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양극성장애 case 소개
이00은 25세 여성으로 2015년부터 정신과 진료를 시작하였다. 지적장애 3급 진단을 받았으며, 분노조절이 어려워 친구들과 자주 싸우고 주먹으로 벽을 치거나 자해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복적인 입원치료를 받았는데, 퇴원 후에는 증상이 다시 악화되어 3-4개월 또는 6-7개월 간격으로 입퇴원을 반복하였다. 2021년 6월에 퇴원 후 초기에는 외래치료를 잘 받았으나 2022년 10월경부터 외래 방문을 중단하였다. 2022년 11월 17일경부터 아는 언니를 만나고 계속 욕설을 하며 벽을 치는 행동이 관찰되어 다시 입원하게 되었다.
1.2. 양극성장애의 정의
양극성장애는 기분 장애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이다. 양극성장애는 기분이 들뜨는 조증이 나타나기도 하고, 기분이 가라앉는 우울증이 나타나기도 한다는 의미에서 '조울증'이라고도 한다. 양극성장애는 조증 삽화와 우울삽화를 모두 나타내거나 조증 삽화만을 나타내는 정신장애이다. 기분이 비정상적으로 고양되면서 생기는 다양한 증상의 조증 삽화(Manic Episode)를 보이는 양극성장애 I형(Bipolar I disorder)과, 조증 삽화보다 증상이 경하고 상대적으로 지속기간이 짧은 경조증 삽화(hypomanic episode)를 보이는 양극성장애 II형(Bipolar II disorder)이 있다. 양극성장애의 발생에서 유전적 소인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양극성장애는 가족내에서 발생빈도가 높고, 부모 한 명이 양극성장애일 때 자녀가 양극성장애일 가능성은 25%이며, 부모 모두 양극성장애일 때 50~75%이다. 양극성장애는 특정 신경세포의 시냅스 부위에 serotonin, norepinephrin, dopamine 등의 신경전달 물질의 과다, 과소 또는 기능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 본론
2.1. 양극성 정동장애 환자 정보
2.1.1. 간호정보 조사
대상자 정보 조사
대상자는 25세의 여성으로 상세불명의 양극성 정동장애, 지적장애 3급, 상세불명의 조현병 진단을 받았다. 주요 증상으로는 환청, 공격성 행동, 기분 기복이 있다.
대상자는 2015년부터 정신과 진료를 받기 시작했으며, 잦은 입원 및 퇴원을 반복해왔다. 입원 시 분노조절이 어려워 친구들과 싸우거나 주먹으로 벽을 치고, 자해를 하며 욕설을 하는 문제행동이 관찰되었다. 단기간 3-4개월, 장기간 6-7개월씩 입원치료를 받았으나 퇴원 후 증상이 다시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2021년 6월에 퇴원한 이후 2022년 10월까지 외래를 잘 다녔으나, 귀찮다는 이유로 외래 방문을 중단하였다. 11월 17일경부터 언니를 만나고 욕을 하며 벽을 주먹으로 치는 공격적 행동을 보여 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