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학분야 이완요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이완 요법
1.1. 개념
1.2. 종류
1.3. 연구 사례
1.4. 활용 가능성
2. 명상 요법
2.1. 개념
2.2. 종류
2.3. 연구 사례
2.4. 활용 가능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이완 요법
1.1. 개념
이완은 스트레스가 심하고 불안하면 근육이 긴장된다는 전제하에 근육을 이완시켜 중추신경계 흥분을 완화하고 긴장을 풀어주는 기법이다. 이완 요법은 이완 훈련(relaxation training), 점진적 이완(progressive relaxation), 이완법(relaxation method), 근육 이완 훈련(muscle relaxation training), 정서적 이완(emotional relaxation), 체계적 이완(systematic relaxation)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이완 요법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Benson(1975)은 이완반응이란 전반적인 교감신경계 활동저하와 부교감신경계 활동 증가를 일으키는 통합적인 시상하부 반응이라 정의하였고, Richter와 Sloan(1970)은 이완술이란 신체에 있는 여러 근육을 체계적으로 이완시켜 긴장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Dossey(1984)는 근육, 반사(reflex), 마음을 훈련시켜 근육긴장을 완화하고 교감신경계 활동을 감소시키는 기술이라 하였다. 점진적 이완 방법은 각각의 근육군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인지적 주의 전환이라는 자신의 상태에 주의를 집중하는 습관이나 경향성을 배양하여 이완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완 요법은 bio-feedback system등의 기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외하면 비용이 전혀 들지 않고,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하며, 여러 상황에서 자신이 스스로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 스트레스 대처훈련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특히 의학분야에서 사용되던 이완요법이 최근에는 간호학에도 도입되어 불안과 스트레스감소, 동통 감소와 이완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완요법은 교감신경계 흥분과 관계되는 질환에 있어서 예방적, 치료적 가치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1.2. 종류
점진적 근육 이완법(progressive muscle relaxation)은 Jacobson(1938)에 의하여 개발된 것으로, 모든 종류의 심리적 긴장은 생리적 또는 신체적 긴장을 수반하고, 역으로 신체적 또는 생리적 긴장을 경험하게 되면 심리적 긴장이 일어난다는 상호관계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 방법은 주요 신체부위 근육을 의도적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수축시켰다가 서서히 풀어주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긴장이 저절로 해소된다는 원리를 기초로 한다.
자가 발생 훈련법은 1930년대 Schultz에 의해 개발된 이완요법으로, 수동적인 주의집중을 이용하여 대상자 스스로 수행하는 일종의 정신요법이다. 이 방법은 근육이완과 자기 암시(autosuggestion)를 통해 사지의 무거운감(heaviness)조성, 사지의 온감 등 부교감신경계 활동과 관련된 감각을 느끼게 함으로써 심리적 생리적 이완효과를 얻도록 한다.
바이오피드백은 자율신경계의 통제하에 있는 개인의 생리적 반응을 청각 또는 시각적 피드백을 받아 이를 수의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조작적 조건화를 통해 학습하는 과정이다. EMG 바이오피드백 훈련의 경우 긴장성 두통을 치료하는 데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근육의 전기활동을 측정하여 환자에게 피드백을 주어 근육긴장수준을 환자 스스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과정이므로 이완 훈련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이완 요법 방법들은 비용이 거의 들지 ...
참고 자료
공용, 2024, 현대인의여가생활, 현대인의 여가생활교과목에서 다루는 7가지 레저스포츠활동-요가-중 자신의 여건에 맞는 활동 한 가지를 선택 참여한 후 다음의 내용에 맞추어 보고서를 작성
김완석, 김민애. (2018). “명상기반 중재의 보조도구로서 명상어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441-453P.
배재홍, 장현갑. (200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1권 제4호, 673-688P.
이은환. (2020).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이슈&진단, 제414호, 1-25P.
송방호(2003) - 내몸을 살리는 요가30분, 넥서스
와타모토 노보루(2007) - 처음 시작하는 스트레칭 요가, 눈과 마음, 김영사
오문환·정영세 역(1991) - 요가, 쉬바난다 요가 센터, 민족사
우마 딘스모어 털리(2004) - 자신감을 키워주는 요가, 넥서스
김영재 , 서남숙(Seo, Nam-Sook) (2010). 점진적 근육이완요법이 항암화학요법환자의 오심과 구토, 피로,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Asian Oncology Nursing, 10(2), 171 - 179.
김순자. (2019). 호흡명상을 병행한 만다라기법이 중년기 여성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사례연구. 임상미술심리연구, 9(1), 55-78.
인경숙, 이완요법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대체의학과, 2004. 2.
Benson. H, The Relaxation Respones, N.Y. : William Morrow & Co. 1975.
Richter, J. M., & Sloan, R., A Relaxation Techniqu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970.
Dossey, B., A Wonderful Prerequisite, Nursing, 1984.
변창진, 이완훈련 프로그램지도와 상담. 계명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81.
유수정, 고혈압 노인에서 복식호흡 이완훈련과 자가간호교육이 혈압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2002.
문미숙, 긴장형 두통환자의 몰입수준에 따른 EMG 바이오피드백 훈련과 이완 훈련 효과, 전북대학교, 1997.
김남초, 독자적인 간호중재술로서 단전호흡에 관한 고찰, 대한심신스트레스학회지, 1993.
장현갑, STRESS의 효율적 대처방법. 영남대학교학생생활연구소, 1991.
장미, 정신과 치료로써의 명상, 국립정신건강센터 칼럼, 2020.
장선주, 하양숙, 국선도를 활용한 명상 프로그램이 정신과 입원 환자의 스트레스반응, 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008.
장현갑,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심리학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