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추간판탈출증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추간판탈출증의 정의 및 병태생리
3. 추간판탈출증의 원인
4. 추간판탈출증의 증상 및 징후
5. 추간판탈출증의 진단
5.1. 이학적 검사
5.2. 방사선학적 검사
6. 추간판탈출증의 치료
6.1. 보존적 치료
6.2. 수술적 치료
7. 추간판탈출증 간호
7.1. 통증 관리
7.2. 신체적 운동 장애 관리
7.3. 출혈 및 체액 부족 예방
7.4. 예후의 불확실성에 따른 불안 관리
8. 간호 사정
8.1. 일반적 사항
8.2. 간호 진단
8.3. 진단검사 결과
8.4. 약물
8.5. 간호문제 목록
8.6. 우선순위 선정 및 적용
8.7. 간호 과정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추간판탈출증은 매우 흔한 질병이다. 추간판탈출증이란 척추 사이의 디스크가 손상되어 신경을 누르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예전에는 주로 고령자들이 겪는 퇴행성 질환으로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잘못된 자세와 스트레스, 무리한 운동 등으로 인해 젊은층에서도 자주 나타나고 있다. 또한 추간판탈출증은 한번 발생하면 완치가 어려워 지속적인 관리와 간호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효과적인 치료 및 관리 방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추간판탈출증의 정의 및 병태생리
척추는 경추 7개, 흉추 12개, 요추 5개, 천추 및 미추로 구성되며 대기압과 체중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옆에서 보면 S자형 모양을 하고 있다. 각각의 척추들은 경추 1-2번을 제외하고는 디스크(추간판)라는 구조물이 각 척추들 사이에 존재하여 척추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척추의 각종 운동 즉 굴신, 회전 및 측방 굴곡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크는 모양이 타원형으로 뼈로 형성된 척추체와는 달리 중앙은 젤리와 같은 반고체 형태의 수핵과 이를 둘러싼 원판 모양의 섬유륜이라는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핵은 젊은 나이에는 수분이 80% 정도로 이뤄지다가 나이가 듦에 따라 수분이 감소되어 디스크의 용적과 탄력성이 감소되어 압박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나이가 들면 허리가 뻣뻣해져 유연성이 줄어드는 원인이 된다. 추간판 탈출증은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섬유륜이 파열되면서 내부의 수핵이 밖으로 밀려나오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밖으로 밀려나온 수핵이 척추신경을 압박하게 되어 통증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3. 추간판탈출증의 원인
추간판탈출증의 정확한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디스크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져 디스크가 돌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급성 요통은 외상, 특히 자동차 사고 또는 무거운 물건을 잘못 들어 허리가 뒤틀리거나 과다 굴곡되어 나타나며, 여성의 경우 나쁜 자세나 높은 구두로 인해 신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요추를 더 앞으로 내밀어 허리 근육을 긴장시켜 발생할 수 있다. 노인의 요통은 주로 노화와 관련된 퇴행성 관절질환과 관련되고, 비만과 흡연 또한 추간판탈출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비만은 허리 근육의 긴장을 증가시켜 요통을 유발하며, 흡연은 추간판의 퇴행과 추간판의 산소 감소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간판탈출증의 원인은 디스크에 가해지는 과도한 외력, 나쁜 자세, 노화, 비만, 흡연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추간판탈출증의 증상 및 징후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가장 두드러진 증상은 요통과 함께 다리가 아프고 저린 방사통이다. 탈출된 추간판이 신경근을 자극하게 되어 신경근이 분포하는 다리에 감각 이상이 초래된다. 제5 요추 신경근이 자극되면 안쪽 발등에 감각 이상을 호소하고, 제1 천추 신경근이 자극되면 발등의 외측에 감각 이상을 호소한다. 대개 감각 저하나 무감각을 호소하지만 통각 과민으로도 나타난다. 근력 또한 약해져서 제5 신경근 이환 때에는 족부 신전근이 쇠약해지고 이 때는 발 뒤꿈치로 걷는 것이 어려워진다. 드문 경우이나, 돌출된 수핵이 크고 중앙에 위치한 경우 대소변 기능이나 성기능 장애 및 하지 마비가 올 수 있다. 경추 추간판탈출증의 증상 또한 요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탈출한 추간판에 인접한 부위의 척추신경을 압밥하여 발생한다. 목 부위나 견갑골 안쪽 부위에서 깊게 느껴지는 통증과 어깨, 팔, 상완부, 경우에 따라서 손이나 손가락, 가슴 등으로 뻗치는 형태의 방사통이 나타나며, 기침을 하거나 복압이 높아질 때, 웃을 때, 목을 굽히거나 한쪽으로 돌릴 때 심해지는 통증과 경부 근육의 경련성 수축, 팔 부위에 근력 약화가 나타난다.
