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치매와노인부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고령화 사회와 노인 치매 문제
1.2. 치매노인 부양의 사회적 이슈 부각
1.3.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어려움
2. 노인 치매의 이해
2.1. 치매의 정의 및 유형
2.2. 치매의 원인과 증상
2.3. 치매 노인의 현황과 문제
3.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부양부담
3.1. 부양부담의 개념
3.2.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부양부담 유형
3.3.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치매노인 및 부양가족 지원 정책
4.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4.2. 치매 관련 복지서비스 및 프로그램
4.3. 치매 부양가족 지원 정책 현황과 문제점
5. 치매노인 부양가족을 위한 개선방안
5.1. 부양부담 경감을 위한 경제적·심리적 지원
5.2. 치매 예방과 관리를 위한 국가 책임제
5.3. 치매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 강화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고령화 사회와 노인 치매 문제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노인 인구의 비율이 7%를 초과하면서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오는 2025년에는 노인 인구의 비율이 전체인구의 20%를 초과하는 초고령 사회로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여러 가지 노인 대상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개인적인 문제를 넘어서서 사회 전반의 문제가 되고 있다. 기본적 생존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고독, 여가, 역할상실, 소외의 문제 등 다양한 형태로 대두되고 있다.
고령화로 인해 만성질환을 앓는 노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만성질환 중 하나인 노인성 치매의 유병률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성 치매는 우리나라 전체 65세 이상 노인 인구 중 8.3%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어 노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치매 노인의 증가는 많은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치매는 뇌 기능의 장애로 인해 사고력, 기억력, 판단력 등이 저하되어 일상생활 능력이 점점 상실된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는 노인의 사소한 행동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계속해서 옆에서 주의 집중하여 돌보아야하므로 부양가족에게까지 많은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1.2. 치매노인 부양의 사회적 이슈 부각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노인 인구의 비율이 7%를 초과하면서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오는 2025년에는 노인 인구의 비율이 전체인구의 20%를 초과하는 초고령 사회로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치매 노인의 증가와 더불어 치매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치매는 뇌 기능의 장애로 인해 사고력, 기억력, 판단력 등이 저하되어 일상생활 능력이 점점 상실된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치매는 노인의 사소한 행동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계속해서 옆에서 주의 집중하여 돌보아야하므로 부양가족에게까지 많은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치매노인 부양가족은 신체적, 심리적인 어려움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부분에서도 부담을 가지게 되어 부양가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게 되고 많은 스트레스를 동반한다. 부양가족은 불안, 우울증, 성격갈등, 자신감 저하 등은 물론 사회적 관계 악화까지도 겪게 되며, 부양자와 치매노인 간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변화하고 가족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또한 부양으로 인해 사회적 활동이 제한되고 근로활동 참여에도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치매 문제는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정부와 지역사회 차원에서 치매 노인과 부양가족에 대한 지원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치매 관련 복지서비스 및 프로그램, 치매 부양가족 지원 정책 등이 시행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부양가족의 어려움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향후 치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부양부담 경감을 위한 경제적·심리적 지원, 치매 예방과 관리를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 치매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 강화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1.3.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어려움
치매노인 부양가족은 심리적·정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불안, 우울증, 성격갈등, 자신감 저하 등의 부정적 감정이 나타나며 사회적 관계가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 부양자는 부양 역할에 대해 불안, 우울, 분노 등의 감정을 경험하며 자신이 쓸모없는 존재라고 생각하는 자아상실감을 겪기도 한다.
또한 치매노인과 부양자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변화가 발생한다. 부양 초기의 친밀감이 지속적인 부양으로 인해 분노, 원망 등의 감정으로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가족 관계 또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부양책임을 둘러싼 가족 구성원들의 역할이 제대로 조정되지 않을 경우 부부관계, 형제관계, 부모 자녀관계에서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더불어 치매노인을 돌보느라 부양자의 개인 시간과 사회활동이 제한되며, 간병비용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까지 존재한다. 이로 인해 부양자는 이중적인 고통을 겪게 된다.
종합적으로 치매노인 부양가족은 심리적, 관계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노인 치매의 이해
2.1. 치매의 정의 및 유형
치매는 후천적으로 발생해 지속되는 지적 능력(언어력, 기억력, 계산력, 집중력, 시공간 지각력, 실행력과 복합적인 인지기능이나 감정, 성격 등)의 장애가 나타나 일상생활을 혼자 하기 어려울 정도로 영향을 주는 상태이다. 치매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퇴행성 뇌 질환에 의한 치매, 둘째 뇌혈관 질환에 의한 치매, 세 번째로는 이차적 치매(뇌염, 뇌막염, 비타민결핍증, 호르몬 장애, 일산화탄소중독, 뇌종양 등의 원인에 의해 대뇌가 광범위하게 파괴되어 나타남)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알츠하이머 병은 전체 치매 질환의 60∼70%정도를 차지하며 서서히 진행된다.
