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회복지 실천의 개념과 정의
1.1. 사회복지의 개념
1.1.1. 잔여적 개념
잔여적 개념은 초창기의 사회복지 개념으로, 가족과 시장경제가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국가가 일정기간 개입하여 기본적인 삶을 유지시켜 주는 보완적인 기능으로서의 사회복지를 의미한다.
이는 보충적, 일시적, 대체적 성격의 사회복지를 의미하며, 수치(stigma)의 문제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사회복지가 개인의 실패를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1.2. 제도적 개념
제도적(institutional) 개념은 개인과 사회복지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강조하는 이념에서 출발한다. 이 개념은 실패한 사람을 지원한다는 의미 보다는 사회문제를 예방하고 완화시키며 문제해결에 기여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제도적 개념은 포괄적이며 보편적 서비스, 광의의 사회복지를 의미하며 현대 국가의 복지 이념을 수립하는 기초가 된다. 즉, 제도적 개념은 개인의 욕구 충족을 국가의 책임으로 보며, 사회복지를 문제 해결을 위한 예방적이고 적극적인 제도로 이해한다.
1.2.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사회복지실천의 정의는 사회복지학이 발달해 온 과정을 통해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규정되어 왔다. 리치몬드(1922)는 사회복지실천을 "개개인, 그리고 인간과 그 사회 환경 사이에서 의식적인 조정을 통해 개개인의 인격발달을 이루어 가는 과정들"이라고 정의하였다. 이후 NASW에서는 1958년에 사회복지실천을 "개인, 집단, 지역사회로 하여금 그들 각자의 사회적 기능을 증진, 복구(회복)시키며, 그러한 목적에 합당한 사회적 조건들을 스스로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돕는 전문적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이 정의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대상을 개인과 집단, 그리고 지역사회로 명백히 밝히고 있다. 보엠(1959)은 사회복지실천을 "개인 한 명 또는 개인들 집단의 사회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하면서, 개인과 환경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