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들어가며
Debridement는 상처의 치유를 증진시키기 위해 상처부위를 배액하고 괴사조직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유지하는 수술 기법이다. 이는 회복할 수 없는 괴사조직이 발생한 경우 적응증이 된다. Debridement 수술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구와 장비가 필요하며, 수술 절차 및 간호가 요구된다. 또한 당뇨병성 족부궤양은 Debridement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 감각 저하와 혈관병증으로 인해 상처 치유가 지연되고 만성 궤양화 및 화농성 염증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정의, 종류, 병태생리, 증상,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실제 Debridement 수술을 받은 사례를 통해 수술 과정과 회복실 간호를 살펴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Debridement 수술과 관련된 간호과정, 특히 피부조직손상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급성 통증, 응급 수술과 관련된 불안 등을 고려해야 한다.
2. Debridement
2.1. 정의 및 적응증
죽은조직절제술(debridement)은 상처의 치유를 증진하기 위해 상처부위를 배액하고 괴사조직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유지하며 생리식염수로 세척하는 수술이다.
죽은조직절제술은 회복할 수 없는 괴사조직이 발생한 경우에 적응증이 된다. 괴사된 조직이 주변으로 퍼져 감염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괴사부위를 제거하여 상처치유를 촉진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수술을 위해서는 전기수술용 펜슬, 멸균포, 흡입병 등 다양한 기구와 장비가 필요하다. 수술 과정에서는 먼저 전신마취 하에 환자를 앙와위로 눕힌 뒤 피부를 소독하고 무균적 드레핑을 실시한다. 그리고 iris 가위와 15번 메스로 염증 조직을 제거하며 피하 조직을 5-0 Monosyn 실로 봉합한다. 마지막으로 PICO(portable NPWT)를 봉합 부위에 적용한다. 수술 후에는 항생제 투여, 상처 드레싱, 통증관리, 아이스팩 적용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2.2. 기구 및 장비
Active Electrodes/needle type은 전류를 가하여 생물학적 조직을 봉합, 응고, 절단 또는 해부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Goldline Electrosurgical Pencils 또한 전류를 가하여 생물학적 조직을 봉합, 응고, 절단 또는 해부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OP site 30×28cm는 절개 부위에 부착되는 소재이다. REM Polyhesive Patient Return Electrode(성인용)은 마취 중에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전극이다. Silicon Penrose Drain 12N는 수술창상에서 배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배액관이다. Super Fix는 마킹펜으로 수술 부위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비젼헬스케어브이에스밴드부직반창고는 Disposable suction bottle과 함께 사용되는 소모품이다. Ethilon 6/0과 Monosyn 5/0은 수술 부위를 봉합하는 데 사용되는 봉합사이다. 수술팩(II)와 Laparotomy Pack은 해당 수술에 필요한 멸균 수술 세트이다. 이처럼 다양한 기구와 장비가 Debridement 수술 시 사용된다.
2.3. 수술 절차 및 간호
죽은조직절제술(debridement)은 상처의 치유를 증진하기 위해 상처부위를 배액하고 괴사조직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유지하며 생리식염수로 세척한다. 이는 회복할 수 없는 괴사조직이 발생한 경우의 적응증이다.
수술을 위한 기구 및 장비로는 Active Electrodes/needle type, Goldline Electrosurgical Pencils, OP site 30×28cm, REM Polyhesive Patient Return Electrode, Silicon Penrose Drain, Super Fix, 비젼헬스케어브이에스밴드부직반창고, Ethilon 6/0, Monosyn 5/0 등이 사용된다.
수술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신마취 하에 환자를 Supine position으로 눕힌다. 둘째, 피부 준비와 무균 drapping을 시행한다. 셋째, 염증 조직을 iris scissor and No.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