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주도 관광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주도 관광협회
1.1. 지역별 관광협회
1.2. 목표
1.3. 조직구조
1.4. 예산운용
1.5. 문제점
2. 제주도 관광지(관광명소)
2.1. 용두암
2.1.1. 위치
2.1.2. 개요
2.2. 지미봉
2.2.1. 소재지
2.2.2. 표고(m)
2.2.3. 비고(m)
2.2.4. 둘레(m)
2.2.5. 면적(m²)
2.2.6. 저경(m)
2.3. 정방폭포
2.3.1. 관람소요시간
2.3.2. 개장시간
2.3.3. 문의
2.3.4. 교통
2.4. 도깨비도로
3. 제주도 관광명소(관광지)
3.1. 수월봉
3.1.1. 소재지
3.1.2. 표고(m)
3.1.3. 비고(m)
3.1.4. 둘레(m)
3.1.5. 면적(m²)
3.1.6. 저경(m)
3.2. 외돌개
3.2.1. 관람소요시간
3.2.2. 교통
3.3. 산방굴사
3.3.1. 위치
3.3.2. 개요
3.4. 천제연폭포
3.4.1. 관람소요시간
3.4.2. 개장시간
3.4.3. 문의
3.4.4. 교통
3.5. 성산일출봉
3.5.1. 위치
3.5.2. 개요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제주도 관광협회
1.1. 지역별 관광협회
제주도 관광협회는 관광진흥법 제43조에 의하여 설립된 지역별 관광협회로서 관광사업의 발전업무, 조사연구 홍보업무, 관광통계, 교육, 지자체 수탁업무, 안내소운영, 기타 수익사업 등 고유업무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제주도관광협회는 생산적 효율적 조직개편을 위하여 사무국 업무체계개선, 이사회 외부인사 영입, 해외담당 부회장제 도입, 회원가입 문호개방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법규와 정관상의 활동영역과 고유기능의 명시에도 불구하고 과업환경은 급변하는 관광환경에 효율적 생산적으로 적응할 만한 전반적 기제가 취약하고 역점사업의 추진과 장?단기 목표 달성도 미흡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2. 목표
제주도관광협회의 목표는 '국제자유도시 시대에 동북아 거점관광지 육성'으로 나타난다. 이는 장기목표이자 공식목표로 볼 수 있다. 단기목표로는 관광객 420만 명 유치가 제시되고 있다. 단기목표는 향후 변경될 수 있으며, 장기목표 또한 환경변화에 따라 재정립될 수 있다고 한다.
1.3. 조직구조
제주도관광협회의 조직구조는 전통적인 라인조직을 형성하고 있으며, 비상근 회장, 상근부회장, 사무국장 하에 관리운영팀, 조사개발팀, 홍보팀, 관광안내소장, 수익사업팀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문적 자문스탭이 명시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부서장 중심의 조직구조에서 팀장 시스템으로 명칭은 변경되었으나 실질적으로 팀장제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조직은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인사위원회 등 소위원회 조직을 형식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 예산운용
제주도관광협회의 예산운용은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계연도 기준 협회의 총수입은 보조금 1,794,438,000원(81.76%)과 자체수입 400,393,384원(18.24%)로 구성되어 있다. 지출구성의 경우, 사업비 부문이 1,304,339,332원(60%)이고 나머지 40%가 관리비로 배분되어 있다.
사업비 내역을 살펴보면, 회원권익증진사업 9.6%, 국내외 홍보사업 54.5%, 관광이벤트 24.5%, 관광홍보물제작 11.5% 등으로 배분되어 있다. 특히 관리비를 제외한 총사업비 규모가 13억원 수준으로, 속초엑스포나 경주엑스포와 같은 단일행사의 홍보예산보다도 적은 실정이다. 이는 협회가 목적지 마케팅기구로서 주요 기능인 조사분석, 국내외 홍보활동을 수행하기 어려운 여건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주도관광협회는 조직, 재원, 기능, 인식 등 제반 차원에서 관광환경의 동태적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재원확보의 개선과 더불어 협회의 중요성과 기능에 대한 인식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평가된다.
1.5. 문제점
제주도관광협회는 관광산업이 제주지역경제의 기간산업이라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직, 재원, 기능, 인식 등 제반 차원에서 관광환경의 동태적 변화에 적응할 만한 인적 구조적 전문성이 결여되고 재원확보의 곤란 및 협회의 중요성과 기능에 대한 인식저조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협회의 고유기능을 원만히 수행할 인적 기능적 조직구조가 크게 부족하다는 점이다. 조사연구, 상품개발, 국내외 홍보부문에 각각 필요한 박사급 전문요원이 없고 실질적인 활동을 뒷받침할 예산이 빈약하다. 또한 구성원의 분포가 외형적으로 관리 및 안내업무에 치중되어 있어 조직의 장기적 사업 발굴, 시장 개척, 경쟁력 있는 전략 마련 등에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회장, 상근부회장, 사무국장 등 주요 인력들의 국내외 관광사업 경험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싱가폴 관광청이나 홍콩관광협회와 같은 해외 사례와 비교할 때 제주도관광협회의 조직구조와 역할체계가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존 협회의 활성화 전략을 포함하여 지방관광청, 관광진흥원 등 대안조직의 발족도 함께 고려해...
참고 자료
권미혜, 이두현, 가자 제주도, 핵교, 2012
문현주, 제주도 푸른밤, 로망띠끄, 2003
오상훈, 제주도관광협회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2001
이두나, 제주도 살고 싶다, 시공사, 2012
정은주, 제주 가자, TERRA, 2012
홍연주, 홍수연, 제주 100배 즐기기, 알에이치코리아, 2012
박동식(2004), 제주도, 시공사
박상준(2012), 한눈에 쏙 제주도 올레길, 스타일북스
이두나(2012), 제주도 살고 싶다, 시공사
주강현(2012), 주강현의 제주도 이야기, 아이세움
최상희(2012), 제주도 비밀코스 여행, 북노마드
홍연주, 홍수연(2012), 제주 100배 즐기기, 알에이치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