5. 추간판탈출증의 진단
5.1. 이학적 검사
하지직거상 검사(Straight leg raising test)는 반듯이 누운 자세에서 다리를 올리면 좌골신경이 당겨지므로 통증이 다리로 방사된다. 정상인은 거상각도가 70°까지 가능하나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는 각도가 얼마 안 되어도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외에도 반사활동 검사, 근육의 힘, 신경학적 결손의 유무를 통해 신경근의 침범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실시한다. 스펄링 검사는 경추디스크를 포함한 경추 신경의 병변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환자의 목을 신전시키고 통증이 있는 쪽으로 고개를 둘린 상태에서 의사와 환자의 머리를 위에서 지그시 눌러보았을 때 팔에 통증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척추신경의 자극을 확인하는 검사법이다. 척수조영술은 척수를 싸고 있는 뇌척수막 내부에 방사선을 통과시키지 않게 조영제를 주입한 후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다. 조영제가 들어 있는 부분에는 사진 상에 희게 나타나므로 만약 탈출된 추간이나 굴곡, 종양등에 의해 척수가 눌리는 소견이 있다면 척수조영술 상에서 척수를 향해 튀어나와 있는지 조직을 확인할 수 있다.
5.2. 방사선학적 검사
단순 X-ray 촬영은 기본적으로 실시되는 검사이다. 허리 디스크의 경우 요추의 정상적인 곡선이 소실된 직선화 현상(straightening)을 관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허리 디스크와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는 기타 척추 질환들(척추 전방전위증, 척추분리증, 척추 불안정 등)을 감별할 수 있다.
컴퓨터단층촬영(CT)은 척추강의 횡단면을 보여줌으로써 척추체 외에도 디스크가 척추강 내로 돌출된 것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조영제를 척수 지주막하강 내에 주입하고 척수조영CT를 시행하면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자기공명영상(MRI)은 최근 허리 디스크의 진단에 가...
참고 자료
황옥남, 제7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성미혜,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박은영,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강현숙, 쉽게배우는 핵심병리학, 의학교육
간호사교육연구센터, 간호 알고리즘, 포널스출판사
서울대학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556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 Ⅰ. 파주 : 수문사 p354~362
김금순 외(2017). 성인간호학 Ⅱ. 파주 : 수문사 p1264~1267
양선희 외(2018). 기본간호학 Ⅱ. 서울 : 현문사 p367~401
양선희 외(2018). 핵심 기본간호수기. 서울 : 현문사 p255~256
유해영(2018). 약리학. 서울 : 현문사 p41~90, 279~286
성미혜 외(2018).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파주 : 수문사 p249~325
킴스 https://www.kimsonline.co.kr
네이버 지식백과 www.terms.naver.com
드러그 인포 www.druginfo.co.kr/index.aspx
고자경, 김정아, 홍정주 외/ 성인간호학Ⅱ/퍼시픽/ 2018
원종순, 김남초, 박수현, 송민선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2015)
윤은자, 김숙영, 소향숙 외/ 성인간호학Ⅱ/수문사/2019
질병관리본부국가건강정보포털/추간판탈출증/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430
서울아산병원/ 추간판 탈출증/
http://www.amc.seoul.kr/asan/search/search.do?kwd=%EC%B6%94%EA%B0%84%ED%8C%90+%ED%83%88%EC%B6%9C%EC%A6%9D
대한정형외과학회/추간판탈출증/
https://www.koa.or.kr/info/index_5_1_7.php
대한약사회
https://www.kpanet.or.kr/information/search01.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