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EBP PICO"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배경 정보
1.1. EBP PICO 소개
1.2. 환자 사례 개요
2. 간호사정
2.1. 일반적 사항
2.2. 대상자 신체 사정
2.3. 검사 결과 분석
2.4. 약물 치료 현황
3. 간호진단 및 계획
3.1. 간호진단 수립
3.2. 간호목표 및 계획
3.3. 근거 기반 간호중재
4. 근거 활용 간호계획
4.1. 최종 선정 근거 소개
4.2. PICO 질문 도출
4.3. 근거 검색 및 선정
4.4. 근거기반 간호계획 재작성
5. 성찰 및 후기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배경 정보
1.1. EBP PICO 소개
EBP(Evidence-Based Practice)는 최선의 연구 근거, 임상전문가의 경험, 대상자의 선호도를 통합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접근법이다. PICO는 EBP 수행을 위한 핵심질문 도출 방법으로, P(Patient/Population), I(Intervention), C(Comparison), O(Outcome)로 구성된다. 연구 문제를 PICO 형식으로 구체화하면 효과적인 근거 검색과 선정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1.2. 환자 사례 개요
배## 씨는 60세 여성으로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거주하고 있다. 2021년 9월 10일 AML(급성골수성백혈병) 진단을 받고 ㅇㅇ병원에 입원하였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체온 38.6℃, 호흡 22회/분, 맥박 102회/분이었고, 의식 수준은 alert 상태였다. 평소에는 일반식을 섭취하며 배추김치와 보쌈을 좋아하고 복숭아와 생선구이를 싫어한다고 하였다. 장운동은 정상이었으며 하루 2-3회 배변하는 편이었다. 가장 큰 관심사는 현재 상태와 향후 항암 치료 방향이었으며 질병에 대한 염려와 걱정을 보이고 있었다. 평소 운동은 하지 않았으며 수면은 5-6시간 정도로 수면장애가 있었다. 교육수준은 중졸이며 질병과 관련된 반응과 지식은 보통 수준이라고 하였다. 가정 내에서는 주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경제상태는 중간 정도라고 하였다. 종교는 기독교이며 신앙생활은 비교적 적극적인 편이었다.
2. 간호사정
2.1. 일반적 사항
배## 성(性)과 연령(年齡)은 각각 F(Female)과 60세이다. 병록번호는 028#####이며, 주소지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다. 전화번호는 010-####-####이고, 입원일자는 2021년 09월 10일이다. 입원경로는 응급실이다. 정보제공자는 본인이며, 진단명은 AML(Acute Myeloid Leukemia)이다.
2.2. 대상자 신체 사정
환자는 현재 체온 38.6℃로 발열 상태이며, 수술부위의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환부의 부종이 관찰되며, 운동범위가 제한되고 있다. 피부는 거칠어진 상태이며 창백한 증상이 관찰된다.
결막은 황달이 관찰되고, 입술과 손톱이 청색증을 보이는 등 산소포화도 저하 증상이 있다. 구강 내 백태가 있고 건조하며, 잇몸 출혈도 있는 상태이다.
청력과 시력에는 특이 소견이 없으나, 후각 및 미각 저하가 관찰된다.
복부는 팽만되어 있지 않으며, 장음도 정상적으로 청진된다. 하지 말초 맥박이 약간 빠르게 촉진되며, 근력 및 관절 가동범위의 저하가 있다.
전반적으로 환자의 신체 사정 결과, 수술부위 통증과 피로감, 빈혈, 산소 불량, 구강 건조 등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2.3. 검사 결과 분석
일반 혈액 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백혈구(WBC) 수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는 감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적혈구(RBC) 수치와 헤모글로빈(Hb) 수치는 점차 감소하고 있어 빈혈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혈소판(PLT) 수치도 감소하고 있어 출혈의 위험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세분화된 백혈구 수치를 보면 호중구 비율이 증가하고 림프구 비율이 감소하고 있어 세균 감염의 가능성이 높다.
요화학 검사 결과 단백질과 백혈구 수치가 증가하고 있어 요로 감염이 의심된다. 혈액 응고 검사에서 PT와 INR 수치가 증가하고 있어 응고 능력이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상 검사 결과를 보면 흉부 CT에서 양측 흉수와 심낭 삼출액이 관찰되고 있다. 이는 심부전이나 감염성 질환을 시사할 수 있다. 또한 경추부와 요추부에 퇴행성 변화와 후방전위가 있어 척추 질환...
참고 자료
김주희 외(2008). 환자의 선호도를 고려한 음악 중재가 부분 마취 환자의 수술 중 불안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vol.14, 187-198
김현영 외(2019). 수술 환자의 불안에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기본간호학회지, 26(4). 248-259
박정해 외(2015). 음악요법이 노인 백내장 수술 환자의 활력징후, 불안, 코티졸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659-558
신효연 외(2005). 수술 중 음악요법이 국소마취 수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31-138
정계선 외(2016). 음악요법이 척추마취 하 수술 대상자의 불안, 진정상태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525-535
조윤희 외(2015). 수술 전 구조화된 정보제공이 복강경하 자궁절제술 여성의 수술대기 중 불안과 불확실성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21(4). 321-331
- 황옥남, 유양숙 외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8
- 정향미 외,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개정판, 수문사, 2020
- 김수경,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 2015
- 드럭인포, “fentanyl, ramset, 마토크, trolac, tridol, denogen, tacenol 쎌콕정, ambroxol, gaster, 멕쿨, ativan, 트리티코정, 리록스반, cefotaten, hepamerz, 메디아벤엘”, https://www.druginfo.co.kr/ 22.11.24
-송주연,손경희,김남희. "구조화된 냉요법이 발목 골절 수술환자의 부종, 염증 및 통증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399-413, 2018년
- Barca, Ida, et, "Effects of cold therapy in the treatment of mandibular angle fracture", Ann Ital Chir 87.5, 411-6. 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