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금연 보건 프로그램의 필요성
담배는 1492년 신세계에서 발견된 이래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20세기 이후에는 담배제조와 흡연자 수가 크게 늘어났다. 현재 전 세계 성인의 3분의 1이 담배를 피우고 있으며, 특히 여성 흡연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담배에는 암을 유발하는 타르, 중독성이 강한 니코틴, 질병을 일으키는 일산화탄소 등의 유해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흡연은 구강, 소화기, 비뇨기, 근골격계, 호흡기, 순환기, 신경 및 감각기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 특히 폐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으로 이어지며, 연간 평균 59,758명의 흡연 관련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청소년기는 신체·생리적, 정서적, 인지적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로, 자아의식이 완전하지 않아 흡연 등 비행 행위에 취약하다. 청소년들은 호기심이나 또래집단의 영향으로 담배를 접하게 되며, 흡연의 해로운 점을 알면서도 금연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금연 교육과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담배의 유해성과 흡연의 심각성을 알리고, 청소년의 금연을 지원하는 보건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스스로 흡연의 위험성을 깨닫고 금연에 성공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1.2. 담배의 유해성과 흡연의 위험성
담배란 담배 식물의 잎을 말려 저장, 건조한 후 여러 가지 화학물질을 첨가하여 제품화한 것이다. 1492년 신세계에서 콜럼버스가 발견한 "신기한 잎"은 150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어왔으며, 20세기에는 담배제조의 증가와 함께 흡연자들의 수가 급증하게 되었다. 21세기 초에는 전 세계 성인의 3분의 1이 담배를 피우고 있으며, 여성 흡연자가 증가하고 있다. [1]
담배에는 암을 일으키는 타르, 중독성이 있는 니코틴, 전사소증의 원인인 일산화탄소 등 유해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흡연은 구강 및 소화기계, 비뇨기계, 근골격계, 호흡기계, 순환기계, 신경 및 감각기계 등에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 특히 암과의 관련성이 크며, 흡연에 의한 암 사망 기여분율은 남성 52%, 여성 4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이처럼 담배의 유해성분과 흡연으로 인한 다양한 질병은 심각한 수준이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흡연을 계속하고 있으며 담배로 인한 사망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흡연의 유해성과 위험성에 대한 교육 및 금연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1]
1.3. 청소년 흡연 실태와 문제점
청소년의 흡연율은 2021년 기준 전체 6.7%로, 남학생 9.4%, 여학생 3.7%이다. 청소년들이 흡연을 시작한 평균 나이는 12.9세로, 청소년기에 흡연을 시작하게 된다. 청소년기는 신체, 생리적 변화와 더불어 정서적, 인지적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로, 이 시기 청소년들의 자아의식이 완전하지 않아 흡연 등 비행행위에 취약해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청소년들이 담배를 처음 접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호기심이며, 흡연의 해로운 점을 알면서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담배에 접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흡연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과 질병들이 바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청소년 스스로 금연에 대한 동기부여가 어려운 실정이다.
2. 금연 보건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
2.1. 프로그램 목적
**시의 청소년 흡연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본 금연 보건 프로그램의 목적이다. 청소년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흡연으로 인한 폐해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들의 금연 동기를 부여하고 지속적인 금연을 유도하여 긍정적인 행동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이 프로그램의 핵심 목적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2.2. 프로그램 목표
보건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의 흡연량을 50% 감소시키는 것이 본 프로그램의 목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