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 간호사정
안산시는 총면적 149.39km3로 경기도의 1.5%를 차지하며, 서울의 30km 반경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은 군포시와 의왕시, 서쪽은 서해, 남쪽은 화성시, 북쪽은 시흥시와 접해 있다. 지형은 내륙 쪽으로 완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북부에는 광덕산, 남부에는 나봉산 등의 낮은 구릉선 산지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다. 안산천, 화정천 등의 하천을 따라 비교적 넓은 충적지가 발달되어 있으며, 이 지역은 주로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동·서로 상록구(13동)와 단원구(12동)로 구분되나, 지역사회 보건 차원에서는 기존 도심지역(1권역), 신도심지역(2권역), 농어촌 및 도서지역(3권역), 공단 및 다문화 지역(4권역) 등 4개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안산시의 총인구는 765,022명이며, 제3권역에는 39,082명이 거주하고 있어 전체 인구의 5%를 차지한다. 제3권역은 반월동, 안산동, 대부동으로 구성되며, 군포시와 화성시, 수원시 경계에 접해 있는 지역으로 반월역을 중심으로 한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농업과 공업단지(반월도금산업단지)가 있으며, 보건의료기관과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문화·상업시설과 거리가 멀어 소규모 자체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대부동(대부도)은 안산 서부권 끝단에 위치한 섬으로, 민간 의료기관 수가 타 지역에 비해 가장 낮아 의료취약지역으로 분류된다.
제3권역의 인구 구조를 살펴보면, 유소년 인구 비율이 점차 감소하고 생산연령층(30~50대)과 노인인구의 비중이 증가하는 방추형 형태를 띠고 있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14.04%로 전체 인구 중 가장 높으며, 외국인 인구비율은 1.5%로 가장 낮다. 또한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등록장애인, 저소득 한부모가정 등 취약계층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한편 안산시 전체의 건강 수준을 살펴보면, 합계출산율은 전국 수준과 유사하며 사망률은 여성에 비해 남성이 높은 편이다. 사망원인으로는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자살, 당뇨병, 고혈압 순으로 나타났다. 안산시의 의료기관 이용률은 경기도 평균에 비해 낮은 편이며, 고혈압, 당뇨병, 정신질환, 관절염 등 만성질환 진료인원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흡연율과 월간 음주율, 비만율 등 건강행태 지표도 전국·경기도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다.
환경적 측면에서 안산시의 상하수도 보급률은 경기도 평균보다 높고, 대기·폐수 배출 사업장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 및 공공시설 현황을 살펴보면 자동차 등록 수 284,245대, 공연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등이 갖추어져 있다.
제3권역은 인구수가 적고 의료기관 수가 가장 적은 지역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편이다. 또한 뇌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높고 질환 인식 및 관리 부족으로 인한 의료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제3권역의 SWOT 분석 결과, 지역 내 의료기관 유치, 노인 건강관리, 만성질환 관리 등이 중요한 과제로 도출되었다.
1.2. 지리적 특성
안산시는 총면적 149.39km²(경기도의 1.5%)로, 서울의 30km 반경 남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군포시와 의왕시, 서쪽은 서해, 남쪽은 화성시, 북쪽은 시흥시와 접해 있다. 지형은 내륙 쪽으로 완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시흥시와 접한 북부에는 광덕산, 남부에는 나봉산 등의 낮은 구릉선 산지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다. 반월천, 안산천, 화정천 등의 하천이 지나가며 주변 연안에는 비교적 넓은 충적지가 발달되어 대부분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행정구역상 상록구(13동)와 단원구(12동)로 구분되나 지역사회 보건차원에서는 기존 도심지역을 기반으로 한 구도시 지역(1권역), 신도심지역을 기반으로 한 신도시 지역(2권역), 반월역을 중심으로 한 도심과 떨어져 있는 농촌 지역과 대부도 등의 도서지역을 포함한 농어촌 지역(3권역), 반월공단과 외국인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공단 및 다문화 지역(4권역) 등 4개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 3권역은 농어촌 지역으로 반월동, 안산동, 대부동으로 구성되며 군포시와 인접하고 화성시, 수원시 경계가 접한 지역으로 반월역을 중심으로 한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농업과 공업단지(반월도금산업단지)가 있으나 보건의료기관과의 접근성이 떨어지며 각종 문화시설, 상업시설 등과 인접하지 못해 소규모 자체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대부동(대부도)은 안산 서부권 끝단에 위치한 섬으로 민간 의료기관 수가 타 지역에 비해 최저 수준이어서 안산시의 대표적인 의료취약지역으로 분류된다.
1.3. 인구 특성
안산시는 총인구 765,022명 중 제3권역의 인구가 39,082명으로 전체 인구의 5%를 차지하고 있다. 각 권역별 인구 크기는 제1권역(52%), 제2권역(31%), 제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