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보라매병원 중환자 간호
1.1. 의식사정
의식수준(Level of Consciousness)은 자신과 환경을 인지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는 뇌 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명료, 기면, 혼돈, 혼미, 반혼수, 혼수 등 다양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의식수준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글라우스고우 혼수척도(GCS)이다. GCS는 개안반응, 운동반응, 언어반응을 평가하여 15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긴다. 15점은 정상 의식상태이며, 8점 이하는 일반적으로 혼수상태, 3점은 완전 혼수상태이다. 의식수준 평가를 통해 뇌 기능 저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 적절한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환자의 의식수준을 정기적으로 사정하고 기록하는 것은 간호 실무에서 매우 중요하다.
1.2. Ventilator 원리
양압호흡기는 산소가 풍부한 공기를 기계적으로 환자의 폐 내로 이동시키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환자가 독립적으로 자발호흡을 시작하는 능력이 생길 때까지 호흡에 대한 지지를 위해 적용한다.
양압호흡기에는 시간조절(time-cycled), 압력조절(pressure-cycled), 용량조절(volume-cycled) 3가지 형태가 있다. 시간조절(time-cycled) 방식은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흡기가 끝나고, 전달되는 공기 양은 흡기 시간과 flow rate에 의해 조절된다. 압력조절(pressure-cycled) 방식은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될 때까지 폐에 전달된 후 흡기가 끝나며, 용량조절(volume-cycled) 방식은 정해진 공기양을 전달하기 위해 압력이 달라진다.
양압호흡기의 분류에는 압력조절환기(PCV), 압력보조환기(PSV), 용량조절환기(VCV)가 있다. 압력조절환기(PCV)는 설정한 압력이 기도에 전달되는 방식이며, 압력보조환기(PSV)는 자발호흡이 가능한 경우 환자의 흡기성 노력으로 음압이 생기면 기계에 설정된 양압으로 공기가 전달되는 방식이다. 용량조절환기(VCV)는 기도압력에 상관없이 미리 설정한 환기량을 폐로 전달하는 방식이며, 강제환기(CMV)와 보조환기(ACMV, SIMV) 등이 포함된다. 이외에도 CPAP, BIPAP 등의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이 양압호흡기는 환자의 자발호흡 능력 회복을 돕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호흡을 보조하는 기계라고 할 수 있다.
1.3. 심전도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검사로,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알아볼 수 있다. 심장은 특수한 심근세포가 전기적 흥분을 일으키고 전달하여 자율적으로 수축하는데, 이를 심전도로 확인할 수 있다.
심장의 전도계는 동방결절-방실결절-His다발-좌우다발가지-Purkinje섬유 순으로 전기적 흥분이 전달된다. 동방결절은 상대정맥이 우심방으로 들어오는 부위에 위치하며 분당 60~100회의 규칙적인 전기적 충격을 가한다. 방실결절은 우심방벽에 위치하며 동방결절로부터 온 전기적 충격을 심실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His다발, 좌우다발가지, Purkinje섬유는 심방에서 심실로 전기적 활성을 전달한다.
심전도 파형에서 P파는 동방결절의 탈분극을 나타내며, PR구간은 심방에서 심실로 흥분이 전달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QRS파는 심실의 탈분극을, T파는 심실의 재분극을 나타낸다. 정상적인 심전도 소견은 P파의 폭이 0.11초 이내, PR구간이 0.12~0.20초, QRS파의 폭이 0.06~0.10초, ST분절이 10mm 이하이다. 이상과 같은 심장의 전도 메커니즘과 정상 심전도 소견을 이해하면 심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1.4. 욕창상처 간호
욕창상처 간호는 다음과 같다.
욕창은 피부와 피부 밑 조직의 압력이나 마찰, 전단력으로 인해 손상되어 발생하는 국소적인 피부와 조직의 손상이다. 욕창 단계는 1단계부터 4단계까지 있으며, 단계가 높아질수록 피부와 조직의 손상 정도가 심각해진다.
욕창 간호의 목표는 욕창 발생을 예방하고 이미 발생한 욕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악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피부 사정, 습윤 드레싱, 영양 공급, 감염 예방, 체위 변경 등의 포괄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먼저 피부 통합성과 상처 상태를 정기적으로 사정한다. 욕창 단계, 크기, 깊이, 색깔, 감염 징후, 부종 및 통증 등을 확인한다. 이를 토대로 욕창의 상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