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장관염 시나리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급성위장관염(Acute gastroenteritis)의 정의와 원인
1.2.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특성
1.3. 급성위장관염의 사회적 중요성
2. 본론
2.1. 대상자 사정
2.1.1. 일반적 사항
2.1.2. 과거력
2.1.3. 현 병력
2.1.4. 신체사정
2.1.5. 영양과 대사양상
2.1.6. 임상병리검사 결과
2.1.7. 진단검사 결과
2.2. 간호과정
2.2.1. 구토,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2.2.2.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3. 결론
3.1. 연구 요약
3.2. 급성위장관염 간호의 실제와 시사점
3.3. 향후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급성위장관염(Acute gastroenteritis)의 정의와 원인
급성위장관염은 집단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이 원인이며 심각한 감염성 설사, 수분의 과잉과 전해질 소실, 패혈증, 그리고 사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다. 오염된 음식 또는 물의 섭취, 사람들 사이의 오염은 감염성 위장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고 있으며, 고위험집단은 보육원, 유치원, 오랫동안 육아시설에 맡겨진 아동과 인체 면역력이 약화된 아동들이다. 급성 위장관염은 다양한 형태의 설사, 지속적인 구토와 복통 증상을 나타내며 대변에서 채취한 병원균을 배양하여 확진한다.
1.2.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특성
로타바이러스는 전 세계 영·유아에서 발생하는 위장관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이는 생후 3개월부터 24개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로타바이러스는 계절적으로 추울 때 많이 발생하고 주로 11월에서 늦을 때는 2~3월까지 발생한다. 전염성이 강해 전 세계에 분포돼 있으며 종족, 문화, 경제적 여건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아이를 감염시킬 수 있다. 이는 5세 미만 아동 사이에 설사로 인하여 사망하는 아동의 20%를 차지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로타바이러스 예방접종은 국가예방접종에 포함되지 않으며, 예방접종의 비용효과적인 측면을 고려해 의사와 상의한 후 접종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1.3. 급성위장관염의 사회적 중요성
급성위장관염은 전 세계적으로 5세 미만 아동 사이에 설사로 인해 사망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아동 설사의 50% 이상이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생후 3개월에서 24개월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전염성이 강해 종족, 문화, 경제적 여건과 상관없이 거의 모든 아이를 감염시키며, 질병 발생을 예측하기 어려운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급성위장관염은 아동 건강과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또한 감염 자체가 쉽게 전파되어 유행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집단시설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보육원, 어린이집 등의 시설에서 발생하면 집단 감염으로 이어져 시설 운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제적인 경제적 손실과 공중보건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급성위장관염은 대부분 영유아에게서 발생하므로, 이로 인한 부모의 결근과 함께 병원 방문, 입원 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증가가 문제가 된다. 특히 저소득층이나 취약계층 가정의 경우 이러한 비용 부담이 가족에게 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급성위장관염은 개인과 가정, 나아가 사회 전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2. 본론
2.1. 대상자 사정
2.1.1. 일반적 사항
대상자는 특이병력이 없는 만 4세 남아이다. 내원 전 3일 동안 시작된 구토와 설사로 병원에 방문하였다. 대상자의 어머니에 따르면 내원 3일 전부터 하루 7-8회의 혈변이 없는 물설사가 있었고, 내원 2일 전 증상이 호전되어 보육원에 등원하였으나 다시 설사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내원 전날에는 오전에 3회, 오후에 5회의 설사와 하루 3회의 구토가 있었으며, 체온은 37.6℃로 측정되었다. 복통은 배꼽 주위에서 약간의 불편감이 있었다. 섭취량은 일반 식사의 25% 정도로 죽만 섭취하였으며, 내원 3일 전보다 체중이 2kg 감소하였다고 한다. 장질환의 가족력은 없었으며, 입원 시 활력징후는 BP 98/60mmHg, BT 37.6℃, PR 120회/분, RR 25회/분으로 측정되었다. 주 양육자인 부모가 입원 수속을 밟았으며, 부모는 아이의 상태에 대해 불안해하고 걱정하고 있었다.
2.1.2. 과거력
질병력(사고)/ 입원력 /...
참고 자료
박호란 외 10인 공저(2020), 아동간호학 하권, 현문사
박은영 외 공역, 간호진단 및 결과 가이드(2019), 수정판, 현문사
박신이 외 4인 공저(2005), 신생아에서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의 임상양상에 대한 고찰, 대한소아과학회, 대한소아과학회지, 제48권 제10호
이화윤 외 2인 공저(2004), 호산구성 위장관염 1례,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제7권 제2권
황필주 외 4인 공저(2009),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위장관염의 임상양상: 로타바이러스 장염과의 비교, 대한소아과학회, 대한소아과학회지, 제52권 제4호.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충청투데이 https://www.cctoday.co.kr
김희순 외,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 간호학I(수문사, 2021)”
송경애 외, “최신 기본간호학I(수문사, 2021)”
서울 아산병원, 질환백과 “급성 위장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84
삼성 서울병원, 질환백과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CMS&CONT_SRC_ID=09a4727a8000f1e0&CONT_CLS_CD=001020001013&CONT_ID=1423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질환백과 “감염” https://www.pediatrics.or.kr/bbs/index.html?code=disease_info&category=A&gubun=&page=2&number=8877&mode=view&keyfield=&key
서초구 보건소, 건강정보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https://www.seocho.go.kr/site/sh/07/*************2015072310.jsp
울산대학교병원, 건강정보 “소아기 급성 위장관염” https://www.uuh.ulsan.kr/kr/index.php?pCode=medicolumn&mode=view&idx=363
가톨릭대학교 가톨릭혈액병원, “혈액검사 및 생화학검사” https://m.chh.or.kr/page/bld/cntnts/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