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 습관이 점차 서구화됨에 따라 결장직장암의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체 암의 4위를 차지하고 있다. 결장암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50-60대에 호발하며 남녀 발생율이 비슷하다. 대부분의 종양들은 대장의 원위부분인 S자 결장부터 직장까지의 부위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S자 결장(rectosigmoid)부위의 암 발생률은 감소추세이나 오른쪽 결장(right colon)의 암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다. 이에 결장직장암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간호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자 한다.
결장직장암은 우리나라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질병이며 대표적인 암 질환 중 하나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결장직장암의 병태생리와 진단 및 치료, 그리고 환자의 간호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이 질병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와 치료가 가능할 것이다.
1.2. 결장직장암의 정의 및 역학
결장직장암은 대부분 선암(adenocarcinoma)의 형태로 나타나며,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 습관이 점차 서구화됨에 따라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결장직장암은 전체 암의 4위를 차지할 만큼 주요한 질병이다. 이 질환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50-60대에 가장 호발하며, 남녀 발생률은 비슷한 수준이다. 대부분의 종양들은 대장의 원위부분인 S자 결장부터 직장까지의 부위에서 많이 발생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S자 결장(rectosigmoid)부위의 암 발생률은 감소추세이나 오른쪽 결장(right colon)의 암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다.
1.3. 결장직장암의 병태생리
대부분의 결장암은 선종성 용종에서 시작하여 악성이 됨에 따라 장 내에서 크기가 커지고 장벽을 침윤하여 림프계나 순환계로 퍼지기 시작한다. 용종이 악성화되는 것은 크기, 조직학적 형태 및 이형성의 정도와 관련이 있으며, 용종이 악성으로 변이되기까지 약 5~12년이 걸린다.
결장직장암의 악성 종양은 위에서부터 가로결장까지 인접해있는 기관에 직접 침범함으로써 악성화되며, 주로 간으로 침범하는데 이는 결장직장 종양으로부터의 정맥혈류가 문맥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또한 복강 내로는 암세포가 직접 퍼지거나 또는 이식에 의해 퍼지게 되며, 방광이나 요관, 생식기관 등도 직접 침범된다. 더불어 방광과 장 사이 혹은 장과 질 사이에도 누공이 생길 수 있으며, 혈액을 통하여 간뿐만 아니라 폐, 콩팥 및 뼈까지 전이될 수 있다.
2. 결장직장암의 진단
2.1. 임상증상 및 징후
결장직장암의 가장 흔한 증상은 직장 출혈이다. 대부분의 환자가 출혈 증상으로 병원을 찾게 된다. 그 밖에도 배변 습관의 변화, 이급후증, 장폐쇄, 복통, 체중 감소, 식욕부진, 오심과 구토, 빈혈과 덩어리가 만져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작은창자와 오른쪽 결장에 생긴 종양에 의해 복통, 오심, 구토 등이 발생하고, 왼쪽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종양은 혈액이나 점액이 대변에 섞여 나오며, 배변 습관의 변화를 초래한다. 또한 배변 후에도 장이 비워지지 않은 느낌을 갖게 된다. 종양이 장을 막았을 때는 폐색 증상이 나타나며, 오름결장에 생기는 종양은 장의 관강이 넓고 대변이 묽은 상태이므로 폐색을 일으키는 일은 거의 없으나 궤양 발생으로 빈혈을 일으킨다. 진단 시 식욕부진, 체중감소, 빈혈로 인한 피로와 허약감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2.2. 진단검사 및 평가
결장직장암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가 수행된다. 원위 대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종양의 1/3은 직장지두 검진(digital rectal examination)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대변 guaiac 검사는 위장출혈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다. 조기 진단은 생존율을 향상시키므로 50세부터 매년 한 번씩 직장지두 검진, 대변 guaiac 검사와 S자결장경 검사를 받는다. 2년 이상 S자결장경 검사에서 이상이 없는 경우 3~5년에 한 번씩 S자결장경 검사를 받는다. 고위험 환자는 50세 이전에 2~3년마다 바륨관장이나 결장경 검사를 받도록 한다. 결장경 검사로 오름결장 부분을 잘 볼 수 있고 생검도 가능하므로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임상병리검사로는 빈혈 확인을 위한 CBC, 응고 검사, 간 전이 확인을 위한 간기능 검사, carcinoembryonic antigen(CEA) 등이 시행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