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망각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망각이론
2.1.1.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이론
2.1.2. 간섭 이론
2.1.3. 복습과 재학습 이론
2.1.4. 동기 부여와 감정의 영향 이론
2.2. 망각을 줄이기 위한 방안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기억은 일반적으로 단기 기억부터 시작하고 반복적인 노출 또는 중요한 정보라면 장기 기억으로 옮기게 된다. 하지만 모든 정보는 장기 기억에 영원히 보존되지 않는다. 이는 망각 과정으로 인한 것인데 망각에 대한 망각이론은 기억의 소실 또는 소멸에 대한 이론을 다루고 있는 심리학적 연구분야이다. 기억 소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억이 약해지거나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망각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되어 왔다. 본론에서는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망각경험을 망각 이론을 통해 설명하고 망각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2. 본론
2.1. 망각이론
2.1.1.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이론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이론은 기억된 정보가 처음에는 빠르게 소실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천천히 이루어진다는 이론이다. 기억의 강도가 시간에 비례하여 감소한다는 이론이다. 이는 처음 영어 단어를 외우고 이를 적었을 때는 모두 기억할 수 있지만 10분이 지나면 점차 단어를 잊어버리기 시작하고 1시간이 지나면 영어 단어 절반 가량을 망각하며 다음날이 지나면 이보다 더 많이 단어를 적지 못한다. 이후 1개월이 지나면 거의 80%를 잊어버리면서 처음 적었던 영어 단어보다 현저하게 적지 못하는 모습에서 볼 ...
참고 자료
방병일, 2009, 기술교육에서의 망각이론 적용 효과성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p.18~24
기억력을 높이는 5가지 원리, 이태연, 스터디포스 언어과학연구소, 2011.03.04.
이정모(2017). 인지심리학. 학지사.
박주용(2021). 심리학개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정태현, 허성호, 한민(2023). 현대심리학개론. 솔과학.
장용환, 망각이론을 이용한 디자인교육 연구 : 영상디자인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배지은, 유사외상 상황에서 의도적 망각이 침습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2020.
오창민 기자, 복습·연상법 활용 망각 줄여라, 경향신문, 2007.1.23.
유용하 기자, 한 번 배운 것 오래 기억하는 비결 알고 보니… [달콤한 사이언스], 서울신문, 2024.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