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폐렴은 아동기에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100명 중 2~4명의 아동에게 발생하는 폐의 염증을 의미한다. 폐렴은 항생제의 발달로 치료가 가능해졌으나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이 여전히 높아 소아기의 이환율과 사망률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폐렴이 늦겨울이나 초가을에 자주 발생하는 만큼 병동의 많은 폐렴 환자들 중 다른 질병이 없는 2세 남아를 case study 환자로 선정하여 폐렴이 소아에게 미치는 영향과 질병의 원인,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맞는 적절한 치료와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본 사례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2. 질환에 대한 문헌 고찰
폐렴은 폐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 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널리 반점이 퍼지는 기관지 폐렴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방어기전이 병원체의 독성에 대항하지 못할 때 폐렴이 발생한다. 병원체는 체내에 삽입되는 기구, 기계, 물품과 직원 또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신체에 침입할 수 있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mycoplasma, 진균, 리케차, 원충 또는 기생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폐렴의 비감염성 요인으로는 독성가스, 화학물질, 담배연기 등의 흡입과 물, 음식, 수액, 구토 등에 의한 흡인을 들 수 있다.
폐렴의 원인균은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폐렴과 병원에서 감염된 폐렴으로 나눌 수 있다.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폐렴의 주요 원인균은 Streptococo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 Mycoplasma pneumoniae, Chlamydia pneumonliae이며, 병원에서 감염된 폐렴의 주요 원인균은 Staphylococo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nterobacter, Klebsiella, Acinetobacter, Candida albicans 등이다.
폐렴의 진단은 객담과 혈액검사, 흉부 방사선 검사, 기타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객담 도말 및 배양 검사로 병원체를 확인할 수 있고,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증가, C-reactive protein 증가, 혈청전해질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는 폐분절, 폐엽, 한쪽 폐 또는 양쪽 폐 등의 밀도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기타 검사로는 기관지경 검사, 피부반응 검사, 폐 스캔, 부비동 검사, 흉부 CT 촬영 등이 있다.
폐렴의 주요 증상으로는 고열, 기침, 피가 섞인 객담, 호흡 시 복부통증, 흉통, 늑막통, 두통, 전신쇠약, 동통, 호흡곤란, 저산소혈증, 청색증, 빈호흡, 얕은호흡, 빈맥, 복부팽만, 악설음, 천명음, 진탕음, 기관지 호흡음, 다량의 땀 배출 등이 있다. 때때로 오심, 구토, 설사, 황달, 단순포진, 독성 섬망증 등도 나타날 수 있다.
폐렴의 치료는 원인균에 따라 다르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대증요법으로 관리하며, 세균성 폐렴의 경우 항생제 치료가 효과적이다. 항생제 치료 외에도 안정, 수분 섭취, 기도 관리, 기침 유도, 호흡 운동 등의 대증요법이 필요하다. 심각한 경우 산소 공급, 인공호흡기 적용 등의 집중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폐렴의 간호는 감염 예방, 호흡 관리, 영양 및 수분 공급, 증상 완화 등의 목표로 이루어진다. 감염 예방을 위해 격리 병실 적용, 표준 예방 지침 준수가 중요하다. 호흡 관리를 위해 체위 변경, 기도 흡인, 흉부물리요법 등을 시행한다. 영양 및 수분 공급을 위해 경구 및 정맥 수액 투여를 한다. 해열제, 진해제, 거담제 등의 약물 투여로 증상을 완화시킨다. 또한 환아와 보호자의 불안을 해소하고 협조를 이끌어내는 것도 중요한 간호 활동이다.
3. 아동 자료 수집
3.1. 일반적 사항
이름: 이**
성별: M
나이(생년월일): 2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