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 선정 이유
급격한 고령인구의 증가와 생활양식의 변화로 인해 관상동맥질환의 유병률과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관상동맥질환 사망률은 1993년도 인구 10만 명 당 13.3명에서 2012년 28.9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고, 특히 65세 노인 이상 인구에서는 암, 뇌혈관 질환 다음으로 사망률 3위를 차지하는 질환으로 전체 사망자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본 병동인 심장내과에 주로 내원 하는 대상자로는 주로 관상동맥 질환을 가지고 있는 CHF, MI, ICMP, IHD, VHD 등이다. 해당 대상자들이 병원 입원하여 시행하게 되는 심장 검사 중 CAG 검사 전후 간호 및 검사 과정을 지켜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CAG와 PCI의 차이점에 대해 의문을 가지게 되어 병원에서 근무한지 약 3일 차 2~3명 이상 CAG 및 PCI를 시행하는 환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정확한 근거 기반의 가이드 라인과 환자 교육의 제공은 대상자의 사망률과 유병률 감소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작용 관리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이에 관련한 중재에 대해 알아보고, 정확히 인지하여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앞으로 임상에서 만나게 될 관상 동맥 질환자들에게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주제를 선정하였다.
2. 본론
2.1. 관상동맥 해부생리
관상동맥은 대동맥이 시작되는 부위에서 나와 심장을 둘러싸고 있으며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혈관이다. 관상동맥은 우관상동맥(Right coronary artery, RCA)과 좌주관상동맥(Left main coronary artery, LCA)으로 나뉘어져 심장 전체를 둘러싸고 있다. 좌주관상동맥은 좌전하행동맥(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AD)과 좌회선동맥(left circumflex artery, LCX)으로 갈라진다. 우관상동맥은 우심실과 심실중격의 혈액공급을 담당하며, 동방결절(SA node)과 방실결절(AV node)에 혈액을 공급한다. 좌전하행동맥은 심실중격과 좌심실전벽, 좌심실측벽의 혈액공급을 담당하고, 좌회선동맥은 좌심실의 측벽과 하벽의 혈액공급을 담당한다. 관상동맥은 심실 수축이 끝난 후 대동맥의 반월판이 닫히면서 생기는 이완기압에 의하여 혈액이 공급된다. 운동이나 심박동수의 증가, 교감신경계의 자극은 관상순환 혈량의 요구가 증가시킨다. 관상동맥 질환은 주로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에 의해 그 내부가 좁아져 심근에 공급해야할 혈류가 감소하여 발생한다. 죽상경화의 주된 원인은 지방성분을 포함하는 노폐물이 혈관 벽에 축적되기 때문이며, 고혈압, 흡연, 높은 혈중 콜레스테롤, 비만, 당뇨병,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도 위험인자로 지적되고 있다. 임상적으로 협심증(angina pectoris),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급사(sudden death), 심부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2.2. CAG와 PCI 비교
2.2.1. CAG(Coronary Angiography) 정의
CAG(Coronary Angiography)는 직경이 가는 플라스틱관(직경 2~3mm, 길이 약 1m)을 동맥 혹은 정맥에 삽입하여 이 관을 혈관을 따라 심장에 도달시킨 뒤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조영제를 주사하고 X-선을 투영하여 관상동맥 형태나 이상을 관찰하는 방법이다. 협심증(angina pectoris)이나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급사(sudden death), 심부전 등이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선천성 심혈관 진단, 선·후천 심판막의 질환 진단, 관상동맥 질환 진단, 심박출량, 심방심실의 압력 및 산소포화도 등의 측정을 목적으로 시행된다. 따라서 CAG는 협심증, 심근경색 등 허혈성 심장질환의 진단에 있어 가장 정확한 검사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2.2.2. CAG(Coronary Angiography) 적응증
선천성 심혈관 진단, 선천 및 후천 심판막의 질환 진단, 관상동맥 질환 진단, 심박출량, 심방심실의 압력 및 산소포화도 등의 측정이 CAG(Coronary Angiography)의 적응증이다. CAG는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형태나 이상을 관찰하기 위해 시행되는 진단 방법으로, 협심증이나 급성심근경색이 의심될 때 최종적으로 진단하는 검사이다. 또한 선천성 심혈관 질환과 선천 및 후천 심판막...