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어는점 내림 분자량 측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2.1. 용액의 총괄성
2.2. 라울의 법칙
2.3. 몰농도, 몰랄농도, 노르말농도
3.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4.1. 어는점 내림에 의한 분자량 측정
5. 주의 사항
6. 결과데이터
7. 고찰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용액의 총괄성에서, 묽은 용액의 경우 라울의 법칙인 어는점 내림과 용질의 몰랄농도는 비례함을 이용하여 용질의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질의 분자량을 측정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용액이란 두 종류 이상의 물질이 균질하게 섞인 혼합물이다. 용액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은 용매와 용질이다. 용매는 용질을 녹여 용액을 만드는 물질이며, 용질은 용매에 녹는 물질이다.
용액의 물리적 성질 중 총괄성이란 용질의 종류나 성질에 관계없이 용질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성질을 말한다. 증기압 내림, 어는점 내림, 끓는점 오름, 삼투압 등이 이에 해당된다.
라울의 법칙은 비휘발성 용질이 녹아있는 휘발성 용매에서 용액의 증기압이 감소하고 어는점이 내려가는 현상을 설명한다. 어는점 내림 현상을 이용하면 용질의 몰랄농도와 분자량을 계산할 수 있다.
몰랄농도는 용매 1kg에 녹아있는 용질의 몰수를 나타내는 농도이다. 어는점 내림 현상에 따르면 몰랄농도와 어는점 내림의 차이는 비례한다. 이 관계식을 이용하면 실험 결과로부터 용질의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라울의 법칙인 어는점 내림 현상을 이용하여 용질의 분자량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실험 이론
2.1. 용액의 총괄성
용액의 총괄성이란 용질의 종류와는 무관하고 오로지 용질의 입자 수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성질이다. 증기압 내림, 어는점 내림, 끓는점 오름, 삼투압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증기압 내림은 비휘발성·비활성 용질을 용매에 녹이면 용질 입자가 용액 표면에서 용매의 증발을 방해하여 용액의 증기압력이 순 용매보다 낮아지는 현상이다. 어는점...
참고 자료
화학용어사전편찬회,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2017
Steven S. Zumdalh외, 화학교재연구회 옮김, 「줌달의 일반화학 제10판 상」, CENGAGE, 2018, pp.536-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