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나라 가족 문제 구조적 가족치료 사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구조적 가족치료
2.1. 구조적 가족치료의 개념
2.2.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3.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족문제: 고부갈등
3.1. 고부갈등의 발생 배경
3.2. 고부갈등의 구조적 특징
4. 구조적 가족치료의 적용
4.1. 경계선
4.2. 위계질서
4.3. 구조적 측면
5. 고부갈등 치료를 위한 시사점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족치료의 한 부분인 구조적 가족치료의 기본이 되는 이론의 토대는 사회성 모델과 구조 모델, 발생 모델, 변화 모델이다. 이를 바탕으로 구조적 가족치료가 구성되고 실시된다. 구조적 가족치료의 특징은 역동적이어서 짧은 기간의 면담으로 가족의 문제나 가족 특유의 양식을 파악하고 가족 구조를 변화시키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가족들로 하여금 문제의 상황들을 치료실에서 재연하게 함으로써 잘못된 구조를 치료자가 관찰하고 재구조화 시키도록 돕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바로 이러한 재구조화를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기초 위에 사용되는 주요개념들이다. 주요 개념으로는 가족구조, 하위체계, 가족 내 경계, 역기능에 대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족문제를 한 가지 선정하고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을 적용할 때 이러한 문제는 어떻게 사정할 수 있는지 제시해 보고자 한다.
2. 구조적 가족치료
2.1. 구조적 가족치료의 개념
구조적 가족치료는 가족의 상호작용 양식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법이다.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며, 가족 구성원들 간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주목한다"" 가족은 상호의존적으로 작용하는 하위체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하위체계는 고유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구조적 가족치료는 가족 구성원 개인이 아닌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삼으며, 가족 내 경계와 위계질서를 재구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2.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은 가족구조, 하위체계, 경계선, 위계 구조이다.
가족구조는 가족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반복적이고 체계적으로 예측 가능한 가족의 행동 양식을 의미한다. 가족은 다양한 하위체계(Subsystem)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하위체계는 고유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며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맺는다.
경계선은 가족 구성원 개인과 하위체계 사이를 구분하는 눈에 띄지 않는 경계로,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허용되는 접촉의 양과 종류를 결정한다. 적절하게 확립된 경계선은 가족 구성원들의 개별...
참고 자료
공통요인을 통해 본 구조적 가족치료와 통합적 행동부부치료의 통합적 적용 가능성 및 가족치료적 함의(한지수, 최연실, 2021)
김혜숙.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서울 : 학지사, 2010.
김유숙(2012).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강문희·반경·강혜련·김혜련, 『가족상담 및 심리치료』(2판), 도서출판 신정, 2018.
유두리,「구조적 가족치료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1991∼2019」, 『부부가족상담연구』 1(2),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