고 기계설비의 안전화와 근로자의 안전을 우선하며 전반적인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안전경영기반 조성이다. 안전조직 체계, 안전정보와 안전기술 확보체계, 인적자원의 안전역량 향상체계를 구축하여 위험을 과학적으로 관리한다. 이를 위해 과거 사고사례 조사와 관련 정보수집, 안전기준과 규정 제정, 정기적인 안전교육 등을 실시한다.
세 번째 단계는 안전경영의 종합 추진이다. 시스템 안전관리, 라인 안전관리, 자율 안전관리, 전문적 안전관리가 병행되어야 한다. 시스템 안전관리는 기능, 시간, 비용 등을 고려한 재해 및 손상 최소화 관리이며, 라인 안전관리는 현장 라인에서의 사고예방 활동이다. 자율 안전관리는 전통적 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새로운 리더십 패턴이며, 전문적 안전관리는 체계적인 계획-조직-지도-통제 프로세스를 통한 사고원인 규명 및 대책 수립을 의미한다.
네 번째 단계는 위험의 통제이다.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고 제거하거나 차단하여 안전을 도모한다. 기계설비 및 결함을 발견하여 배제하고, 새로운 기술이나 기계 도입 시 잠재적 위험을 평가하며, 안전한 작업절차 및 보호장비 착용 등으로 위험요인에 대한 접촉을 차단한다. 또한 사고 발생 시 정확한 원인 규명과 재발방지대책 수립을 통해 동종재해를 예방한다.
마지막 다섯 번째 단계는 무재해의 실현이다. 철저한 위험 대비와 사고관리로써 무상해, 무재해, 무질병, 무손해, 무손실이 보장되는 이상적 사업장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이처럼 안전보건경영 전략은 5단계로 구성되며, 단계별 주요 내용과 목표를 통해 기업의 안전관리 수준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1.3. 국내 안전보건경영 실태와 문제점
우리나라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현황을 살펴보면, KOSHA 18001 인증의 경우 1999년도부터 시행되어왔으며 매년 약 30~50개 사업장에서 인증을 ...
참고 자료
신민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건설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안태호, 「안전보건경영시스템(표준)에 대한 국내기업의 동향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정상기, 「중소기업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취득시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한상백, 「ISO 45001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유지 활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보건복지부,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대책」 발표 1)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262
간호정책 본격 추진을 위한“간호정책 TF” 출발 2)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7674
보건복지부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개선」 주요 간호정책 3)
https://khna.or.kr/home/notice/news.php?wr_id=12093
조규홍 보건복지부장관, 이대 목동병원 방문하여 간호사 근무환경 개선방안 의견수렴 4)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75909&page=1
안전 및 재난관리의 주요이론, 오태근, 송창근, 윤성사, 2019.01
산업안전보건관리의 이론과 실제, 정진우, 중앙경제, 2014.12
인간중심의 현대안전관리, 정병용, 민영사, 2019.09
조선일보, 김명진, 2021.5.7. 300kg 철판에 소리도 못 내고...故이선호씨 누나의 눈물
중앙경제사, 정진우, 2015.10.12. 산업안전보건관리론 이론과 실제
안전보건공단, 자료마당, 산업재해 현황
안전저널, 정태영, 2021.4.16. 2020 산재 사고사망자 882명... 전년 비 27명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