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이상심리학은 인간의 이상행동, 정신장애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심리학의 가장 오래된 분과이며 가장 중요한 분과 중 하나이다. 여기서 이상행동이란 객관적인 관찰, 측정을 할 수 있는 개인의 비정상적 또는 부적응적인 심리적 특성을 의미하며 정신장애는 다양한 증상이 특정한 패턴으로 나타나면서 인간의 적응에 큰 문제를 발생시키는 이상행동의 집합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이상심리학은 여러 진단 체계에 따라 판별하게 되는데 본론에서는 이와 같은 주요 진단 체계와 장단점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2. 이상심리학 관련 주요 진단체계
2.1.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정의 기준
2.1.1. 적응 기능의 저하와 손상
적응 기능의 저하와 손상은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를 정의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이상행동은 개인의 적응을 저해시키는 심리적 기능의 손상을 반영하는 것이며,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신체ㆍ생리적 특성이 그 사람의 적응을 저해하면 이러한 부적응적 특성은 이상행동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주의집중력, 현저한 기억력 저하, 과도한 우울과 불안, 무책임, 폭력적 행동, 식욕과 성욕의 지속적인 감퇴는 일상적 생활과 함께 사회적, 직업적 활동에 부적응을 초래하여 부적응적 이상행동으로 간주된다. 이와 같은 이상행동은 가정 또는 직장에서 역할 수행을 저해시키며 타인과의 갈등을 유발시켜 개인의 사회적 적응을 방해한다. 그러나 이상행동을 적응적 기능 손상으로 판단하는 관점은 몇 가지 문제가 있는데, 첫 번째는 적응과 부적응 경계가 모호하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적응과 부적응을 누가 무엇에 근거해서 평가할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2.1.2. 주관적 불편감과 고통
개인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