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과졸업논문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영문과졸업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19세기 영국의 시대적 배경
2.1.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역사적 배경
2.2.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교육 정책

3. 모험을 하는 어린이
3.1. '어린이' 개념의 등장
3.2. 어린이 이미지에서 아동의 주체성
3.3. 판타지 문학의 공통점

4. 앨리스의 성장을 통한 정체성 찾기
4.1. 모험을 통한 자아정체성을 찾는 앨리스
4.2. 성장한 앨리스
4.3. 새로운 여성상의 길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영국의 아동문학 중에서 현재까지 많은 패러디 작품으로 사랑받고 있는 루이스 캐럴의 소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는 주인공인 앨리스가 하얀 토끼를 쫓다가 토끼 굴 아래로 굴러 떨어지면서 이상한 약을 마시고 몸이 커지고 작아지기를 반복하며 개성이 뚜렷한 등장인물들과 만나 모험을 하는 내용이다. 이는 빅토리아 시대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함에서 시작되었다. 빅토리아 시대에 산업혁명을 바탕으로 발전된 사회 속에서 아동에 대한 인식이 바뀌게 되었고 판타지 세계를 주제로 한 문학이 대량 출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빅토리아 시대의 아동문학에서의 앨리스와 같은 주인공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어린이'에 내포된 의미와 주체성, 그리고 판타지 세계관의 공통점을 분석할 것이다. 앨리스는 그 당시 시대상과는 달리 '여자 주인공'이라는 점과 전형적인 여성상에서 탈피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자신이 '주체'가 되어 모험을 한다. 앨리스의 자아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우리 스스로에게 정체성에 대한 의문을 던지게 된다. 또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독특한 구성은 교훈을 주려는 의도 없이 오로지 어린이의 즐거움만을 위해서 집필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험을 통해 성장통을 겪는 앨리스가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녀의 주체성을 통해 현 사회의 문제점을 작품의 내용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해 나가고자 한다.


2. 19세기 영국의 시대적 배경
2.1.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역사적 배경

19세기 영국은 산업혁명과 더불어 과학의 발전으로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었고 중산계급은 빠르게 성장하여 부를 축척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귀족의 신분이 위협받는 시발점이 되었다. 급작스러운 성장 과정에서 새로운 가치와 기존의 가치 간 괴리로 인한 불안이 증가하였다. 특히 중산층의 관심사는 현실적인 문제인 교육과 일에 집중되었다. 산업화로 인한 기계 발전으로 많은 노동계층의 일자리가 사라져 실업자가 양산되었고 이로 인한 빈부격차로 계층 간 갈등이 고조되는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처럼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 사회는 급격한 변화와 함께 새로운 문제들이 대두되었다.


2.2.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교육 정책

18세기 영국 이전에는 아동을 미숙한 전재로 여겨 완벽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아동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죄에 물들기 쉽다고 여겼다. 이에 따라 올바른 길을 인도하기 위해서는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어린이의 순수한 욕구가 어른에게는 억압해야 할 죄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예절과 훈육을 다루는 예법서를 통해 아이들을 통제하려 했다.

그러다 19세기 넘어오면서 어린이의 인식이 바뀌었다. 어린이는 순수함의 상징이라고 여겨졌고, 이에 따라 아동문학에서 판타지 장르가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어린이 문학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어린이를 위한 책들이 출간되어 상상력을 자극시키고 확장시키는 내용으로 변화했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전쟁에서 승리하고 성공을 거두는 것에 초점을 두었으며, 이는 아동문학에서도 반영되어 19세기에 어린이를 주인공으로 한 모험과 영웅의 이야기가 증가했다. 더 이상 어린이들이 일방적인 교화를 받는 대상이나 세상 물정 모르는 유약한 존재로 그려지지 않고 주체적이고 독립적 의식을 가진 인격체로 나타났다.

이렇게 어린이의 이미지가 변화하면서 문학 속 어린이의 역할에서도 변화가 일어났다. 어린이들은 어른들과 반대되는 입장을 취하게 되었는데, 이는 당시 사회 분위기가 반영된 것이다. 앨리스가 교양 있게 말하기를 원하고 제2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표현된 것이 이를 보여준다. 또한 앨리스는 낯선 환경에서도 자신의 감정을 다스려 어른인 척 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당시의 어린이 상과 다르며, 작가는 어린이의 즐거움에 중점을 두었다.


3. 모험을 하는 어린이
3.1. '어린이' 개념의 등장

18...


