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혈액의 구조와 기능
1.1. 혈액계
혈액, 골수, 비장, 간은 혈액계를 구성한다. 혈액계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혈액응고, 감염에 대한 저항능력 발휘와 같은 주요 기능을 담당한다.
전혈(whole blood)은 혈장과 혈구로 이루어져 있다. 혈장은 주로 물(92%), 단백질(7%), 그리고 항체, 효소, 영양분, 응고인자 등(1%)으로 구성된다. 혈구에는 혈소판, 백혈구, 적혈구가 있다. 백혈구는 무과립구(림프구, 단핵구)와 과립구(호중구, 호산구, 호염구)로 나뉜다. 적혈구는 세포막(5%)과 혈색소(95%)로 이루어져 있으며, 혈색소의 주요 성분인 철분과 포르피린은 골수와 간에서 각각 공급된다.
1.2. 주요 기능
혈액의 주요 기능은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혈액응고, 감염에 대한 저항능력 발휘이다. 혈장은 물(92%), 단백질(7%)인 알부민과 글로불린, 항체, 효소, 영양분, 응고인자 등(1%)로 구성되어 있다. 혈구에는 혈소판, 백혈구, 적혈구가 있다. 혈소판은 혈관 손상 시 혈병을 형성하여 지혈을 유도한다. 백혈구 중 무과립구인 림프구와 단핵구는 면역기능을, 과립구인 호중구, 호산구, 호염구는 식균작용과 항알레르기 작용, 용혈 방지 등을 담당한다. 적혈구는 세포막(5%)과 혈색소(95%)인 heme(철분, 포르피린)과 globin으로 구성되어 산소 운반 기능을 한다. 혈액은 이러한 구성 성분들을 통해 운반, 조절, 보호의 기능을 수행한다. []
1.3. 전혈(whole blood)
1.3.1. 혈장 plasma
혈장은 혈액의 주요 구성 성분 중 하나이다. 혈장은 전체 혈액의 92%를 차지하며, 물(92%)과 단백질(7%), 항체, 효소, 영양분, 응고인자 등(1%)으로 이루어져 있다. 혈장 내 단백질 중 알부민은 간에서 생성되어 혈장 교질 삼투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며, 글로불린은 림프기관에서 생성되어 면역기능을 담당한다. 혈장은 폐에서 흡수한 산소와 영양분을 조직 세포로 운반하고, 대사 노폐물을 폐, 간, 신장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체액과 전해질 균형, 산-염기 균형, 체온 조절에도 관여한다. 이처럼 혈장은 혈액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서 인체의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고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
1.3.2. 혈구(blood cell)
혈구(blood cell)에는 혈소판, 백혈구, 적혈구가 있다. 혈소판은 지혈에 관여하며, 백혈구는 면역 기능을 수행한다. 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소판은 혈관 벽의 손상 시 빠르게 모여들어 혈병(clot)을 형성하여 출혈을 막는다. 혈소판은 혈관 수축 물질인 세로토닌, 혈소판 응집 물질인 ADP 등을 분비하여 지혈을 유도한다.
백혈구에는 과립구(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와 무과립구(림프구, 단핵구)가 있다. 호중구는 식균 작용으로 세균 감염에 대한 방어 기능을 한다. 호산구는 항알레르기 작용과 기생충 감염 방어에 관여한다. 림프구는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 반응을 담당한다. 단핵구는 조직 내에서 식균 작용과 세포성 면역 반응을 수행한다.
적혈구는 헤모글로빈을 함유하고 있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을 담당한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며, 철분과 포르피린을 이용하여 헤모글로빈을 합성한다. 적혈구의 세포막은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을 원활히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혈액의 기능
2.1. 운반
혈액의 운반 기능
혈액은 체내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운반 기능이 중요하다.
혈액은 폐에서 산소를 흡수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