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언어발달장애에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언어발달장애에 미치는 요인
1.1. 정서장애아동의 발달 영역별 특성
1.2. 정서장애아동의 인지적, 학업적 특성
1.3. 정서장애아동의 의사소통적 특성
1.4. 정서장애아동의 사회적 특성
1.5. 정서장애아동의 행동적 특성
2. 자폐성 장애의 조기 진단
2.1. 자폐성 장애의 조기 진단 필요성
2.2. 자폐성 장애의 진단절차
2.3. 자폐진단이 지연되었을 때의 문제점
3. 자폐아의 정의, 원인, 상담과 지도
3.1. 자폐아의 정의
3.2. 자폐증의 원인
3.3. 자폐아의 상담과 지도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언어발달장애에 미치는 요인
1.1. 정서장애아동의 발달 영역별 특성
정서장애아동은 정상 범위에 속하는 지능을 보이지만 대체적으로 평균의 지능보다 낮은 지적 능력을 나타내며, 학업 성취 또한 비장애 아동들에 비해 다소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는 자신의 학년 수준에 못 미치는 학업부진을 의미하며, 거의 모든 영역의 과목에서 나타나고 시간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행동문제와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되어, 낮은 학업성취로 인한 사회적 관계의 결과가 부적절한 행동이나 부적응의 형태로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정서장애아동의 의사소통적 특성으로는 50% 이상이 언어장애를 수반하며, 실용적 언어장애인 화용론적 언어장애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수용 및 표현 언어장애 또한 정서장애아동에게 나타나는 특성이다. 이러한 언어 장애는 학업을 수행하는데 기본적인 수단이므로 학습과 학업 성취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또한 정서장애아동은 또래들과 우호적으로 관계를 형성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적절하게 대처하는 사회성 기술이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경청하기, 대화하기, 인사하기, 타인에게 도움주기, 규칙 따르기 등의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마지막으로 정서장애아동의 행동적 특성으로는 내재화된 행동과 외현화된 행동이 나타나는데, 내재화된 행동에는 수줍음, 위축, 슬픔, 우울, 공포, 불안 등이, 외현화된 행동에는 반항, 불복종, 공격성, 과도한 관심 요구, 비난, 파괴적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행동문제는 지적 능력과 학습성취,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사회적 관계 형성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1.2. 정서장애아동의 인지적, 학업적 특성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은 정상범위에 속하는 지능을 보이지만 대체적으로 평균의 지능보다 낮은 지적 능력을 보인다. 학습의 결과로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과정 또는 결과인 학업 성취 또한 비장애 아동들에 비해 다소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는 자신의 학년수준에 못 미치는 학업부진을 나타내며, 거의 모든 영역의 과목에서 나타나고 시간이 지나도 개선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학업부진은 행동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되어, 행동문제는 학업성취에 방해를 하고 낮은 학업성취에서 오는 사회적 관계의 결과는 부적절한 행동이나 부적응의 형태로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예를 들어, 인지능력 저하로 인해 학업 부진이 반복되면, 또래의 대화에 참여하기 어렵고 부정응 형태가 나타나 부적절한 행동이나, 사회에서 이탈하는 행동(가출, 따돌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1.3. 정서장애아동의 의사소통적 특성
정서장애아동의 의사소통적 특성이다. 정서 및 행동장애는 50% 이상이 언어장애를 수반한다. 언어문제는 언어능력의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지만 실용적 언어장애 즉 화용론적 언어장애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수용 및 표현 언어장애도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에게 보이는 특성이다. 언어 장애는 학업을 수행하는데 기본적인 수단이므로 학습과 학업 성취에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의사소통을 할 때 말을 구사하는 능력에 문제가 있거나 말을 하지만 의미를 전달하는 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조음기관의 기능적 문제가 있어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말을 할 수 있으나 말의 의미나 말을 하는 데 있어 문법적 발달 단계에 문제가 발생하여 말하는 것이 지연됨으로 인하여 의사소통이 잘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구음장애라 하며 후자의 경우 언어발달지연과 화용론적 의사소통 장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 화용론적 의사소통 장애의 대표적인 장애가 자폐스펙트럼장애로 볼 수 있다. 예를들어, "너 무슨 색을 좋아하니?" 라는 질문에, "배가 고파요. 화장실 갈래요." 이렇게 상황이나 주에에 맞지 않는 대화...
참고 자료
강위영, <언어발달장애>, 성원사, 1987
박미영(2023), 「어린이집 교사의 자폐성 장애에 대한 지식과 자폐성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오지혜(2021.05.18.), 「“아이 장애 빨리 알았더라도...”골든타임 놓치는 부모들」,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51114100002784?did=NA
서애리(2023.01.11.), 「머리카락 한 올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이 가능하다고?」, 하이닥 뉴스,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759511
정덕진(2022.10.11.), 「자폐증 영유아... 언어및행동적특징은」, 전국매일신문.
https://www.jeonmae.co.kr/news/articleView.html?idxno=918047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