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사복음서의 특징
복음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가르침, 그리고 사후의 사건들을 기록한 문서이다. 이 복음서들은 시기적으로도 서로 다르고 저자도 다르지만, 그 내용은 매우 유사하다. 이처럼 공통점이 많은 세 개의 복음서를 '공관복음서'라고 부른다. 이러한 공관복음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복음서들은 편집 문서라는 특징이 있다. 복음서는 완성된 작품이지만, 그 안에는 족보, 찬송, 비유, 기적 이야기, 연설, 선언 이야기 등 다양한 문학 형태들이 포함되어 있다.
둘째, 복음서들은 유대 문학의 영향을 받고 있다. 비록 그레코-로만 세계의 언어인 헬라어로 기록되었지만, 구약성경에 정통한 유대인들에 의해 기록되었다는 점에서 유대 문학의 영향을 받고 있다.
셋째, 복음서들은 고대 전기문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복음서들은 예수의 생애에 대한 객관적이거나 균형 잡힌 관점을 제시하는 데 관심이 없으며, 예수의 성격이나 내적 동기에 대한 설명도 거의 없다. 대신 예수의 특징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선별된 사건들을 기록한다.
넷째, 복음서들은 소설적 서사 문체를 사용하고 있다. 복음서의 문체는 현대 역사책보다는 현대 소설에 가깝다. 저자들은 아이러니, 상징, 전조와 같은 문학적 장치들을 사용하여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다섯째, 복음서들은 명백히 복음전도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복음서 저자들은 예수를 믿게 하거나 예수의 삶의 방식을 따르게 하려는 목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예수 안에서 그리고 예수를 통하여 일어난 사건이 인간 실존의 변화시켰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와 같은 사복음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복음서의 구조와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2. 사복음서(마태, 마가, 누가, 요한복음)의 특징
2.1. 편집 문서로서의 특징
복음서들은 편집 문서이다. 완성된 작품으로서 복음서를 고대 전기문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그 안에는 족보, 찬송, 비유, 기적 이야기, 연설, 선언 이야기 등 다른 여러 문학 형태들이 포함되어 있다. 복음서 저자들은 예수의 생애와 가르침을 선별하여 자신의 목적에 맞게 편집하였기 때문에 복음서는 편집 문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는 복음서를 단순한 역사서가 아닌 복음 선포를 위한 문헌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복음서 저자들은 예수의 전 생애를 객관적으로 기록하기보다는 특정 주제와 관점에 맞춰 선별적으로 다루었기에 복음서는 편집 문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복음서는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복음 전파를 위해 편집된 문서라고 할 수 있다.
2.2. 유대 문학의 영향
복음서들은 그레코-로마 세계의 공용어인 헬라어로 기록되었지만, 이스라엘 성경에 정통한 사람들에 의해 기록되었다. 구약성경에는 아브라함, 모세, 엘리야와 같은 인물들의 생애 이야기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복음서의 저자들은 이러한 구약성경의 이야기를 잘 알고 있었고 그 이야기의 영향을 받았다. 이처럼 유대 문학적 배경이 복음서들에 깊이 반영되어 있다. 복음서는 그레코-로마 세계를 위해 기록되었지만, 이스라엘 성경에 정통한 저자들에 의해 작성되었기에 구약성경의 풍성한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2.3. 고대 전기문의 특성
고대 복음서는 현대의 역사서와는 다른 고대 전기문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첫째, 고대 전기문은 연대기에 대한 관심이 적었다. 복음서 저자들 역시 예수님의 생애를 순서대로 기록하기보다는 각각의 편집 의도에 따라 사건들을 배열하였다. 그들의 관심은 연대기적 정확성보다는 예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