참고 자료

Bishop, Elizabeth. The Complete Poems: 1927-1979. Farrar Straus & Giroux, New York, 1979. Print.
Alfred, Corn. "Geography III by Elizabeth Bishop; Reflections on Espionage by John Hollander." Georgia Review 31.2 (Summer 1977): 533-41. Print.
Cheol-U, Jang. “Elizabeth Bishop’s Poetics : The Fluidity and Mobility of the Interior/ the Exterior.” The Modern British and American Poetry Society of Korea 20 (2014): 189-304. Print.
Claire, Bowen. "Paterson in In the Waiting Room". Twentieth Century Literature 54.4 (Winter 2008): 472-92. Print.
Dan Chiasson. "Elizabeth Bishop and 'Elizabeth Bishop.'" Harvard Review 16 (Spring, 1999): 32-35. Print.
Edelman, Lee. “The Geography of Gender : Elizabeth Bishop’s 'In the Waiting Room.'" Contemporary Literature 26 (1985): 169-96. Print.
James, Longenbach. “Elizabeth Bishop’s Social Conscience.” ELH 62 (1995): 467-86. Print.
Lloyd, Schwartz. "One Art: The Poetry of Elizabeth Bishop, 1971-1976." Ploughsahres 3 (1977): 30-52. Print.
Lois Cucullu. "Trompe L'Oeil: Elizabeth Bishop's Radical 'I.'" Texas Studies in Literature and Language 30.2 (Sumer 1988): 246-71. Print.
Patricia B. Wallace. "The Wildness of Elizabeth Bishop." The Sewanne Review 93.1 (Winter, 1985): 95-115. Print.
Steven Gould Axelrod.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e Cold War Poetics of Bishop, Lowelll, and Ginsberg." Pacific Coast Philology 42.1 (2007): 1-23. Print.
William H. Pritchard. "Bishop's Time." The Hudson Review 61.2 (Summer 2008): 321-34. Print.
양윤정. “루이스 캐롤의 판타지『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타난 동시대 비평.” 영어영문학 13 (2008): 85-99.
황선정. 「영국 빅토리아 시기의 어린이 책 삽화에 나타난 시대성」 . 석사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이수진. 「영국 판타지 동화 : 반(反.)성인과 반(反)성인으로서의 어린이」 . 박사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서유미. 「제인 에어에 나타난 빅토리아 시대 여성의 자아인식」 . 석사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이경아. 「소녀의 자아 탐색과 성장의 배경으로 재현된 정원 -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와 The Secret Garden을 중심으로 -」 . 석사논문. 고려대학교, 2013
이란아. 「루이스 캐럴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환상세계를 통한 자아탐구와 발견」 . 석사논문.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2013
조용남. 「아동복지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드림스타트 사업을 중심으로」 . 박사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5
김정애. 「19세기 영국의 동화에 나타난 차문화 연구」 . 석사논문. 원광대학교동양 대학원, 2016
김종환, “『리어왕』비평의 쟁점: 낙관적 시각과 비관적 시각.” Shakespeare Review 제 46권, 2010.731-754.
김재남 역, The Complete Works of Shakespeare 『셰익스피어 전집』 삼정판: 서울 서울을지서적,1995.
김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셰익스피어의 인간과 세상 이야기』서울: 동인, 2011.
문혜원 역, John Drakakis Ed. Shakespearean Tragedy 『셰익스피어 비극』도서출판 동인, 2009.
서용득, King Lear의 Double Plot에 관하여-Tragic Pattern을 중심으로- 영미어문학회,1985.113~202.
윤기권, ‘King Lear의 心像分析’ Shakespeare Review 제27권 서울 : 한국셰익스피어학회, 1995. 113-135.
윤정은, 『세익스피어 비평의 역사와 유형』, 예림기획, 2005.
윤희억, 『리어 왕』(King Lear): 호기심, 허구 이야기, 그리고 침묵의 기호학
한국셰익스피어학회, Shakespeare Review 40권4호, 2004.869-890.
이경식 역,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연구』, 종로서적출판주식회사, 1993.
이윤주, 적자와 서자의 대결 무대: 『리어왕』을 중심으로 한국셰익스피어학회, Shakespeare Review 42권4호, 2006.
Bradley, A. C. Shakespearean Tragedy. London : Macmillan,1992.
Danby, John F. Shakespeare's Doctrine of Nature: A Study of King Lear London : Faber and Faber, 195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