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업무개선지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주제선정 배경 및 목표
1.1. 주제선정
1.2. 활동목표
2. 핵심 지표
3. 팀 구성 및 회의
3.1. 팀 구성
3.2. 활동 일정
4. 자료수집 및 분석
4.1. 조사방법
4.2. 평가도구
4.3. 모니터링
4.4. 자료 분석 및 문제 분석
5. 개선 활동 및 계획
6. 결과분석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주제선정 배경 및 목표
1.1. 주제선정
구미차병원의 62병동은 응급환자 전용 병동으로 총 10개 병실 52병상이 있으며 간호사 수는 약 18명으로 평균 1:9 비율로 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한다. 입원환자의 비율은 응급환자 70%, 흉부외과 환자 30%에 속하며 입-퇴원의 순환이 빠르다. 간호사는 업무 특정상 24시간 환자 곁에서 간호를 제공하고 그중 투약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업무이며 정확하고 안전한 약물 투여는 간호사의 중요한 책임으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이 조사한 2018년 환자 안전 통계연보에 따르면 증가하고 있는 환자안전사고 보고 중 투약오류는 30.7%로 두 번째로 높았다. 바쁜 간호업무에 대처하다 보면 간호의 기본인 7Right 확인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며 투약오류 관련 사례는 매년 끊이지 않고 발생한다. 이에 부서별, 간호사 경력별로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투약바코드 시스템 도입 등 병원 차원의 통합적 중재가 필요하다.
개선 활동 시행 후 환자 바코드 시스템을 도입하여 투약오류를 감소시키고, 투약간호 시뮬레이션 및 적절한 프리셉터십 교육을 통해 신규 간호사의 경험미숙으로 인한 투약오류를 감소시킨다. 또한 인원이 부족한 병동에 추가적인 인원을 보충하여 간호사들의 업무 피로를 조절하고, 대상자가 알 수 있게 투여하는 약의 종류와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1.2. 활동목표
개선 활동 시행 후 환자 바코드 시스템을 도입하여 투약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투약간호 시뮬레이션, 적절한 프리셉터십 교육을 통해 신규 간호사의 경험미숙으로 인한 투약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인원이 부족한 병동에 추가적인 인원 보충을 통해 간호사들의 업무 피로를 조절해 줄 수 있다. 대상자가 알 수 있게 투여하는 약의 종류와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시킬 수 있다.
2. 핵심 지표
지표 ①: 병동 내 라벨 부착률은 병동 내 수납장에 부착된 총 라벨 수를 병동 내 총 수납장 수로 나눈 백분율로 정의된다. 이는 수납장 라벨링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는 지표이다.
지표 ②: 라벨링 관련 업무의 효율성은 간호사의 라벨링 관련 업무에 대한 투입 대비 산출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호사 대상 설문지 3문항의...
참고 자료
온나라 정책연구,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6.12. 「공공기관 경영평가의 이해」
공공기관사회책임연구원 홈페이지
기획재정부, 2019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편람
참여와혁신, 임동우, 2019.8.29. 공공기관 경영평가, 이대로 괜찮은가?
간호관리학 이병숙 외 5명 –출판사 - 학지사메디컬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순림 외 2
간호사의 투약 근접오류경험의 영향 요인과 결과 – 박진희 외 1
투약오류 경험률 감소를 위한 시스템 개선활동 – 울산대학교 산부인과 52 병동
병원의 환자 안전 문화 개선 방향 - 김효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