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화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1.1. 사례선정 이유
평소에 영화를 즐겨보지 않던 터라 불안과 우울에 관련된 영화를 찾아보았다. 이 영화를 확정하기 전 '비버', '플랜맨', '소원' 등 여러 가지 영화 중 고민하다가 '실버라이닝 플레이북'이라는 영화를 선택하게 되었다. 많은 영화 중 이 영화를 선택한 이유는 코미디, 드라마, 멜로/ 로맨스를 다 갖춘 영화였으며, 리뷰를 보니 '주인공이 화를 주체할 수 없는 성격으로 모든 것을 잃고 병원에서 긍정의 힘을 배우고 새로운 삶을 살고자 다짐한다.'는 내용 이였다. 2학년 때 사회문화 영적 이해에서 문화적 증후군으로 한국의 문화적 질병으로는 '화병'이 포함된다고 들었는데, 최근 주체할 수 없는 화 때문에 소중한 사람과 다툰 적이 있는 내 모습이 생각나서 선택하게 되었다.
1.2. 영화 줄거리
'실버라이닝 플레이북'은 각자 다른 아픔을 가지고 있는 두 남녀가 만나 서로를 통해 희망을 발견하고 서로의 상처를 보듬어주며 진정한 사랑을 찾아 노력하는 둘만의 작전을 담고 있는 영화이다.
영화의 남자주인공인 팻은 아내의 외도를 목격 후 이성을 잃어 아내의 외도상대인 동료를 무자비하게 폭행하게 된다. 그 후 팻은 강박 충동과 환청, 분노 조절 장애로 인해 정신병원에서 8개월간 생활하게 된다. 8개월 만에 퇴원 후에도 불안정한 정신상태로 사회생활이 쉽지 않은 상태이다.
여자주인공 티파니는 남편의 죽음으로 고독감과 외로움을 이기지 못해 성적 통제력을 잃고 회사 동료들과 섹스를 하다가 실직하게 된 여자이다. 처음에 팻과 티파니는 서로의 아픔을 비난하고 막말을 하지만, 서로의 아픔을 이해하고 사랑하게 된다. 이 영화는 각자 다른 이유로 사랑이라는 아픔을 가지고 있는 두 사람이 만나 다른 목적을 이루도록 서로가 돕고 그 과정에서 서로의 아픔을 이해하고 사랑하게 되는 결말이다.
2. 치료적 의사소통
2.1.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치료적 의사소통은 결과적으로 대상자 치유에 도움이 되는 의사소통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