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유아기 안전사고의 중요성
유아기는 다른 세대보다 위험상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예측능력이나 신체조절능력이 미숙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시기이다. 그래서 가정이나 어린이집 내 아동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유아의 특징과 발달을 고려하여 유아 스스로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지식과 태도, 기능을 가르쳐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고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3~5세에 사고비율이 확연히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기 안전사고의 예방과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1.2.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유아교육기관은 유아들이 가정을 떠나 최초로 접하게 되는 환경이므로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안전이 보장되는 것은 유아의 기본적인 권리이다. 유아는 주변의 사물이나 환경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이를 탐색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반면 신체 기능의 발달은 아직 미숙하여 자신의 신체를 조정하는 능력이나 운동기술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인지적으로도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으며 상황판단능력,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 가정에서나 기관에서나 성인에 비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유아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유아 스스로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지식과 태도, 기능을 가르쳐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2. 3~5세 유아의 안전사고 유형
2.1. 가정에서의 사고 유형
어린 유아들은 자신의 신체를 충분히 조절하지 못하여 가정 내에서 다양한 사고에 노출되어 있다. 유아들은 피아노 등 높은 곳에 올라섰다가 떨어지거나, 침대 위에서 뛰다가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테이블이나 침대 모서리에 부딪치는 사고와 뜨거운 것을 만지거나 엎지르는 경우로 화상을 입기도 한다. 유아들이 동전을 삼키는 사고나 욕실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사고, 문을 여닫다가 부딪치는 사고 등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이처럼 호기심이 많고 신체 조절 능력이 미숙한 유아들은 일상적인 가정 환경에서도 다양한 사고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가정에서의 안전 관리와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2.2. 어린이집에서의 사고 유형
어린이집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장난을 하다가 책상이나 벽에 부딪히는 경우가 있으며, 던진 장난감에 맞는 사고도 발생한다. 또한 작은 구슬이나 장난감 등을 입에 넣고 놀다가 삼키는 경우도 있다. 계단에서 넘어지거나 실외놀이기구에서 떨어지는 사고도 자주 일어난다. 더불어 실외놀이기구에 부딪히거나 몸이나 손발이 끼는 사고도 발생한다. 이처럼 어린이집에서는 다양한 환경과 시설, 놀이 상황으로 인해 다양한 유형의 안전사고가 일어나고 있다.
3.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수칙
3.1. 유아 행동 관찰 및 지도
교사는 모든 유아의 행동을 한눈에 관찰하여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무리 안전한 환경에서라도 교사의 감독이 미흡할 때 안전사고는 발생하므로 교사는 유아를 항상 감독하고 지도하여야 한다. 또한 안전사고 발생 시 당황하지 말고 신속히 사고 상황을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항상 대처방안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교사는 유아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유아가 안전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유아가 놀이를 할 때 안전수칙을 지키며 행동할 수 있도록 교사가 규칙을 만들어 알려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