치매의 유형에는 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루이체 치매, 초로기치매, 알코올 치매, 가역성 치매, 기타 치매원인 질환이 있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뇌 피질의 의축, 신경세포의 쇠퇴, 뇌 균열의 심화, 정상적인 신경세포가 실처럼 엉킨 상태로 대치되는 상태 등을 포함하는 뇌의 기질적 변화와 관계가 있다. 혈관성 치매는 뇌졸중, 경미한 뇌경색의 결과로 흔히 발생하며 고혈압, 중풍으로 ...
참고 자료
치매의 유형 및 중증도에 따른 결속표지 특성
-2012, 손은남, 박선희, 학술논문-
알츠하이머형 치매 원인과 예방에 관한 문헌연구
-2022, 이승희, 학술논문-
서민지, “노인인구 700만 시대...손 놓고 있다간 전국민 ‘재앙’, 메디파나뉴스, 2017.3.27.
김상윤, 「신경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5
중앙치매센터 자료실, 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209
유영숙,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부양부담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치매노인 주간보호센터 이용 부양가족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3, p50
원광심리치유센터, “치매노인 가족의 문제”, http://blog.naver.com/wonkph/221472398199, 2019.2.22.
김희정, “치매환자와 가족을 위한 서비스 개선방안”,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p55
“치매 국가 책임제”, 시사상식사전, 2017
고수현(2009),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경기: 양서원.
권중돈 외5(2002), 치매와 가족, 서울: 학지사.
권중돈(1994), 치매노인의 부양실태와 대응전략,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상윤(2004), 치매의 의학적 기초김원경(2014), 치매 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에 대한 신문기사 분석, 보건사회연구.
김원경(2011), 일본 치매노인가족의 실태와 지원에 관한 연구: 효고현내에서의 '가족회'조사를 중심으로. 2011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김재엽·최장원(2011), 치매 노인을 둔 가족의 부양의식과 부양부담이 가족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상문화학회
김태현·한은주(2007). 요양원에 입소한 치매노인 가족의 시설부양에 대한 만족도 관련 변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김효신(2010), 치매노인 부양가족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국제학술대회.
민숭기(2014), 경제투데이, http://www.eto.co.kr/news/outview.asp?Code=*************0793&ts=133135.
민진희 외 2명(2010), 고령화 사회의 위기와 치매노인의 부양부담, 국가위기관리학회보.
박응진(2014), 뉴스1, http://news1.kr/articles/?1926427.
박현우 외1명(2014), 뉴스1, http://news1.kr/articles/?1485072.
박창제·이성진(2011),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 가족 부양스트레스 경로, 한국노년학회.
보건복지부(2005), 2000~2020 치매노인수 추계.
순덕기(2012),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복지경영학회, pp, 167-200.
송은주·조혜경(2014), 치매간병가족을 위한 행복 더하기 프로그램이 가족간병자의 수면, 우울, 간병 부담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신경림.김옥수,강윤희,강윤숙,김미혜,정순둘 외(2009), 요양보호사 표준교재, 서울: 보건복지부.
유광수(2002),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4), 548-667.
우국희(1997), 치매노인 수발인의 수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주관적 경험,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이윤로 외(2007), 노인복지학 개론, 학현사.
이윤로(2003), 치매노인과 사회복지 서비스, 학지사.
이지혜(2014),조선일보,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2/12/*************.html.
이영호(2008), 정신건강론, 경기: 공동체.
임은희(2005), 사회복지 실천과 신종합 이론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교수논문집, 9, 218.
이은희, 윤가현, 이정숙(2006),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2), 341-360.조경숙·서영희(2012), 입소한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주이해영(2009), 케어복지개론, 경기: 양서원.
경복(2009), 치매노인가족의 소진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최외선(2001), 치매노부모 부양가족을 위한 정서적 지원방안, 경북여성정책개발원.
최혜경(1991), 심신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가족 수발인 부담의 한국에서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 18호.이애숙·김한곤(2003),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 실태 및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13, pp.29-60.
형성훈(2011), 치매노인부양자의 자아분화와 적응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Pratt, Clare C., Vicki L. Sschmall, Scott Wright and Marilyn Cleland(1985), Burden and Coping Strategies of Caregivers to Alzheimer's Patients, Famaily Relations, Vol. 34(Jan.) pp. 27~33.
Motenko, Aluma Kopito(1989), The Frustrations, Gratifications, and Well-Being of Dementia Caregivers, The Gerontologist, Vol. 29. No. 2, pp. 166~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