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제왕절개 수술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시행되는 주요 산과 수술 중 하나이다. 최근 제왕절개 수술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술실과 회복실에서 간호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제왕절개 수술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서는 수술 전후 간호중재가 필수적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제왕절개 수술의 개요와 함께 수술실과 회복실에서의 간호과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사례 연구를 통해 간호중재의 실제 적용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제왕절개 수술 환자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간호사의 역할과 책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제왕절개 수술 개요
2.1. 제왕절개 수술의 정의와 적응증
제왕절개 수술은 산모의 복부와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를 분만하는 외과적 수술이다. 일반적으로 39주 이전에는 제왕절개를 하지 않지만, 임신 합병증으로 인해 전통적인 질 분만이 어렵거나 산모나 태아에게 위험이 예상될 때 시행한다. 제왕절개는 태아의 크기와 양상, 산모의 골반 구조 등에 따라 미리 계획할 수도 있고 분만 중 합병증 발생 시에 응급적으로 시행할 수도 있다. 제왕절개가 필요한 주요 적응증에는 아두골반 불균형, 과거 제왕절개 경험, 심한 자간전증,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 태아 곤란 등이 포함된다. 그 외에도 자연 분만 도중 자연 분만을 계속할 수 없는 경우, 제대 탈출, 분만 중 태아 질식 위험, 심한 출혈, 자궁경부 미성숙 등 다양한 요인으로 제왕절개 수술이 시행될 수 있다.
2.2. 제왕절개 수술의 주요 절차
제왕절개 수술의 주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수술 시작 전 처음으로 EKG, 혈압 측정기,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의 수술 감시 장비를 부착한다. 환자의 상지에 정맥 주사를 시행하고 수액 공급을 시작한다. 수술 부위 피부를 소독하고 무균적인 드레이핑을 시행한다. 마취과 의사가 척추마취를 실시하여 수술 부위를 무감각하게 한다.
수술 중에는 외과 의사가 복부 정중선에 피부 절개를 가한 후 근막과 근육 층을 절개하여 복강 내로 진입한다. 자궁 하부를 노출시키고 자궁 근층과 장막을 절개하여 아기를 꺼내준다. 아기의 머리, 어깨, 몸통 순으로 신중히 분만한다. 태반을 적출하고 자궁을 봉합한다. 복강 내 장기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지혈 및 배액을 시행한다. 근막과 피부를 각각 봉합하여 수술을 완료한다.
수술 후에는 회복실로 옮겨져 활력징후 모니터링, 출혈 및 감염 징후 관찰, 통증 관리 등의 집중 관찰과 간호가 이루어진다.
3. 제왕절개 수술 시 간호 과정
3.1. 수술실 간호과정
3.1.1. 수술 전 간호중재
환자의 상태를 사전에 정확히 파악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환자 확인을 통해 등록번호, 환자 이름, 생년월일이 차트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수술 동의서에 서명한 것을 확인하여 수술에 대한 동의가 있음을 확인한다.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수술실 도착 시 생리식염수 1L를 달고 온 것을 확인한다.
환자의 모든 장신구, 보철기, 매니큐어 등을 제거하여 수술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속옷도 벗고 온 것을 확인하며, 자정 이후로 아무것도 섭취하지 않았음을 확인한다. 수술 부위의 피부 준비가 잘 되었는지 확인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