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활성산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활성산소의 정의와 특성
1.2. 활성산소의 생성 과정
1.3. 활성산소의 생리적 기능
2. 활성산소와 노화
2.1. 활성산소와 노화의 관계
2.2. 활성산소와 각종 질병의 연관성
2.3. 활성산소와 피부 노화
3. 활성산소의 제거와 조절
3.1. 항산화 시스템
3.2. 항산화비타민의 역할
3.3. 운동과 활성산소
4. 활성산소의 의학적 활용
4.1. 광역동 치료법(PDT)
4.2. 플라즈마 의학과 활성산소
5. 결론
5.1. 요약 및 정리
5.2. 활성산소 관리의 중요성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활성산소의 정의와 특성
산소는 전자가 하나 혹은 두 개가 더 있어야 안정적이어서 항상 전자를 얻으려는 불안정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산소에게 전자를 빼앗기는 것을 산화라고 하며, 산화된 물질 역시 불안정하여 전자를 뺏으려 한다. 이처럼 반응성이 큰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분자를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라 한다. 활성산소에는 superoxide(O2-), 과산화수소(H2O2), Hydroxyl radical (HO?)등이 있으며, Hydroxyl radical은 DNA 산화, 지질 산화 등 체내 독성을 유발하는 핵심 물질이다. 활성산소는 인간이 살아 숨 쉬는 한 계속 생성되고 있으며, 격렬한 운동, 스트레스, 자외선, 방사선 등에 의해 그 생성이 촉진된다.
1.2. 활성산소의 생성 과정
우리가 음식을 섭취하면 소화기관을 통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으로 분해된다. 이러한 거대분자들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인체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단위인 ATP로 변환된다. 이 대사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전자 전달계의 환원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산소분자가 환원을 거치며 물이 되는 과정에서 최소 1%에서 최대 15%의 비율로 활성산소가 생겨난다. 따라서 활성산소는 인간이 살아 숨 쉬는 한 계속 생성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격렬한 운동과 같은 과도한 신체활동, 스트레스로 인한 호흡의 증가, 자외선, 방사선 등에 의한 물 분자의 불안전한 분해도 활성산소의 생성을 촉진한다. 이처럼 우리 몸 내에서 다양한 요인에 의해 활성산소가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1.3. 활성산소의 생리적 기능
활성산소는 때와 장소에 맞게 생성되면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돕고, 면역 작용을 하며 항상성을 유지하여 인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먼저 외부에서 병원균이 체내로 들어오면, 면역체들이 활성산소를 이용하여 이들을 제거한다. 또한 활성산소 중 하나인 과산화수소가 2차 신호전달 물질로 이용되어 세포 분열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항산화 효소의 일종인 퍼옥시레독신(Prx)은 본래 과산화수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세포가 이 효소를 조절하며 과산화수소를 신호전달 물질로 이용한다. 이처럼 활성산소는 때와 장소에 알맞게 생성되면 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돕고, 면역 작용을 하고 항상성을 유지하여 인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2. 활성산소와 노화
2.1. 활성산소와 노화의 관계
활성산소는 노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우리 몸에서는 끊임없이 활성산소가 생성되고 있으며, 이들이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세포와 조직의 손상을 유발하여 노화를 가속화시킨다.
활성산소는 산소 분자 내에 홀로 존재하는 불안정한 전자를 가지고 있어 주변의 다른 물질들과 반응하여 산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산화작용은 세포막, 단백질, DNA 등 세포의 주요 구성 성분들을 손상시켜 세포 기능을 저하시킨다.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 손상이 누적되면 세포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노화가 진행된다.
특히 활성산소는 피부 노화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자외선, 대기오염 등에 의해 활성산소가 다량 생성되며, 이로 인해 피부 세포의 손상이 가중된다. 활성산소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등 피부 구조 단백질의 파괴를 촉진하여 피부 탄력 저하와 주름 생성을 유발한다. 또한 멜라닌 색소 생성을 증가시켜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 침착 문제를 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는 각종 만성질환과도 깊은 연관성이 있다. 활성산소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동맥경화, 당뇨, 암 등의 발병 위험을 높인다. 이러한 질병들이 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국 활성산소는 노화의 핵심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항산화 관리를 통해 활성산소를 조절하는 것이 노화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균형 잡힌 식단과 규...
참고 자료
이호성, 박우영 (2007). 신체활동과 활성산소. 운동학 학술지, 9(2), 21-31
원자폭탄보다 무서운 활성산소,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25399.html
김혜진, 이원준 (2017). 운동과 활성산소. 생명과학회지, 27(9), 1078-1085
정해영 (1991). 노화 활성산소 동맥경화 ( Aging Free radical Arteriosclerosis ). 생명과학, 1(1), 2-14
배윤수 (2012). 활성산소는 독인가? 약인가?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항산화제 [antioxidant] (화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1103&cid=61233&categoryId=6123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3109&cid=62802&categoryId=62802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4313&cid=43667&categoryId=43667
‘인체를 녹슬게 하는 ’활성산소‘’, 2009.02.10, 우정헌 기자, 사이언스 타임즈
화학공학연구정보센터 : 플라즈마란?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2125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237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73624&cid=59913&categoryId=59913
플라즈마 메디신; 저온 상압 플라즈마는 어떻게 의학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가? - 부산대학교 박상례, 생명과학회지, 2013 vol.23, no.6, 통권 158호 pp.838-846
한영숙, 정은선, “천연식물추출물의 항산화력과 미백작용의 상관관계연구”, 대한피부미용교육학술지, 제1권 1호, pp. 12-14, 2003.
홍재기,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노화와 항산화비타민의 효능에 대한 이론적 고찰”, 대한피부미용학회지, 제7권 2호, pp.51-60, 2009.
박민호, 양승현, 천호영, 한주희, “항산화활성물질의 스크리닝”.
이준설, 박양균, 작물의 유용성분 분석 및 평가, 한국작물학회, 2004, pp.187-192.
박진선, 김형상, 진구복, “야콘 착즙액의 항산화 활성 및 천연 항산화제로서 돈육패티에 이용,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2권 2호, pp.191, 2012.
카렌 길버트, 홈메이드 천연화장품 만들기, 리스컴, 2014, pp.120
차윤엽, “호박잎의 항산화 효과 연구”, 한방비만학회지 제9권 2호, pp.58-60, 2009.
"화장품용 활성 성분 시장",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17, pp.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