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늑골 골절, 통증, 비효율적 기도청결, 낙상위험성, 성인간호학 실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대상 및 방법
2. 본론
2.1. 늑골 골절의 정의 및 원인
2.2. 늑골 골절의 병태생리
2.3. 늑골 골절의 진단 방법
2.4. 늑골 골절의 증상
2.5. 늑골 골절의 치료
2.6. 늑골 골절 환자의 간호
3. 합병증
3.1. 폐 합병증
3.2. 혈흉
4. 간호 과정
4.1. 통증 관리
4.2. 기도 청결 유지
4.3. 낙상 예방
5. 실습 경험 및 소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늑골 골절은 낙상, 교통사고 등 외부의 강한 충격이나 압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이다. 골절은 흉부 손상 환자의 약 40%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골절 자체보다도 골절로 인한 합병증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늑골 골절 환자의 경우 동반되는 폐 합병증으로 폐 실질의 타박상, 출혈, 무기폐, 폐렴 및 기흉과 혈흉이 있으며, 이러한 합병증으로 인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사망률이 더욱 증가한다. 따라서 늑골 골절 환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간호과정이 필요하다.
1.2. 연구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인 71세 남성 신모씨는 19년 4월 오토바이를 타고 가던 중 뒤에서 차가 와서 부딪혔으며 양손과 갈비뼈 그리고 등에 통증과 abrasion이 발생해 ER을 통해 ADM하였다. 이 보고서의 자료조사기간은 2019년 4월 14일~ 4월 23일로 EMR, 환자면담, 간호사 등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였다.
2. 본론
2.1. 늑골 골절의 정의 및 원인
늑골은 좌우에 12개가 있으며 흉부 모양을 결정하고 심장, 폐를 비롯한 중요 내부 장기들의 보호와 호흡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골절이란 외력에 의해 뼈가 부러지는 것을 지칭하며 뼈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끊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즉, 외부의 과도한 힘에 의해 골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로 연조직의 부종, 근육과 관절로부터의 탈구, 인대의 파괴, 신경과 혈관에 심한 손상 등 다른 부위에 영향을 준다. 늑골골절은 접촉성 운동을 할 때 흔히 생기는 질환으로 여러 명이 함께 충돌할 때,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등의 낙상사고, 교통사고와 같이 외부의 강한 충격이나 압박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며, 종양이나 골다공증 등 골조직의 병리적 변화가 생기면 정상적인 활동 중에도 골절이 발생한다. 그 외에 노화로 인해 뼈가 약해지면서 강한 기침에도 쉽게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2.2. 늑골 골절의 병태생리
모든 골절의 병태생리기전과 간호중재는 골절의 부위나 형태에 관계없이 동일하다. 그중 늑골의 골절은 대체로 기능장애나 합병증 없이 치유되기도 한다. 그러나 흡기 시에 통증이 심하므로 얕은 호흡을 하며 기관과 기도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지 못하여 폐렴이나 무기폐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골절의 병태생리기전은 혈종형성 단계, 세포증식 단계, 가골형성 단계, 골화 단계, 골 재형성 단계로 이루어진다. 모든 골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이 병태생리 과정을 통해 늑골 골절도 치유된다. 골절 후 즉시 그 부위에 출혈과 삼출물이 생기며 골막과 근접 조직의 파괴 및 혈관의 파열로 혈종이 생성된다. 24시간 이내에 울혈이 생기며 혈종 내의 혈액이 엉겨 붙어서 섬유소 그물망을 형성한다. 울혈된 혈종 내에 새로운 모세혈관이 생기고 섬유아세포와 함께 결합되어 24시간 후에는 골절된 뼈 말단에 혈액 공급이 증가한다. 세포와 새로운 모세혈관이 점차적으로 모여 2~3일 내로 혈종은 육아 조직으로 대치된다. 손상 후 6~10일 경에는 육아조직이 변화되어 가골이 형성된다. 가골은 일시적으로 골절편을 결합시킬 수 있지만 체중부하를 견디거나 근염좌를 잘 견디어 낼 만큼 충분히 강하지는 않다. 약 3~10주가 지나면서 가골은 뼈로 변화되며 단단해진다. 가골은 점차 진성 뼈가 되면서 강해지며, 골모 세포와 파골세포의...
참고 자료
약학정보원, www.health.kr, invited 2015.09.17
이웅현, (2014), Pacific 성인간호학 1, 서울 : 퍼시픽북스
신경림 외 16명, (2014), 성인간호학(하), 서울 : 현문사
차영남 외 13명, (2013)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제 3판), 서울 : 현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이은희 외(2021).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송경애 외(2022), “최신 간호학 II”, 수문사
조경숙 외 (2016), 『성인간호학(상) 제 6판』, 현문사
조경숙 외 (2016), 『성인간호학(하) 제 6판』, 현문사
대자인병원 EMR
차영남 외 공저(2018). NA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변영순 외 13명 (2014), 기본간호학Ⅰ, 계축문화사
변영순 외 13명 (2014), 기본간호학Ⅱ, 계축문화사
구미옥 외(2017),『근거기반 임상간호실무지침의 수용개작 통증간호 실무지침』, 병원간호사회
질병관리본부 국가정보포털, 건강/질병 정보, 골절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질환백과, 대퇴골절
알기쉬운 해부생리, 이여진 외 공저, 정담미디어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의약정보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네이버 지식백과, 학문명백과: 의약학, 골절(fra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