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평등결혼을위해 실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성평등결혼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1.2. 양성평등한 가족생활과 일-생활 균형의 중요성
2. 본론
2.1. 양성평등한 가족생활 및 일-생활 균형을 위한 실천 방안
2.1.1. 가사 노동 시간의 균형성 확보
2.1.2. 가정친화적인 기업 문화 조성
2.2. 학습자의 성평등 의식 점검
2.3. 가족생활교육사로서의 강점과 약점 분석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성평등한 가족생활을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성평등결혼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
성평등결혼을 위한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혼인율과 출산율 감소는 심각한 수준이다. 불과 5년 사이에 혼인율이 71%에서 49.2%로 줄어들었다. 이는 결혼을 해야 아이를 낳는다는 관념이 강하기 때문에 혼인율의 감소는 출산율의 감소와도 밀접하게 관련된다. 혼인을 통해 새로운 가족이 탄생하는데, 혼인율이 줄어든다는 것은 새로운 가족이 생겨나지 않고 있다는 것이며, 이는 개인과 국가, 사회적으로도 심각한 문제이다. 가족은 사회의 근간이 되는 기본적인 공동체이기 때문이다.
청년들이 결혼하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개인주의가 만연하여 혼자 살면서 자유로운 생활을 만끽하고 싶어 하는 경우가 늘어났고, 경제적 비용 부담,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려울 것에 대한 염려, 부부 사이의 가사 노동 불균형에 대한 불만 등이 작용하고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결혼 후에도 가사와 육아에 대한 책임이 여성에게 치우쳐 있는 현실에 대한 불만으로 결혼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통계 조사에 따르면 맞벌이 부부이더라도 여성은 남성에 비해 집안일을 133분 더 하며, 아내만 취업한 가구에서도 아내가 집안일을 37분 더 하는 불합리한 현실이 있다. 이는 곧 우리 사회에서 양성평등한 가족생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이런 현실이 청년들이 결혼하기를 주저하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양성평등한 가족생활과 일-생활 균형을 이루기 위한 가족생활교육이 필요하다.
1.2. 양성평등한 가족생활과 일-생활 균형의 중요성
양성평등한 가족생활과 일-생활 균형의 중요성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혼인율과 출산율 감소가 심각한 수준이며, 이는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와 사회적으로도 큰 문제이다. 가족은 사회의 근간이 되는 기본적인 공동체이므로, 가족이 위기를 맞으면 국가에도 위기가 닥치기 마련이다. 청년들이 결혼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부부 간 가사 노동의 불균형 문제이다. 여성의 경우 맞벌이를 하더라도 가사와 육아에 대한 책임이 여성에게 치우쳐 있어, 이로 인한 불만으로 인해 결혼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양성평등한 가족생활과 일-생활 균형을 이루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가족구성원 모두가 경제 활동과 가사, 육아의 책임을 공평하게 분담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개인의 자아실현과 행복한 삶을 추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기업에서도 가정친...
참고 자료
박경아, 이경자, 김은아, 윤명자, (2019), 가족생활교육, 공동체
전세경, (2013), 가족생활교육, 양서원
이정연, 2023.12.28. 40세와 35세 5년 새 무슨 일이.. 혼인율 71%→ 49.2% 급감, 아시아투데이
곽윤아, 2023.7.11. 맞벌이 부부라도 여성이 집안일 133분 더 한다, 서울경제
여성가족부,「양성평등실태조사」, 2021, 2024.02.20, 부부간 역할 분담
여성가족부,「양성평등실태조사」, 2021, 2024.02.20, 부부간 평등인식
여성가족부,「양성평등실태조사」, 2021, 2024.02.20, 자녀돌봄 활동 참여 정도
여성가족부,「양성평등실태조사」, 2021, 2024.02.20, 임신·출산·육아휴직 불이익 관행
김윤정 외, 「여성복지론」, 대학출판사, 2001
송다영 외, 「새로 쓰는 여성복지론 쟁점과 실천」, 양서원, 2019
조학래, 「사회복지실천론」, 신정, 2022
김동욱 외, 사회복지실천론」, 양서원, 2022
김인숙, 「여성주의 사회복지실천의 정립을 위한 고찰」, 한국사회복지학, 2000
양옥경 외, 「여성과 사회복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2
김애림, 「“여성 탈 빈곤을 위한 복지정책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