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neumonia 환자인데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를 기저질환으로 가진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특발성 폐섬유증의 개념
1.2. 원인 및 위험 요인
1.3. 임상 증상과 진단
2. 본론
2.1. 임상 검사 소견
2.2. 방사선학적 소견
2.3. 병리학적 소견
2.4. 치료 방법
2.4.1. 약물 치료
2.4.2. 비약물 치료
2.5. 합병증 및 예후
3. 결론
3.1. 간호중재 방안
3.2. 예후 관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특발성 폐섬유증의 개념
특발성 폐섬유증이란 폐포벽에 만성염증 세포들이 침투하여 만성적, 비가역적 폐섬유화를 초래하는 간질성 폐질환이다. 점진적인 폐실질의 섬유화와 폐기능의 감소를 보이는 진행성 질병이 특징이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고 연령층에서의 흡연 등의 여러 환경적 요인에 장기간 노출되어 비정상적인 경로가 활성화됨으로써 정상적으로 상처가 치유되지 않게 된다. 폐포 상피세포의 다양한 미세 손상으로 섬유화 유발 및 섬유모세포로 분화되어 결국 아교질의 축적으로 인해 폐포 조직이 두꺼워져 정상적인 가스교환을 어렵게 만든다. 서서히 발병하며, 마른 기침과 운동시 호흡곤란이 주 증상이며, 병이 진행될수록 저산소혈증이 초래되며, 비정상적인 호흡음과 곤봉형 손톱이 나타날 수 있다. 예후가 좋지 않은 난치성 질환이므로 더욱 엄격한 진단기준을 적용한다.
1.2. 원인 및 위험 요인
특발성 폐섬유증의 정확한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위험인자가 알려져 있다. 성별 및 연령의 경우 50세 이상의 남성에게서 발병률이 높으며, 가족력에 있어서는 가족성 폐섬유화증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생활방식에서는 흡연, 위-식도 역류로 인한 만성적인 흡인, 항우울제 복용 등이 위험요인이 되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직업적 환경에서의 유기물질, 금속/나무 분진 등의 흡입, 공해 등이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유전적 요인과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이 장기간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특발성 폐섬유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1.3. 임상 증상과 진단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의 주요 임상 증상은 서서히 발병하는 마른 기침과 운동 시 호흡곤란이다. 병이 진행될수록 점차 가스 교환이 어려워지면서 저산소혈증이 초래되며, 흡기 시 비정상적인 호흡음(crackle), 곤봉형 손톱(clubbing finger)과 폐고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특발성 폐섬유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합당한 임상증상과 함께 특징적인 방사선 소견 혹은 수술적 폐생검에서 UIP(Usual Interstitial Pneumonia) 소견을 보여야 한다. 폐기능 검사에서는 전형적인 제한성 폐질환의 소견을 보이며, 기관지폐포세척(BAL)에서 총 세포수와 호중구 및 호산구의 백분율이 증가하는 ...
참고 자료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p.572~573
신경림 외(2010), 성인간호학Ⅰ, 현문사, p.877~878
Donna Ignatavicius 외(2013), 성인간호학Ⅰ, 엘스비어코리아, p.620-622
신규성(2001), Power Internal medicine-호흡기&혈액종양, 군자출판사, p.102
제갈양진(2018), "간질성폐질환의 새로운 진료지침",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8권 0호, p.161~166
그림 01: 오유환(2013), "특발성 간질성 폐렴의 영상의학적 접근", 대한내과학회지 제84권 제4호, p.490
그림 02: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건강정보-특발성 폐섬유증
http://health.cdc.go.kr/health/mobileweb/content/group_view.jsp?CID=8QWREZYNUN
경희의료원 OCS
네이버 지식백과 :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상) : 호흡기계
Druginfo, KIMs online : 약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