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책분석의 개념 및 특징
1.1. 정책분석의 개념
정책분석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정책분석은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도록 돕는 정책의 사전적 평가이다. 정책분석은 정책의 수단과 목표의 구성논리를 해명하려는 과학적 설명과 분석기술을 활용한 탐색, 예측 및 평가의 과정이다. 즉, 정책분석은 정책대안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그 장단점을 분석하여 결과를 예측함으로써 문제해결을 위한 가장 적절한 대안이 선택될 수 있게 하는 활동과정이다. 정책분석은 관리과학과 체제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쇄신적이고 미래지향적 관점을 취한다. 체제분석은 정책결정자가 당면한 문제를 전체의 체계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여러 대안을 탐색하며, 각 대안에 소요되는 비용과 편익의 대비를 통해 최적대안을 선택하는 접근방법이다.
1.2. 정책분석의 특징
정책분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분석은 정책이 실현되기 전에 실시되는 사전적 평가의 역할을 한다. 둘째, 정책분석은 경험적·평가적·규범적 방법 등 탐구방법이 다양하다. 셋째, 정책분석은 사회과학·행태과학뿐만 아니라 행정학·법학·윤리학·체계분석·응용수학 등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응용사회과학이다. 넷째, 정책분석은 가치와 사실, 행동에 관한 정보를 창출하고 전환시킨다. 다섯째, 정책분석은 정책을 논리적으로 논의하는 합리적 과정이다. 여섯째, 정책결정이 정치과정인데 반하여 정책분석은 인지과정이다. 일곱째, 정책분석의 탐지·예측 평가·제안의 과정이 계출적으로 상호연관되어 있다. 여덟째, 정책분석은 특별한 방법과 기법들(비용·편익분석, 비용·효과분석, 선형계획법, 게임이론 등)을 체계적·비판적으로 연구하는 수단을 마련해 준다. 아홉째, 정책분석은 정책이 지향하는 기본가치를 탐구하고 장기목표를 중시하며 대안의 쇄신을 강조한다.
2. 정책분석 과정
2.1. 문제점의 인지
문제점의 인지 단계는 해결해야 할 문제의 가치, 욕구, 기회 등에 관하여 결정참여자 간에 합의가 이루어지도록 목표와 수단 간의 연쇄관계를 명확히 이해하는 단계이다. 문제의 실체와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여 문제의 성격을 뚜렷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제의 잠재적 해법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문제의 배경과 성격, 관련요인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문제의 핵심요인을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