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 소화기계 저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장루를 가진 대상자의 심리적 고통
2.2. 장루 수술 전후 간호 중재
2.3. 퇴원 후 지역사회에서의 장루 관리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간호 소화기계 저널
간호 소화기계 저널은 장루를 가진 대상자의 심리적 고통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 중재에 대해 다루고 있다. 장루 수술 전후 및 퇴원 후 지역사회에서의 장루 관리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장루를 가진 대상자는 수술 전후와 병원에서 퇴원한 후 장루를 가지고 생활해야 하는 자신의 미래에 대해 다양한 심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지역사회에서의 관리와 지원이 필요하나 현재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채 조기 퇴원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장루를 가진 대상자를 관리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여러 가지 심리학적 요인과 이를 위한 간호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장루 수술이 예정되어 있거나 장루를 가진 대상자는 장루에 대한 신체적 이미지 변화로 인해 자존감과 존엄성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장루로 인한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역할, 사회로의 재통합에 대한 어려움 때문에 종종 상실, 슬픔, 불안, 우울증 등의 감정을 느낄 수 있고 이는 장루 수술 후 심리적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장루로 인한 파트너와의 의사소통, 성교의 어려움, 치료에 따라 발생 가능한 불임성 등 정신 성적인 문제도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심리학적 문제의 예방과 완화를 위해 간호사는 다양한 중재를 실시할 수 있다.
전 과정을 통틀어 환자의 수술 후 신체,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해 각 때에 맞는 환자, 환자의 가족을 위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건강교육이 중요하다. 수술 전 간호사는 환자와 충분한 의사소통을 통해 신체적,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을 포함한 총체적 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특히 심리적인 부분에서 대상자의 장루를 가진 삶에 대한 준비 정도, 향후 관리, 심리/성적 인식에 대한 요소가 포함되어야 하며 이 과정은 환자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의 경우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수술 후 간호사는 퇴원 준비를 위한 다양한 관리 정보 제공을 위해 다학제적 팀과 함께 작업한다. 이때 환자 교육과 자기 관리를 향한 격려가 매우 중요하며, 이런 관리는 수술 전 평가에서 설정된 개인별 목표를 반영해 이루어져야 한다. 목표는 대상자에게 장루 관리 방법을 전체적으로 보여준 후 설정되어야 하고, 이후에는 환자가 스스로 배워 관리할 수 있도록 과제를 세워야 한다. 이를 통해 환자는 성취, 만족을 느끼고 동기부여를 촉진할 수 있다.
퇴원 준비 시 간호사의 중재는 환자 및 환자 가족, 보호자와 협력하여 이루어진다. 이 과정을 통해 대상자는 효과적인 장루 관리, 신체, 심리, 사회적 복귀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대상자들은 수술 후 최대 1년까지 장루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간호사는 환자 가정 내에서 지속적이...
참고 자료
Allison M (1996) Discharge planning for the patient with a stoma. In: Myers C (ed) Stoma Care Nursing: a patient centred approach. Edward Arnold, London
Borwell, B (2009) Continuity of care for the stoma patient: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14(8), 326–328
McCahon S (1999) Faecal Stomas. In Porritt T, Daniel N (eds) Essential Coloproctology for Nurses. Whurr Publishers, London
Pringle W, Swan E (2001) Continuing care after discharge from hospital for stoma patients. Br J Community Nurs 10(19), 1275–88
White CA (1998) Psychological management of stoma related concerns. Nurs Stand 12(36), 35–8
지은선 (2003), “비만환자의 간호사례 연구”, 高凰論集 Vol.32 No.- [2003] , 261~280(20쪽)
김금순, 윤은자, 김숙영 외 공저,<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17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외 공저,<기본간호학2 제 2판>,현문사, 2017
한정순, 김향미, 박상숙 외 공저, <제 2 개정판 간호와 영양>, 메디시언, 2013
차영남, 장효순, 한헤실 외 공저, , 현문사, 2013
질병관리본부, 2014, 『의료기관 내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레 감염 실태 파악 및 관리 지침 개발』, 배현주 등 9명, “의료기관의 기본 Clostridium difficile감염 관리”, pp.64~71
대한소화기학회, 2021, 『C. difficile 감염의 치료』, 명대성, “C. difficile 감염의 치료”, pp.1~5
한양대학교, 2018, 『Essentials of Primary Care: 감염』, 김지은, “C. difficile 감염: 진단과 치료의 최신 지견”, pp.157~159
이원의료재단, 2015, 『proGRP』, 임춘수, “항생제 내성균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레균 감염", pp.1~2
HealthLinkBC, 2018, 『클로스트리듐 디피실균』, 김선재 등 2명, “어떻게 예방할 수 있나", pp.2~6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 Clostridium difficile 감염환자의 현황 및 위험요인 분석』, 오성희, “동반질환 및 약물사용과 CDI의 관련성 분석”, pp.68~94
대한 장연구학회 https://www.kasid.org/main/main.html
질병관리청 감염병누리집 https://www.kdca.go.kr/npt/biz/npp/portal/nppSumryMain.do?icdCd=ND0607&icdgrpCd=04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http://www.riss.or.kr/index.do
MSD 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
[메디포뉴스/2018-06-04] 병원 감염문제, VRE와 CRE 말고 CDI도 있다 https://www.medifonews.com/news/article.html?no=138479
[후생일보/2022-07-19] 설사균이 대장암의 원인? http://www.whosaeng.com/137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